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의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얀마 | 라오스 | 베트남 |
말레이시아 | 태국 | 캄보디아 |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필리핀 | |
인도네시아 | 동티모르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고대 | 중세 | 근대 | 현대 | |||
고대 라오족 | 란쌍 왕국 | 왕국 분열 | 프랑스 | 일제 치하 라오스 왕국 | 라오스 왕국 | 라오인민민주공화국 | |
라오스 보호령 |
1. 개요
라오스의 역사. |
동남아시아 유일의 내륙국이라서 그런지 동남아 국가들 중 중앙집권적 국가로서의 역사가 가장 짧다.
2. 고대
라오스의 주 민족인 라오 족은 따이(Tai) 족의 일파로, 태국의 타이(ไทยสยาม) 족과는 친척 관계에 있는 민족이다. 따이 족은 5~8세기부터 동남아의 강국들의 지배가 닿지 않는 인도차이나 북부 외곽 지역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하여 동남아시아에 자리잡았는데, 11세기부터 동남아 각국의 기록에 나타나면서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들은 므앙(ເມືອງ)이라고 통칭하는 여러 소국들을 세웠는데, 이 시기 라오스 지역에는 루앙 프라방과 비엔티안의 므앙들의 세력이 두드러졌다.[1] 베트남에선 각기 남 쯔엉(Nam Chưởng, 南掌: '란쌍'의 음차로 추측), 반 뜨엉(Vạn Tượng, 萬象: '비엔티안'의 음차이거나 란쌍의 뜻인 '100만 마리의 코끼리'를 훈차한 것으로 추측)으로 불렀으며, 그 전에는 라오 꽈(Lão Qua, 老檛[2], 노과)나 아이 라오(Ai Lao, 哀牢, 애뢰)[3]라는 명칭으로 불렀다고 한다.2.1. 아이 라오(Ai Lao, 哀牢, 애뢰)
라오족의 고대 조상으로 짐작되는 애뢰는 후한서 남만서남이열전 애뢰이(哀牢夷)전에 기록되어있다.- 애뢰 건국신화
- 47년, 애뢰왕 현률의 녹다 정벌
- 51년, 애뢰왕 현률의 한나라 내부
- 69년, 애뢰왕 류모의 한나라 내부
- 76~77년, 애뢰왕 류뢰의 반란
- 애뢰의 내부와 애뢰의 반란 진압을 거치면서 한나라가 이 일대에 진출하자 94년, 돈인을왕 막연의 조공, 97년과 120년, 탄국(미얀마 샨족) 옹유조왕의 2차례 조공을 받는 등 미얀마,인도,대진(大秦=로마)로 가는 새로운 길을 확보하였다.
- 애뢰의 풍습
3. 란쌍 왕국 시대
(진녹색이 란쌍)
역사에서의 등장 이래 계속해서 여러 소국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던 라오스 지역은 파응움(ຝ້າງູ່ມ)의 등장으로 인해 통일된다. 크메르제국 왕가에서 성장한 그는 루앙 프라방에 위치해있던 한 무앙에서 변란을 피해 앙코르로 망명했던 왕자의 아들로, 크메르 왕의 명령을 받들고 현 라오스 일대를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이어 그는 루앙프라방에 수도를 정하고 크메르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1353년 란쌍 왕국(ລ້ານຊ້າງ)[7]을 세운다.
하지만 그는 화려한 초기 치적에도 불구하고 무수한 전쟁과 코랏(โคราช)고원 이주 정책과 병적인 탐색(貪色)으로 인해 민심을 잃고 귀족들에게도 미움을 사 끝내 1374년에 왕위에서 쫓겨나고 말았고, 왕위는 그의 큰아들이 계승하게 된다. 동남아시아사를 다루는 학자들은 이에 대해서 파응움이 귀족세력을 통제하는 데에 서툴렀던 것을 방증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란쌍은 쌈쎈타이(Samsenethai, 1374-1416) 왕 시대에 안정기를 맞는데, 이 왕의 이름의 '30만 명의 따이인'이라는 뜻에서도 보이듯이 이 시기의 란쌍 왕국에서 체계적인 인구조사가 시행되었던 듯 하다. 이 인구조사에 따르면, 성인 따이족 성인 남성 인구수는 30만 명이었고 비따이계의 성인 남성 인구는 40만 명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동아시아에 비해 전통시대에 국경이란 개념이 불분명[8]했던 동남아시아의 특성상 인구조사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과장이 섞였을 거라 보는 이들도 많다.
쌈쎈타이 왕 사후 라오스는 왕위계승분쟁에 시달린다. 그러다가 쌈쎈타이의 아들 짜까팟팬패오(Chakkaphat Phaen Phaeo 1442 - 1480)가 비엔티안에서 루앙프라방으로 돌아와서 왕위에 올라 란쌍을 부흥시켰으나... 하필 그 시기에 이웃 베트남의 타인 똥(Thánh Tông 1460–1497)이 정복전쟁을 하는 바람에 현 씨앙쿠앙(ຊຽງຂວາງ)지역을 뺏기고 말았다. 씨엥 코앙 분쟁은 베트남과 라오스가 치열한 전쟁[9]을 벌이고 난 후 라오스에서 베트남의 씨앙쿠앙 영유권을 인정하게 되면서 일단 일단락되었다.
이후 16세기 들어 란쌍 왕국은 전성기를 맞게 된다. 아래는 당시 왕들.
- 위쑨 왕(Visoun, 1501-1520): 비엔티안에 있던 프라방 불상 루앙프라방으로 이치, 라오스의 건국신화 쿤보롬 신화 정리
- 포티싸랏 왕(Phothisarat, 1520-1547): 힌두교 사원·정령신앙 금지(불교 발전을 위한 조치), 탓빠놈(That Phanom) 사원 건설, 비엔티안에 궁전 건설(다음 대에 비엔티안이 라오스의 수도가 되는 기반이 됨)
- 쎄타티랏 왕(Sethathirat, 1547-1571): 비엔티안 천도(AD 1563), 버마 침공 격퇴[10], 치앙마이에 있던 에메랄드 불상[11] 비엔티안으로 이치, 루앙 프라방에 탓루앙(That Luang) 사원 건설
쎄타티랏 왕 사후 란쌍은 버마의 침공을 받으면서 점령과 독립을 반복하고 왕위계승분쟁에도 시달리다가 쑤린야웡싸(Surinyavongsa, 1637-1694)왕 때 다시 안정기를 맞는다. 이 시기의 비엔티안은 많은 사원이 건설되고 화려한 예술품이 제작되었고, 라오스 문자로 쓰인 문학도 발달하였으며, 서양 국가들과의 교역도 활발하였다. 쑤린야웡사 왕 시기 란쌍 왕국을 방문했던 네덜란드 상인 부이스토프(Gerrit van Wuystoff)가 1641년 비엔티안 외곽의 사원에서 본 왕의 행렬을 쓴 기록이 있는데, 이를 보면 이 당시 란쌍 왕국이 화려하게 번영했음을 알 수 있다.
흰색 코끼리를 탄 왕이 도심으로부터 와서 우리들 천막 앞으로 지나갔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하듯 길 위에 무릎을 꿇었다. 왕은 23세 정도 되어 보였다. 약 300명의 군인들이 창과 총으로 무장한 채 그의 앞에서 행진했고, 뒤로는 코끼리를 탄 병사들이 따르고 다시 그 뒤로는 악대들이 지나갔다. 이어서 2000여 명의 군인들이 지나갔고 왕의 다섯 부인을 태운 16마리의 코끼리가 나타났다.
4. 분열 시대
쑤린야웡싸(Surinyavongsa, 1637-1694) 왕 사후 란 쌍 왕국은 루앙프라방 왕국, 비엔티안 왕국, 짬빠싹 왕국으로 분열되는데, 여기엔 복잡한 사정이 있다.
쑤린야웡싸 왕에겐 아들이 한 명 있었는데, 그 아들이 고위 관료의 아내와 간통을 해서 처형되는 바람에 왕위계승을 할 사람이 딱히 없었다. 이 혼란은 쑤린야웡싸의 손자가 왕위를 계승하고 쑤린야웡싸 왕의 사위가 섭정을 하게되면서 잠시 가라앉았다가, 1700년에 남부의 실력자에 의해 찬탈당했다.[12]
이렇게 왕실이 무너지고 찬탈자가 활개치는 와중에 베트남으로 망명했었던 쑤린야웡싸의 맏형의 아들이자 쑤린야웡싸에게는 조카였던 싸이 옹 후에(Sai Ong Hue)가 비엔티안으로 돌아와 찬탈자를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했다. 쑤린야웡싸의 손자들이 살아있었음에도 그가 손쉽게 왕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데에는 손자들이 루앙 프라방으로 도망가 있었기 때문.
상황이 이렇게 되자 루앙 프라방에 망명해있던 킹킷싸랏(Kingkitsarat)은 한 무앙 지배자의 도움을 받아 루앙 프라방을 수도로 정하여 루앙 프라방 왕국을 세우고(AD 1707), 쑤린야웡싸의 다른 손자였던 노카쌋(Nokasad)도 남부에서 짬빠싹을 세워 비엔티안에서 독립(AD 1713)하였다. 이렇게 해서 란쌍 왕국이 분열된 것이다.
비엔티안에 있는 아누 왕의 동상
란쌍 왕국이 삼국으로 분열되면서부터는 베트남과 태국의 간섭이 전보다 심해졌다. 이에 라오스판 공민왕이라 할 수 있는 비엔티안의 아누 왕(Anu Vong, 재위 1804-1827)[13]이 태국에 맞서 이 상황을 타개해보려고 베트남과 손을 잡고 태국 공격을 시도하기도 했지만,[14] 아누의 계속되는 태국 공격에 진저리가 난 베트남의 민 망 황제(Minh Mạng, 明命, 명명, 재위 1820-1841)가 배신을 하는 바람에 수세에 몰리고 말았다. 아누 왕은 당시 베트남의 영역이었던 씨엥 코앙(Xieng Khouang)[15]으로 망명해 다시 한 번 베트남의 지원을 요청했지만 실패하고 그곳의 수장이었던 노이(Noi)에게 잡혀 방콕으로 보내졌고 이로써 비엔티안 왕국은 멸망하였다. 한편 방콕으로 보내진 아누 왕은 옥사했다고 한다.
이원복 교수 교양만화 <가로세로 세계사> 2권에 따르면 태국과 베트남이 나눠 정복한 후 나라 자체가 없어졌다고 설명했지만, 사실은 태국과 친했던 루앙 프라방 왕국이 살아 남아서, 비엔티안 왕국 멸망 후인 1830년대부터 1860년 초까지 안정기를 누리게 된다. 이 시기에 베트남과 태국이 서양세력의 침략에 대응하는 틈을 타 베트남으로부터 빼앗겼던 쩐 닌을 되찾고, 태국으로 옮겨졌던 프라방 불상도 다시 되돌려받았다.
하지만 1860년대 이후 중국의 정세가 불안(태평천국의 난)해지기 시작하면서 운남에서 이슬람교도들의 반란이 일어나고(두문수의 난=판데의 난) 중국인들이 라오스로 망명해와 도적으로 변해 약탈을 하기 시작하면서 라오스의 정세도 똑같이 불안해지기 시작하였다.
결국 이에 시달리다 못한 루앙 프라방은 프랑스에 도움을 요청하여 1893년에 보호국이 되었다. 1893년에 루앙프라방을 보호국으로 만든 프랑스는 태국에 군함으로 무력시위를 하여 메콩강 이동의 영유권을 얻어냈다. 이렇게 해서 현재의 라오스 영토가 형성되었다.
5. 프랑스 식민지 시대
1887년부터 현재의 베트남, 캄보디아와 함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로 묶인 식민지령 연방의 일부가 되었다. 루앙프라방 왕국은 괴뢰국화 되어 프랑스의 간접통치를 받았고, 나머지 라오스 지방은 프랑스 총독부의 직접적인 통치를 받았다. 1945년 잠시 일본에 의해 강제로 독립하여 일본의 괴뢰국화가 되었던 적이 있다. 일본 패망 후 돌아온 프랑스에 의해 다시 식민지로 존속되다가 1947년 라오스 왕국으로 독립하면서 비로소 프랑스 식민지 시대가 완전히 종료되었다.자세한 사항은 프랑스령 라오스 문서 참고.
6. 일본 제국의 괴뢰국 시기
일본 제국의 괴뢰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6px -1px -11px" | 지역 | 국가 | ||||||||
중국 대륙 일치시기 | 만주 | 만주국 | ||||||||
내몽골 | 찰동특별자치구 | 몽고군정부 몽골연맹자치정부 | 몽강연합자치정부 | |||||||
진북자치정부 | ||||||||||
찰남자치정부 | ||||||||||
중국 본토 | 기동방공자치정부 | 중화민국 임시정부 | 중화민국 난징 국민정부 | |||||||
상해시대도정부 | 중화민국 유신정부 | |||||||||
동남아시아 | 버마국 | 필리핀 제2공화국 | 캄보디아 왕국 | |||||||
베트남 제국 | 라오스 왕국 | |||||||||
남아시아 | 자유 인도 임시정부 | |||||||||
식민지 · 군정청 | }}}}}}}}} |
1944년, 비시 프랑스가 몰락하자 자유 프랑스 쪽에 갈아타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에 불안감을 느낀 일본 제국이 쿠데타를 일으켰다.(명호작전) 1945년 3월 프랑스 총독부를 폐지시키고 행정권까지 장악한 후 프랑스인들을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몰아낸 다음 각 지역의 명목상 군주들을 수반으로 한 괴뢰국을 세웠다.
자세한 것은 라오스 왕국(괴뢰국) 문서 참조.
7. 자유 라오당(라오이싸라)과 독립운동
1945년 8월 일본이 패망하고 1946년 5월에 복귀한 프랑스는 루앙프라방 왕의 통치 아래 통일된 라오스를 승인하였지만, 제국주의 외세에 염증을 느끼던 터에 국민들 사이에서 독립할지 프랑스 식민지로 돌아갈지를 둔 갈등이 벌어져 혼란이 일었다. 왕은 프랑스 복귀를 환영했으나 부왕 페차라트 공과 수반나 푸마, 수파누봉 등 독립파 왕족들은 자유 라오당(라오 이싸라, Lao Issara)라는 정당을 창당해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연대하였고, 베트민(越盟)의 지지 하에 반불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했다.위에서도 말했듯 1946년 프랑스의 식민 통치가 재개되자 지도부는 태국과 베트민으로 망명했다. 라오스-베트남 간 국경 지대를 중심으로 게릴라 투쟁을 벌여나갔다. 구성원들은 전부 라오족이지만 고산지대 소수민족들 역시 반외세투쟁을 지지했다.
이에 프랑스는 베트남 공산군과의 전투에 치중하고자 유화작전을 펼쳐 라오이싸라에 추파를 던졌고, 루앙프라방 왕을 전체 라오스 왕으로 격상시키며 라오스인 민족정부 수립도 허용했다. 1947년에 프랑스 정부는 군사, 재정, 외교권을 뺀 조건부 독립을 승인하고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후 프랑스군이 완전 철수함으로써 1950년 라오스 왕국으로 사실상 독립하였다.[16] 프랑스 연방 내에서 제한된 독립이 허용되자 라오이싸라는 분열되었는데, 이 중 수파누봉을 중심으로 한 친공파(親共派)가 파테트 라오가 되었다.
8. 라오스 왕국과 라오스 내전
자세한 내용은 라오스 왕국 문서를 참조.9. 공산화 이후
1975년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이 북베트남군에게 항복하고 종전하면서 라오스 국왕이 퇴위하고 지금의 라오 인민민주공화국이 수립되어 초대 국가 주석으로 쑤파누웡이 취임한다. 그는 공산주의 정권을 수립한 뒤에도 쑤완나 푸마를 숙청하지 않고 살려두어 정부 자문관으로 임명했으나, 나라 안에선 국가통제 중심의 교조공산주의를 강요하여 귀족과 지주, 기업인 등을 반동분자로 찍어 전 재산을 뺏고 재교육장으로 내몰았으며, 모든 생산수단을 국가 소유로 만들었다. 국민들에겐 공산주의 외의 어떠한 사상도 금지시켰다.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같은 공산주의였던 북베트남을 지원해왔기 때문에 사이가 매우 좋았다. 그리고 1980년대 베트남이 이끄는 인도차이나 동맹(라오스·베트남·캄보디아)의 일원이 되었다. 다른 한편 공산정부 측은 1978년 농업정책을 협동체제로 전환해 경제공산화를 꾀하려다 경제는 갈수록 악화되었다. 이미 30여년 간의 전쟁으로 전 국토가 폐허가 된 데다 공산화 이전 우방국이던 미국과 태국이 원조 및 경제협력관계를 끊고 중산층 등 라오스 국민 10%가 태국 등지로 망명을 갔기 때문이다. 애초부터 비엔티안을 비롯한 라오스의 상당수 지역이 태국과 강만 건너면 되는데다가 또한 당시의 태국이 매년 7~9%대의 고도 경제성장을 하던 시절인지라 비록 저임금일지라도 일거리는 많았고, 또한 언어적으로도 태국어와 라오어가 사투리 수준으로 가까워서 익히기 쉬워서 문자만 익히면 정착에 큰 어려움이 없었던것도 이를 부채질했다.
1986년 라오스 정부는 경제정책을 수정해 중국이나 베트남과 비슷한 노선을 가고 있으며, 먼저 민간생산을 권장하고 외국자본을 제한적으로 허용했으며, 동년도부터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추진했다. 1989년 동구권 공산정권 붕괴와 1991년 소련 해체로 원조가 끊어져 라오스 정부도 변화의 필요성을 늦게나마 절감했다.
1989년 첫 직선제 총선을 치르고 1991년 헌법을 바꿨고, 같은 시기 경제 자유화 조치를 취했으나 공산당 1당 독재 하에선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하는 데 제약이 너무 많이 따랐고, 이에 따라 경제도 바닥을 더욱 뚫었다. 그럼에도 라오스 정부는 1995년 '반혁명활동'[17] 단속을 개시하여 국민들의 가난은 안중에 두지 않고 이념 수호에 치중했다.
1997년 ASEAN에 가입하고 2002년 자유선거로 국민의회의원 99명을 뽑았다. 하지만 후보자 거의 모두가 인민혁명당원이었고 따라서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먼 선거놀음이었다.
ASEAN 가입 후 2000년대 이래 세계 각국의 원조와 협력을 받아 조금씩 발전하고 있다. 현재는 전 주석인 쭘말리 싸이냐쏜이 퇴임함에 따라 분냥 보라칫이 주석으로 승계 작업을 끝내고 통룬 씨쑬릿을 총리로 임명하여 완전한 권력 이양을 끝맺혀 새로운 라오스를 표방 하고 있으며, 라오스의 큰 변화가 보일 것이다. 그 예로 현재의 중국이나 베트남처럼 국가 소유의 큰 틀을 유지하면서 국영기업에 자율권을 부여하여 생산력 향상을 도모하는 경제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베트남과 중국, 태국을 잇는 '교통/물류허브' 정책을 추진중이다. 그러나 이원복 교수의 견해처럼 이미 수명이 다한 사회주의 이념 때문에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이 바뀌지 않는다는 얘기도 있다.
10. 이야깃거리
- 비밀전쟁
베트남 전쟁에서 호치민의 밥줄이 라오스라는 이유로 내전 크리에 1964년부터 1973년까지 미군은 50만 회, 2억 7천만 개, 200만 톤의 폭격을 퍼부었고, 최소 5만 명이 죽었다. 사실 미군 사망자가 6만이고, 베트남 공화국에서 160만, 캄보디아에서 70만이 죽은 것에 비하면 적은 편이긴 하지만 진짜 문제는 불발탄. 아직도 불발탄은 낙후된 고산지대를 중심으로 산재해 있으며, 제거하는 데만 100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충격적인 것은, 1990년대만 해도 연간 사망자 가운데 절반을 넘는 2만 명이 불발탄으로 사망했다. 그것도 대부분이 아이들이다. 인명피해는 물론 산업화를 위해 국토를 활용하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2020년까지는 최빈국 탈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평이 많다. 라오스 현대사의 깊은 상흔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11. 출처
- 전통시대사 파트
- 최병욱, 《동남아시아사 - 전통시대》, (2006,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 비엔티안의 경우 11세기 중반부터 베트남과 교류했다고 한다.[2] 지봉유설에서도 등장하는 표기.[3] 마침(?) 라오스 코앞인 중국 윈난 성에는 아이라오 산(哀牢山)이 있다.[4] 란쌍 왕국이 성립한 시기를 자세히 설명하는 외국 사서는 베트남의 역사서들이 대부분이다. 중국이 자기들 주변의 수많은 국가들에 대해서 기록한 《명사(明史)》 〈외국열전〉에도 란쌍 왕국에 대한 정보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5] 남월지역에서 나무를 베어 물 속에 넣어 겉은 썩히고 속은 단단하게 만들어 놓는 것[6] 새소리처럼 들리는 남만오랑캐의 말[7] 란창(ลานช้าง)이라고도 함.[8] 당연히 중국의 영향을 받은 베트남은 예외다.[9] 단순한 국경분쟁 정도가 아니라 아예 베트남군이 라오스의 수도 루앙프라방까지 쳐들어갔던 대전쟁이었다. 곧바로 라오스의 반격으로 베트남군이 물러나긴 하지만.[10] 당시 따이계 국가중에서 유일하게 버마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내면서 독립을 지키고 있었다.[11] 현 태국 방콕의 그 녹색 옥으로 된 불상 맞다.[12] 최병욱 교수의 『동남아시아사』에서는 찬탈년도가 1700년이라 나오지만, 영문위키에서는 쑤린야웡싸 사후 왕위가 1694년(혹은 1695년)에 고위관료 티안 탈라(Tian Thala)에게 찬탈당하고, 그 뒤에 쑤린야웡싸의 손자 옹 로(Ong Lo)가 왕위를 되찾은 것으로 서술되어있다.[13] 흔히 짜오아누(ເຈົ້າອານຸວົງສ໌)로 불림. 한국어로 직역하면 아누 공 정도?[14] 다만 이원복 교수 교양만화 <가로세로 세계사> 2권에선 아누 왕은 영국이 태국을 공격한다는 헛소문을 들은 것이 계기라고 설명했다.[15] 정확히 말하면 원래 라오스 영토였는데 베트남 쪽에서 삥뜯은 땅이었다. 당시 베트남 쪽 명칭은 쩐 닌(Trấn Ninh 鎭寧).[16] 정식 독립은 1953년.[17] 경제발전을 위해 공산주의를 부정하거나 저항하는 행동 전반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