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22:10:00

Karmine Corp/리그 오브 레전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armine Corp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Karmine Corp/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파일:LEC.pngLEC
참가팀
}}} ||
{{{#!wiki style="color: #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G2 Esports 로고 화이트.svg 파일:Fnatic 로고.svg 파일:Movistar_KOI_logo.png 파일:Team BDS 아이콘.svg 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
파일:독일 국기.svg G2 Esports 파일:영국 국기.svg Fnatic 파일:스페인 국기.svg Movistar KOI 파일:스위스 국기.svg Team BDS 파일:독일 국기.svg SK Gaming
파일:GIANTX 로고 심플.svg파일:GIANTX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Rogue 로고.svg파일:Rogue 로고 다크모드.svg
파일:영국 국기.svg GIANTX 파일:스페인 국기.svg Team Heretics 파일:프랑스 국기.svg Team Vitality 파일:프랑스 국기.svg Karmine Corp 파일:영국 국기.svg Rogue
EMEA Masters 참가팀 ERL 참가팀
해체된 EMEA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colbgcolor=#000><colcolor=#fff> 카르민 코프
Karmine Corp
창단 2020년 3월 30일
소속 리그 LEC
팀명 Kameto Corp(2020.3~2020.11)
Karmine Corp(2020.11~)
소유주 [[카멜 케비르|카멜 케비르
Kameto
]]|아민 메크리
Prime
매니저 하비에르 오스왈드
감독 레하레하 라마나나
Reha
코치 지가 예레프
Apples
|클레망 틸리에
Clement
|와디 베나르비아
Wadi
분석 벵자맹 카스테
Xenesis
주장
약칭 KC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EM
(4회, 최다)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3 서머
LFL
(2회)
2021 스프링, 2023 서머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 [[김창동|김창동
Cann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페루 국기.svg 11. [[마르틴 순델린|마르틴 순델린
Yik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그리스 국기.svg 10. [[블라디미로스 쿠르티디스|블라디미로스 쿠르티디스
Vladi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프랑스 국기.svg 28. [[칼리스트 앙리에네베르|칼리스트 앙리에네베르
Calist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벨기에 국기.svg 1. [[라파엘 크라비|라파엘 크라비
Targamas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개요2. 주요 기록3. 역사 및 역대 시즌4. 로스터
4.1. Canna(칸나, 김창동)4.2. Yike(야이크, Martin Sundelin, 마르틴 순델린)4.3. Vladi(블라디, Vladimiros Kourtidis, 블라디미로스 쿠르티디스)4.4. Caliste(칼리스테, Caliste Henry-Hennebert, 칼리스트 앙리에네베르)4.5. Targamas(타르가마스, Raphaël Crabbé, 라파엘 크라비)
5. 게임단 산하
5.1. Karmine Corp Blue5.2. Karmine Corp Blue Stars
6. 전 로스터
6.1. Cinkrof(싱크로프, Jakub Rokicki, 야쿱 로키츠키)
7.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Karmine Corp 로고 white.svg
파일:25KC.jpg
#KCORP
Karmine Corp 소속 프랑스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KC.
2020년 3월 30일, 유명 롤 스트리머인 Kameto가 Unfazed Esports에서 시드권 팀을 급작스럽게 인수하면서 창단. 그 이후 LFLEM 시즌을 뛰며 두각을 드러내며 무려 통산 6회 우승을 달성하면서 프랑스에서 팬들까지 유명세를 탈 정도로 최고의 인기를 보여줬다. 그리고 2023년 10월 19일 Astralis의 시드권을 구매하며 2024 시즌부터 LEC에 본격적으로 참가하게 된 팀이다.

2. 주요 기록

우승 기록
La Ligue Française 2021 Spring 우승
GamersOrigin Karmine Corp Misfits Premier
European Masters 2021 Spring 우승
European Masters 2021 Summer 우승
European Masters 2022 Spring 우승
AGO ROGUE Karmine Corp Team Heretics
La Ligue Française 2023 Summer 우승
LDLC OL Karmine Corp Karmine Corp Blue
EMEA Masters 2023 Summer 우승
DenizBank İstanbul Wildcats Karmine Corp Eintracht Spandau
준우승 기록
La Ligue Française 2021 Summer 준우승
La Ligue Française 2021 Finals 준우승
Misfits Premier Karmine Corp Team BDS Academy

3. 역사 및 역대 시즌

파일:Kameto_Corp_old_logo.webp 파일:Karmine Corp 로고.svg파일:Karmine Corp 로고 white.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Kameto Corp Karmine Corp Karmine Corp
카메토 코프 카르민 코프 카르민 코프
2020

4. 로스터

4.1. Canna(칸나, 김창동)

파일:KC_Canna_2025_Split_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창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Yike(야이크, Martin Sundelin, 마르틴 순델린)

파일:KC_Yike_2025_Split_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르틴 순델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Vladi(블라디, Vladimiros Kourtidis, 블라디미로스 쿠르티디스)

파일:KC_Vladi_2025_Split_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블라디미로스 쿠르티디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Caliste(칼리스테, Caliste Henry-Hennebert, 칼리스트 앙리에네베르)

파일:KC_Caliste_2025_Split_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칼리스트 앙리에네베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5. Targamas(타르가마스, Raphaël Crabbé, 라파엘 크라비)

파일:KC_Targamas_2025_Split_1.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파엘 크라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게임단 산하

5.1. Karmine Corp Blue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131A24> 파일:LFL_logo_white.pngLFL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Team BDS 아이콘.svg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 파일:Galionslogo_square.png파일:Galionslogo_square_white.png 파일:BK_ROG_Esportslogo_square.png
Team BDS Academy Karmine Corp Blue Vitality.Bee Galions BK ROG Esports
파일:GameWard_lightmode.png파일:GameWard_darkmode.png 파일:Solary_lightmode.png파일:Solary_darkmode.png 파일:Gentle_Mates_lightmode_2024.png파일:Gentle_Mates_darkmode_2024.png 파일:Ici_Japon_Corp._Esportlogo_square.png 파일:Joblife.png
GameWard Solary Gentle Mates Ici Japon Corp Joblife
EMEA Masters 참가팀 ERL 참가팀
해체된 EMEA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colbgcolor=#000><colcolor=#fff> 카르민 코프 블루
Karmine Corp Blue
창단 2024년 1월 4일
소속 리그 LFL
소유주 [[카멜 케비르|카멜 케비르
Kameto
]]|아민 메크리
Prime
감독 바실리스 볼티스
TheRock7
코치 수피앙 자히디
Souf
|야니스 폴
Blidzy
약칭 KCB
파일:Karmine Corp 로고.svg파일:Karmine Corp 로고 white.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LFL
(1회)
2024 스프링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볼로디미르 소로킨
Maynter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프랑스 국기.svg 메디 랄루
Boukada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서예빛
SlowQ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마 푸쿠|토마 푸쿠
3X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훈(2002)|김정훈
Piero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learfix]

5.2. Karmine Corp Blue Stars

파일:Karmine Corp 로고 blue.svg
<colbgcolor=#000><colcolor=#fff> 카르민 코프 블루 스타즈
Karmine Corp Blue Stars
창단 2024년 11월 19일
소속 리그 LFL2
소유주 [[카멜 케비르|카멜 케비르
Kameto
]]|아민 메크리
Prime
감독 마리오 데라토레
CptMario
코치 라파엘 클로데
Lingwi
약칭 KC.BS
파일:Karmine Corp 로고.svg파일:Karmine Corp 로고 white.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쉬 훙타오 알레산드로
Tao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덴마크 국기.svg 올리버 클리트펠트
BAASHH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티스 판니우에나위서
MathisV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코스틴 페스트리추
Hazel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밀리앙 제르고
Nsurr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learfix]
LFL Division 2에 참가하는 Karmine Corp의 3군 팀. 모든 선수의 나이가 20세 미만인 유망주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6. 전 로스터

6.1. Cinkrof(싱크로프, Jakub Rokicki, 야쿱 로키츠키)

파일:KC_Cinkrof_2021.jpg

위즈덤의 방출로 인해 대타로 들어온 정글러이다. 제법 포텐이 있는 실력+로컬보이에 대한 호감으로 인하여 위즈덤보다는 다소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오래 굴리면 굴릴수록 위즈덤이 그 심각한 던지기에도 불구하고얼마나 OG의 초반을 멱살잡고 이끌었는지만 보여주고 있다. 그래도 포텐조차 없는 사토리우스, 내현이나 더이상 LCS에 적합하지 않은 탭즈페케보다야 앞으로 유럽 프로씬에서 밥벌어먹을 가능성은 있는 선수.

그러나 결국 오리젠에서 뚜렷한 뭔가를 보여주진 못했고 이후 다크패시지의 차기 정글러로 낙점되었다.

다크패시지에서는 상당히 괜찮은 경기력으로 팀을 강등권에서 탈출시켰다.과연 Xerxe의 길을 따라갈 수 있을지... 엘윈드도 더이상 없고 그건 무리다.

현재 스페인 리그에서는 크게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위즈덤의 멘탈 박살로 강제로 Cinkrof를 쓰던 그 시절에 비해 유럽에 정글 유망주가 많다. 원래는 Bluerzor와의 주전 경쟁에서 밀렸지만, 2018 마스터스 스프링 시즌 이후 팀을 나가면서 도로 주전 자리를 되찾았다.

다만 셀프메이드가 워낙 사기캐고 전임자 or 경쟁자였던 블루어조어도 잘하던 정글러라 그렇지, 일단 정규시즌 팀을 1위로 올리는 과정에서 Cinkrof도 클라이의 리드에 맞춰 제 몫은 해줬다.

이후 폴란드리그와 독일리그를 전전하며 무난하다면 무난하고 애매하다면 애매한 성적을 기록했다. 1살 아래 라마베어, 2살 아래 프라이드스토커와 비교해도 완전히 팬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한때의 LEC 유망주가 되었다.

그러나 2021년 뜬금없이 프랑스 리그의 슈퍼팀 카르민코프의 정글러로 발탁되었고, 팀과 함께 떡상했다. 다만 2회 연속 2부리그 우승을 차지한 팀의 정글러이나, BIG 우승 시절 5옵션 소리 듣던 돈아츠 얘는 그 브라질 가서도 조졌잖아... 정도까진 아니더라도 LEC 콜업은 힘들어보인다. 결승전에서도 역할 수행이 단순하고 손을 덜 타는 자르반을 기용하면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손을 타는 리 신과 그라가스로는 게임을 던져 상대 원딜러 목구멍에 떠먹여주는 추태를 보였다. 좋은 팀워크에 맞춰 0.8~1인분이 한계다 보니, 주도성과 캐리력을 중시하는 1부리그로 다시 올라가기에는 2% 그 이상이 모자라다.

그러나 2022년 Team BDS가 카르민코프 향우회를 결성하면서 LEC 복귀의 기적을 기어이 써냈다.

고점이 낮은 노망주라는 유럽 팬들이 싫어할 요소를 다 가진 선수라 의문의 프갈코인 탑승 콜업 이후 기대치는 낮은 편. 그나마 KC의 팬덤이 워낙 크다 보니 여론이 다소 무마되는 정도이다. 드디어 콜업이 이루어진 슬라탄은 물론이고 EM 결승 맞상대였던 맥시나 EM 4강에서 만난 아카바네, 전년도 EM에서 맹활약을 보여줬으나 올해는 고통받은 래블과 같은 유망주들에 비해 장점이 두드러지지 않는데 단점이 없는 것도 아니었던 선수다 보니 LEC에서 주전으로 1인분을 해내려면 본인과 동료, 코치진 모두 정말 많은 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하필 BDS 2군 정글러도 즉전감이 아니라 프랑스 2부리그 경력만 있고 1부리그가 처음이다 보니, 싱크로프가 못버티면 그대로 스프링 시즌은 터져나갈수도.

그래도 특유의 메카닉과 교과서적인 동선으로 보좌역은 LEC에서도 일주일간 간신히 소화하는 중. 물론 동갑내기 덴전드, 아니 북전드 산토린의 하위호환같은 정글러라 다른 폴란드 정글러들과 달리 성장성은 높게 보기 어렵다. 특히 엑스매티의 배설물을 치우라는 것은 같이 얼타는 싱크로프에겐 지나치게 가혹한 임무가 될 것이다.

놀랍게도 1인분 초과는 상당히 무리지만, 2주차에도 당당히 나도 나머지 3명처럼 엑스매티에 고통받는다고 주장할 수는 있을 정도의 경기력을 뽐내고 있다.

3주차에는 잔자라와 길리어스를 박살내고 하드캐리하면서, 북미덴마크의 동갑내기 산토린처럼 메카닉 측면에서의 노익장을 과시하는 중이다.

4주차 2연패 과정에서도 싱크로프를 범인으로 지목하는 여론은 없다. 말랑, 엘요야, 셀프메이드처럼 혼자서 게임을 뒤흔들 수 있는 정글러도 아니고 얀코스와 같은 영리함, 마르쿤과 같은 높은 포텐셜이 느껴지진 않으므로 상위권 정글러라 보긴 어렵다. 하지만 그들과 생각만큼 큰 차이가 4주간 누적된 것도 아니고, 프나틱서 좀 헤메는 라조크, 기복있는 그 라조크의 후임자 슬라탄과 비교해서 싱크로프가 절대로 나쁜 1라운드를 보낸 것은 아니다. 정말로 팀적으로 해야 할 일 다 해줬고 메카닉도 준수해서 길리어스, 잔자라와는 넘사벽 차이가 존재했다. 두 어르신은 당장 2라운드 샌드다운이 시급하긴 하지만 넘어가자...

하지만 스프링의 노익장은 회광반조였는지, 서머 시즌에 와서는 G2의 얀코스와 함께 늙은 정글러의 절망편을 보여주고 있다. 뭐 하나 장점이 없는, 딱 카르민코프 시절로 돌아왔다. 안 그래도 액스매티의 화려한 역캐리력을 억제하는 주요 키 중 하나가 싱크로프였는데, 그 싱크로프마저 폭락하니 BDS가 추락하는 것은 당연.

7. 기타

  • 유명 스트리머가 구단주가 되어 가장 밑바닥부터 팀을 끌어올려 유럽 정상에 올리는 동화같은 스토리에 2021년 프랑스에서는 LEC 소속 팀들보다 인기가 더 많았다. 국내에서는 비슷한 팀으로 러너웨이가 있는데, 러너웨이도 롤팀을 승강전부터 도전했지만 결국 LCK 승격에 실패한 반면 Kameto와 Prime은 이를 성공해냈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Kameto의 프랑스 롤씬에서의 인기와 영향력은 스트리머 러너가 아닌 과거 아프리카TV BJ에서 롤판을 주도하던 전성기의 러너보다 더한 수준이다. 왜냐하면 프랑스의 공식 롤 방송 채널조차도 Kameto가 이전까지 롤 중계권을 허가받았던 O'gaming에서 퇴사한 인원들과 협력하여 만든 'OTPlol'이기 때문. 게다가 프랑스 국적의 뛰어난 유망주 및 선수들은 전부 Kameto와 친분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현재 인기가 어느 수준이냐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카르민 코프가 우승한 직후 Kameto의 개인 트윗 쪽지를 통해 EM 우승을 축하한다는 메세지를 보낼 정도다. LEC의 프랑스 계열 팀들조차 이런 축전을 받은 적이 없는데 말이다. 물론 정치인의 e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참여는 어제 오늘의 은 아니지만, 선진국에서도 위상이 남다른 프랑스의 국가 수장이 e스포츠에 대한 청년층의 열광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e스포츠의 규모가 커졌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실제로 카르민 코프가 경기를 치르는 날엔 과장 보태서 파리 시내에 축구팀 팬덤급 응원단이 출몰할 정도이다.
  • 다만 이 인기와 비례하듯이 현지에 강성 팬들이 많기로 유명하다. 2023년 레드불에서 주최하는 이벤트전인 Red Bull League of Its Own에 T1이 참여했을 당시 카르민 코프와의 경기를 앞두고 페이커와 인터뷰하는 도중 크게 야유를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고, 이로 인해 관계자들이나 레딧 등지에서 이들이 한 행동에 대해 비판하는 의견이 다수 나오기도 하였다.
  • 인기와 실력 덕분인지 LEC 1군 팀들과도 스크림 일정을 잡은 적이 있었다고 하는데, 2021 스프링 시즌 중에 카르민 코프가 유럽 패왕급 전력을 지녔던 G2를 상대로 스크림에서 이겼다고 G2 선수들이 개인 방송에서 밝힌 적이 있다. 다만 카르민 코프는 이전 2부 리그 우승팀들에 비해 운영과 교전 팀합이 깔끔하고 구멍 멤버가 없는 반면, 라인전 체급이 그리 튼실하지 않고[1] 에이스 선수가 소위 크랙 역할을 하기 별로 적합하지 않은 포지션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기력의 고점은 그렇게까지 높지 않은 편이다. 높은 인기와 별도로 크게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는 이야기.
  • 예전 주인인 샌드박스 네트워크가 여전히 지분을 소유한 FearX처럼 이쪽도 시드권의 전 주인인 Astralis가 여전히 팀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그 이유는 LEC 시드권을 인수할 때 아스트랄리스가 AK-Game SAS라는 자회사를 만들고 카르민 코프가 AK-Game SAS 지분의 66.67%를 인수하는 형태로 시드권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게다가 2025년까지 분할 납부를 하는 형태로 양도 계약을 맺었기 때문에 만약 분할 납부조차 실패한다면 아스트랄리스가 다시 팀을 가져가는 광경도 목격할 수 있다. 물론 아스트랄리스도 리그 오브 레전드 팀에 큰 미련이 없기 때문에 카르민 코프가 2031년까지 팀의 지분을 모두 가져갈 수 있는 조항을 마련해 놓았다.
  • 한국 시간 2024년 6월 3일 오전 1시, 프랑스 파리 현지에서 LCK 레전드 팀과 쇼매치 행사를 진행하였다. LCK 레전드로는 MaRin 장경환, Ambition 강찬용, PawN 허원석, Easyhoon 이지훈, Cpt Jack 강형우가 참여하였다. #

[1] 물론 하체에 비해 매우 심각한 상체의 체급과 챔피언 폭 때문에 서머에 드라마틱하게 떡락해버린 T2와 달리, 카르민 코프는 2명의 탑 라이너와 타르가마스가 모두 막강해서 그랜드 슬램에는 실패했을지언정 LFL 준우승까지 해냈고 기어이 EM 2연패에 성공했다. 그러나 원딜 역량은 더 높다고 보기 힘들어서 아주 완벽한 상위 호환까진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