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3:50:17

애슐리 그레이엄(바이오하자드 시리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애슐리 그레이엄(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애슐리 그레이엄(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애슐리 그레이엄(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베이비 이글]]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베이비 이글#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베이비 이글#|]]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애슐리 그레이엄(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애슐리 그레이엄(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애슐리 그레이엄(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동음이의어: }}}[[베이비 이글]]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베이비 이글#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베이비 이글#|]]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black> 파일:BH_logo 7, RE2, RE3.png{{{+3 {{{#white 바이오하자드}}}}}}
역대 플레이어블 캐릭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 2 3 -Code: Veronica-
0 4 5 Revelations
부분 조작: 파커 루치아니
6 Revelations 2 7 8
9
Gun Survivor 4 Outbreak Outbreak: File #2 The Umbrella Chronicles
}}}}}}}}} ||
<colbgcolor=#eaaa57><colcolor=#fff>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등장인물
애슐리 그레이엄
アシュリー・グラハム | Ashley Graham
<nopad> 파일:애슐리 그레이엄 바이오하자드 4 리메이크 이미지 1.png
바이오하자드 RE:4의 모습
본명 애슐리 그레이엄
アシュリー・グラハム / Ashley Graham
이명 베이비 이글
Baby Eagle (코드네임)
종족 인간
성별 여성
출생 1984년[1]
나이 20세 (4 시점, 2004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aaa57><colcolor=#ffffff>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인종 백인
혈액형 불명
신장 167cm (4 시점, 2004년)
체중 불명 (4 시점, 2004년)
머리카락 금발(blond)[2] (4 시점, 2004년)
갈색[3] (4 시점, 2004년)
학력 파일:UMass_Seal_Medium_PMS_202_0.png 매사추세츠 대학교 (2004년 재학)[4]
소속 대학교 (4 시점, 2004년)
직업 대학생 (2004년)
특징/특기 붙잡힌 히로인
가족 그레이엄
가문
아버지: 그레이엄 이름 불명
어머니: 이름 불명
성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캐럴린 로런스[5] (4편)
제너비브 버크너[6] (바이오하자드 RE:4)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키토 아카리 (바이오하자드 RE:4)
모델 모션
캡처
사이타니 유키코[7] (4편)
제너비브 버크너[8] (바이오하자드 RE:4)
페이스
모델
브룩 엘리자베스 매시슨[9] (4편)
엘라 프레이아[10] (바이오하자드 RE:4)
보디
모델
소피 S[11] (바이오하자드 RE:4) }}}}}}}}}

1. 개요2. 캐릭터 디자인3. 작중 행적4. 여담

1. 개요

파일:Ashley Graham.jpg
Ashley Graham
캡콤의 서바이벌 호러 게임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의 등장인물
소식이 끊어진 합중국 대통령의 딸.
그녀의 수색과 구출 임무를 위해 레온은 유럽의 한촌을 방문한다.
바이오하자드 RE:4 공식 홈페이지 소개문

캡콤의 호러 서바이벌 게임 바이오하자드 4, 바이오하자드 RE:4히로인.

원작과 리메이크 공통으로 20세의 대학생이며 그레이엄 미국 대통령의 딸. 오리지널에선 활기 넘치는 성격이었으나, 리메이크에선 사이비 교단에 납치당한 충격으로 두려움에 시달리는 모습을 많이 보인다. 다만 플레이에 도움이 안 되어 짐슐리라는 악명까지 붙었던 원작에 비해 RE:4에선 적극적으로 레온을 서포트하고 후반에는 농담까지 주고받는 등, 그의 영향을 받아 두려움을 딛고 나아가는 성장형 캐릭터의 모습을 보인다.

이미지 컬러는 주황색 계통이다.

2. 캐릭터 디자인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 width=100%><nopad> 파일:애슐리그레이엄기본.jpg <nopad> 파일:애슐리그레이엄클리어특전.jpg <nopad> 파일:플레이트아머애슐리.jpg
기본 복장 클리어 특전 복장 }}}
바이오하자드 4
<nopad> 파일:애슐리 그레이엄 무한의 어둠.jpg <nopad> 파일:애슐리 그레이엄 바이오하자드 4 리메이크 이미지 1.png
바이오하자드 무한의 어둠 바이오하자드 RE:4

원작 바이오하자드 4에서는 아직 고등학생 티가 남아있는 앳된 얼굴이지만 RE:4에서는 갓 성인이 된 여성 느낌으로 모델링 되었다. 목소리도 말괄량이 소녀 같던 원작과는 달리 매우 성숙하다.

옷의 경우 원작에서는 상의는 민소매 목폴라 스웨터에 세라복의 옷깃처럼 생긴 머플러를 두르고 있고 하의로는 초록색 체크무늬 치마를 입고 있으며 갈색 부츠를 신고 다닌다. 옷 스타일과 배색이 사일런트 힐 3의 주인공 헤더 메이슨과 흡사하다.

RE:4에서는 상의에 주황색 블레이저가 추가 되었고[12] 세라복 옷깃 같던 머플러는 평범한 스카프로 바뀌었으며 하의는 단순한 치마에서 치마바지로 바뀌었다. 맨다리던 원작과 달리 검은색 스타킹이 추가 되었다.[13]
파일:레온 & 애슐리 코스튬: '캐주얼'.png 파일:레온 & 애슐리 코스튬: '로맨틱'.png
코스튬: '캐주얼' 코스튬: '로맨틱'
2023년 3월 16일 바이오하자드 RE:4 공식 웹사이트에 애슐리의 Extra DLC Pack 특전 복장이 공개되었는데, 동봉된 코스튬 '캐주얼'은 전혀 캐주얼하지 않은 이모 패션으로, 코스튬 이름과 이질감이 느껴진다. 그에 비해 '로맨틱'은 이름과 걸맞게 고급스럽게 입고 있다. 캐주얼 복장은 게임의 완성도와는 별개로 너무 이질감이 느껴지는 외형으로 혹평이 우세한 편이다. 머리스타일도 이상해져서 외모가 너프되는 건 덤.

오리지널에서 루이스 세라는 첫 만남에 "미국 대통령님께선 따님 가슴탄도 미사일을 달아놓으셨구만."이라는 농담을 던지고, 후반에 레온도 "네 엉덩이라면 괜찮을 줄 알았지."라는 섹드립을 던질 정도로 가슴이 크고 몸매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 관련 농담 대사가 삭제되고 캐릭터 3D 모델 자체가 더 현실적으로 바뀌게 된 리메이크에서도 프로필에서 바디 모델을 거의 그대로 따온 덕분에 몸매가 여전히 굉장한 편. 또한 외모 역시 원작보다 훨씬 예쁘다는 호평이 많은데, 덕분에 애슐리의 페이스 모델인 엘라 프레이아도 주목받고 있다.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애슐리 그레이엄(바이오하자드 시리즈)/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슐리 그레이엄(바이오하자드 시리즈)/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슐리 그레이엄(바이오하자드 시리즈)/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 잠시 애슐리를 플레이할 때 무기가 아예 없기에 적을 공격한다거나 하는 건 불가능으로 잘 피해다녀야만 한다.[14] 헌데 바하4 시스템상 적이 문 뒤에 서 있을 때 문을 세게 열면 적이 무릎을 꿇는[15] 모션이 나오는데, 북미 게임큐브판 한정이지만 이때 애슐리로 공격을 시도하면 수플렉스로 적을 박살내는 걸 볼 수 있다. 이 플레이 부분은 일본판 한정으로 카메라가 고전 바이오하자드 시점으로 바뀌며 HD 프로젝트에선 옵션으로 재현할 수 있다.
  • 북미판에서는 바스트 모핑이 있는데, 일본판에서는 잘렸다.[16] 정확히는 게임큐브판 한정으로 북미판은 매우 많이 움직이고, 일본 및 유럽판은 약간씩만 움직이도록 조정되어서 눈에 안 띈다. 기기 성능이 게임큐브보다 떨어지는 PS2와 PS2를 베이스로 제작된 PC 버전에선 북미, 일본 불문하고 아예 움직이지 않는다.
  • 의외로 대범한 면이 있어 레온이 총을 쏘면서 적을 잡을 때 등 뒤에 숨어서 적이 죽을 때마다 주먹을 불끈 치켜들거나[17] 병사 가나도에게 거칠게 밀쳐져 넘어졌는데도 구출될 때 까지 살려달라고 소리지르며 감옥문을 내리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성격이 좀 더 현실적으로 변경된 RE에서도 가라도르를 퇴치한 뒤 지하감옥에 데려가 시체를 보여주면 징그러워 하기는 커녕 '동물이 아니라 아쉽다'는 반응만 하거나 크라우저에게 넘겨지기 직전에도 계속해서 몸부림 치며 저항하거나, 세 번째 회로 퍼즐 직전에 병사들에게 잡힐 뻔했는데도[18] 레헤네라도르가 레온을 쫓아오려 하면 '이건 어때?'라고 당당하게 소리치며 핸들을 놔서 레헤네라도르를 떨어뜨려 죽인다.
  • 리메이크 작에선 교회에 부서진 휴대폰이 있는데[19] 애슐리 앞에서 상호작용하면 산지 얼마 안된건데 진짜 이러기냐며 화를 내는 모습이 나온다. 추정상 작중 배경을 명확히 하기 위한 장치로 보이고 망가진거라서 그런지 줍지 않고 그냥 버려버린다.[20]
  • 발매 전에는 그녀가 셰리 버킨이라는 정보가 돌아다녔다. 아마도 원래 셰리 버킨을 등장시키려다 대통령 딸인 별개의 인물로 설정을 바꾸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비록 오리지널에서는 이와 관련한 설정 분석이 있고 리메이크에서는 극비 작전이라는 설정이 붙었으나, 상식적으로 대통령의 딸이 연루된 사건인데 아무리 조사가 우선인 임무라지만 일개 요원 한명만 보낸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4편의 원래 스토리는 스펜서의 저택을 조사하다가 감염이 된 레온의 탈출기가 주제였기 때문에 아버지 윌리엄과 친구의 예전 윗 사람인 스펜서와 셰리가 엮이는 것은 어느 정도 핍진성도 갖추고 있다. 정황상 2편의 사건으로 G바이러스에 내성이 생긴 것을 고려하여 항체를 얻으려고 납치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이 4편 초창기의 설정에서 감염된 레온은 바이러스로 인해 머리가 하얗게 탈색되는데, 이 디자인과 오컬트 요소를 더한 것이 바로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단테가 된다. 마침 단테랑 레온은 일본판 한정으로 성우가 똑같다.
  • 바이오하자드 6에는 미국을 조종하는 비밀 조직의 뜻에 반하여 결국 살해되고 좀비가 된 아담 벤포드와는 달리 그레이엄 대통령은 현직일 때 하마터면 딸을 잃을 뻔 했다는 점 빼고는 스토리에 따로 언급되지 않는 걸로 보아, 이 시기를 빼면 나름 생물학 테러 때문에 큰 어려움을 겪는 일 없이 임기를 소화한 뒤 퇴임한 것으로 보인다.
  • 이름이 같은 실존 모델이 존재한다. 이를 모티브로 삼았는지는 불명이나[21] 오리지널에서는 작중 루이스가 애슐리에게 '가슴에 핵탄두를 달았다'는 섹드립 대사가 존재하는데, 예의 실존 모델도 미국에서 활동하는 '플러스 사이즈' 모델이라 특정 부위가 큰 편이다. 캐릭터 디자인이 비교적 현실적으로 변경된 리메이크에서는 예의 대사가 삭제되고 애슐리가 초반부에는 재킷을 입고 있어 잘 부각되지는 않지만, 재킷을 벗고 스웨터만 입게 되는 중반부부터는 당작에서 등장하는 여성들 중에서는 가슴이 가장 크게 묘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외모와 마찬가지로 원작과 리메이크 사이의 성우 연기 톤 차이도 상당히 크다. 애슐리가 납치되는 게임 오버 장면 비교에서도 이런 차이가 직접적으로 드러나는데, 목소리가 훨씬 더 성숙한 리메이크판이 확실히 듣기 낫다는 의견이 많다. 특히 원작 애슐리는 게임 오버 장면이 끝나고 나서도 계속 레온~ 이라고 비명을 질러대서 신경을 긁기 때문에 더더욱. 일본어 음성은 원작보다는 성숙하고 리메이크판보다는 어린 목소리 톤이나, 새들러에게 일시적으로 조종당해 레온을 조롱할 때에는 톤이 확 내려간다.
  • 영미권에서는 리메이크 발표 이후로 Moushley Graham(쥐슐리 그레이엄)이라는 이 생겼다. 애슐리의 리메이크판 외형에서 단발머리가 옆머리로 를 덮는 형태로 바뀌자 팬들 사이에서 취향 차이로 갑론을박이 오갔고, 이 와 원작 애슐리의 높은 목소리에 착안하여 원작 애슐리를 생쥐로 묘사한 팬아트가 만들어진 것. 마침 동물의 숲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그림체기도 하고 마스코트를 연상시키기도 해서인지, 아니나다를까 퍼리 팬덤에서 인기를 끌었다. 절묘하게도 원작 성우인 캐럴린 로런스네모바지 스폰지밥다람이를 맡았기에 이전에도 두 캐릭터를 엮는 성우 개그 팬아트가 종종 있었는데, 이 밈 또한 다람쥐와 마찬가지로 설치류인 쥐와 엮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애슐리가 쥐로 묘사된 것에 착안하여 레온은 고양이로 묘사되는 파생 밈이 존재한다. 레온이라는 이름은 사자라는 뜻도 있기도 하고. 마침 본작에서는 특전 아이템으로 착용하면 무기를 무한탄으로 바꿔주는 '고양이 귀'라는 치장품이 존재한다.
  • 대통령의 딸인 입장이었기에 표적이 되어 납치당해 죽을 고생을 하며 겨우 살아남았지만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스토리에 깊게 개입한 건 아니라서 특별한 떡밥이 생기지 않는 한 직접적인 재출연 가능성은 거의 없다. 실제로 4편으로부터 수십년 후인 빌리지의 DLC 시점까지도 애슐리가 재등장하는 일은 없었으니 사건과는 무관한 곳에서 평범한 일반인으로 살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대통령의 딸이 정치계에 입문하는 것은 현실이든 작품이든 종종 보이나 대통령도 아니고 대통령의 딸이라는 이유로 납치당해 모진 고생을 했으니 정치에는 엮이고 싶지 않아할 듯하다.
  • 바이오하자드 4 리메이크 이후로 애슐리도 주인공이나 요원으로 활동하는 가능성이 없냐는 이야기도 있다. 게임 플레이에서 레온을 만나면서 발전한 모습을 보여준데다 자신도 요원이 다되지 않았냐식의 농담조의 대사로 애슐리가 요원으로써 주인공으로 활약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겠냐는 추측이 오가면서 다른 시리즈들에서 나오기를 기대하는 여론도 생겨나고 있다.[22] 대통령의 딸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신체능력은 평범한 일반인이긴 해도 작품내에서 보여진 대담하고 용감한 모습과 더불어 어떻게든 짐이 되지 않고 도우려고 애쓰는 책임감은 아무나 가지기 힘든 훌륭한 멘탈이라 할 수 있으며, 레온과 떨어져 혼자 행동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죽을 고비를 넘겨가며 결국 레온을 구해주는 활약을 펼치는 모습을 보면 정식으로 훈련을 받고 경험치를 쌓게 된다면 셰리 버킨 못지 않은 요원이 되는 것도 충분히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이다.
  • 리메이크가 발매된 2023년의 실제 미국 대통령은 조 바이든인데, 바이든의 딸 이름이 애슐리 바이든이다. 즉, 애슐리가 현직 미국 대통령의 딸인 시기에 리메이크가 발매된 것이다. 물론 2005년의 원작을 리메이크 한 것이기 때문에, 우연의 일치일 뿐 실제로는 관련이 없다.
  • 루이스가 레온과 자신을 돈키호테의 등장인물로 대응시킬때 애슐리는 둘시네아 공주로 명명되었다.
  • 절묘하게도 오리지널에서 애슐리는 루이스를 제대로 이름으로 불러주나 루이스는 애슐리를 이름으로 부른 적이 전혀 없다. 애슐리가 자신의 이름을 밝히며 루이스의 정체를 물었을 때까지는 애슐리를 '세뇨리타'로 부르다가 광차 파트에서는 둘시네아 공주라고 불렀다. 심지어 리메이크의 DLC 세퍼레이트 웨이즈에서도 루이스가 에이다에게 레온과 애슐리를 언급할 때 레온은 이름으로 부르지만 애슐리는 그 여자애라고 불리는 등 애슐리는 작중 내내 루이스에게 본명으로 불린 적이 없다. 대통령의 자제이고 타 등장인물들이 이름을 언급하기에 이름을 모를 리는 없는 만큼 바람둥이 컨셉 캐릭터들의 '여자들은 애칭으로 부르기' 클리셰를 따른 듯하다.

    리메이크에서는 이름을 부르는 경우가 2번 있다. 첫번째는 애슐리를 구출하고 루이스와 재회했을 때. 애슐리가 감염되었을 때, 애슐리의 증상을 물어보면서 애슐리의 이름을 부른다. 그 외에는 루이스가 죽기 직전 레온에게 "애슐리를 낫게 해줘..."(Help.. Ashley..)라고 말하며 애슐리를 이름으로 지칭한다. 작중 주적인 로스 일루미나도스 측 역시 레온은 성으로라도 이름을 언급할 때 애슐리는 여자애라고 부르는데, 이쪽은 납치범과 인질 관계인 만큼 멸칭에 좀 더 가깝다.
  • 크롭티가 특징인 오리지널의 애슐리 클리어 특전 복장은 아쉽게도 리메이크에서 구현되지 않았다.[23] 복장의 노출도 문제 때문에 도입을 꺼린 것으로 추측된다.
  • 원작에서 애슐리의 치마 아래를 보려고 하면 애슐리가 "뭘 보는 거얏 변태"라고 소리치며 치마를 여몄는데, 이는 치마바지와 스타킹으로 복장이 바뀐 리메이크에서도 유지되어 치마바지 아래를 보려고 하면 손으로 가리며 손사레를 치고 플레이어를 노려본다. 다만 리메이크에서는 레온이 숙이면 덩달아 숙이고, 레온이 밑으로 내려오면 바로 뛰어내리거나 사다리를 타기 때문에 생각외로 보기 어렵다.

[1] 바이오하자드 7의 주인공 에단 윈터스와 그의 부인인 미아 윈터스와 생년이 같다.[2] 링크 참조. #[3] 리메이크에서는 녹안 내지는 벽안 계열이다.[4] 링크 참조.#[5] 네모바지 스폰지밥다람이 성우로도 유명하여 이를 이용한 성우 개그 팬아트도 종종 있다.[6] Genevieve Buechner.[7] 才谷ゆきこ.[8] 성우와 동일.[9] Brooke Elizabeth Mathieson. 매시슨은 바이오하자드 4의 Wii 이식판 광고에 직접 출연한 바 있다.[10] Ella Freya. 일본에서 주로 활동하는 네덜란드 출신 모델인데 본인의 유튜브에서 매우 유창한 일본어 실력을 자랑하고 있어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인스타그램[11] Sophie S. 아일랜드 출신, 일본 거주 코스플레이어 및 버튜버. 4편을 직접 하기도 했다. 인스타그램[12] 속에 입는 목폴라 스웨터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민소매다.[13] 이로써 모이라 버튼과 2편의 에이다 웡에 이은 세 번째 스타킹 캐릭터가 되었다.[14] 중간중간에 배치된 램프를 던져 태워죽이는 것은 가능하다.[15] 적에 대한 육탄공격을 발동할 수 있는 조건.[16] 생각 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데, 일본의 게임 심의는 엄격하다. 특히 폭력 및 성 표현 부분에서 그런데, 북미발 고어 게임이 아예 발매되지 않거나 신체 훼손이 순화되어 발매되고{예: 바이오하자드 7} 여성의 가슴 표현도 검열된다. 그에 반해 한국 심의는 크게 논란이 일 만한 게임이 아예 발매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보통 무삭제로 발매된다.[17] 이 기믹은 리메이크에서도 건재하며, 세퍼레이트 웨이즈에서는 루이스가 해당 기믹을 가져간다.[18] 표준 난이도부터는 숨어있던 병사 하나가 튀어나와 애슐리를 잡으려고 한다.[19] 작중 시점이 2004년이라 현대의 스마트폰이 아닌 폴더폰 즉 피쳐폰이다.[20] 베이스 디자인은 모토로라사의 RAZR 핫핑크 모델로 보인다. 한국만 2005년쯤에 발매했고 나머지 전세계에는 2003년 연말에 발매했다. 작중 시간적 배경이 2004년이므로 사실상 출시된지 반년도 안 된 휴대폰을 저렇게 망가뜨렸으니 화가 나는 게 당연할지도.[21] 해당 실존 모델은 2000년도부터 모델 활동을 시작하였기에 바이오하자드 4 오리지널이 출시된 2005년 시점에도 현역이었다.[22] 빌리지 시점이여도 주인공 에단이랑 같은 나이대라 충분히 등장 할 수 있다.[23] 원작에서 클리어 특전으로 애슐리의 크롭티 복장과 함께 주어지던 레온의 R.P.D. 복장은 머서너리즈의 보상으로 추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