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9:49:53

야마구치 나쓰오

야마구치 나츠오에서 넘어옴
야마구치 나쓰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공명당 로고 (white).svg 공명당 대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칸자키 다케노리
제2대
오타 아키히로
제3대
야마구치 나쓰오
제4대
이시이 게이이치
제5대
사이토 데쓰오
}}}}}}}}}}}}}}} ||

<colbgcolor=#f95580><colcolor=#fff> 일본국 제19-26대 참의원 의원
일본국 제39·40대 중의원 의원
야마구치 나쓰오
山口那津男 | Yamaguchi Natsuo
파일:山口那津男.jpg
출생 1952년 7월 12일 ([age(1952-07-12)]세)
이바라키현 히타치나카시
학력 이바라키현립미토제1고등학교 (졸업)
도쿄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소속 정당

약력 중의원 2선 (1990년 - 1996년)
참의원 4선 (2001년 ~ 현재)
공명당 제3대 대표 (2009년 ~ 2024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일본정치인. 현 참의원 의원이다.

2. 생애

이바라키현 출신으로, 도쿄대학을 졸업한 뒤 1979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사법수습에 수료 후 변호사가 되었다.

1989년 공명당에 입당하여 1990년 도쿄도 제10구에서 중의원이 된 뒤 1993년 재선한다. 하지만 1994년 공명당이 노선 갈등으로 찢어지면서 신진당에 참가하였다가 1996년 중의원 선거에서 도쿄도 제17구에 출마했으나 자유민주당 히라사와 가쓰에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당시 제1야당이었던[1] 신진당이 또다시 계파 갈등으로 박살나고(...) 찢어지자 1997년 신당평화라는 정당을 창당한 뒤 1998년에 공명당이 재결성되자 공명당으로 복귀하였다.

2001년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도쿄 지역구 의원으로 당선되었고, 2007년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2009년 오타 아키히로의 뒤를 이어 제3대 공명당 대표로 취임한다. 2013년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도 3선을 위해 출마하였고, 창가학회의 지지표를 얻어 무난히 2위로 3선에 성공하였다.

2010년대 아베 내각이 출범하면서 연립 여당의 대표가 되었지만, 아무래도 자민당보단 공명당 세가 적고 본인 성격도 유들유들한 편이라 그런지 아베 내각에 끌려 다닌다는 지적도 제법 받는 편이다. 선거에서도 연립 여당으로 자민당 논조에 공조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평화헌법 문제에서 굳이 개헌을 해야 되냐며 아베 내각과 결을 달리 하는 등 본인의 목소리를 내는 경우도 생각보단 많은 편이다.

2020년 1월 2020년 도쿄도지사 선거에 관련해 고이케 유리코를 개인 차원에서 지지했다. 아베 내각의 인기가 하락하면서 목소리를 점차 키우고 있는데, 8월 3일에는 일본 내 코로나19 확진자 급증과 관련해 정부 차원에서 병상 확보와 함께 적극적 PCR 검사에 나서야 한다고 아베 총리에게 제안했다.

9월 17일, 공명당 대표 경선에 단독 입후보하면서 내후년까지 대표직을 유지하게 되었다.

2022년 9월 13일, 자신의 대표직 임기 만료로 인해 오는 9월 25일에 실시되는 당대회에서 출마를 선언했다.

9월 15일, 당대회에서 아무도 후보자 접수를 하지 않아 대표 직을 연임하게 되었다.

2024년 9월 19일 공명당의 쇄신을 위해 대표직에서 물러난다. 2009년 이후 15년만에 대표직을 내려놓게 됐는데 차기 대표로 공명당 간사장인 이시이 게이이치가 선임 되었다.

2025년 7월 28일 열리는 차기 참의원 선거에는 도쿄도 선거구에 출마하지 않기로 선언했다#.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89 - 1994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4 신진당과의 합당을 위한 탈당

1994 창당

1994 - 1997 합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7 - 1998 해산

1998 창당


1998 - 합당[2]

4.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0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도쿄 10구
139,516 (18.7%) 당선 (3위) 초선
1993 제4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26,772 (18.1%) 당선 (1위) 재선
1996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도쿄 17구
63,732 (29.40%) 낙선 (2위)
2000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74,633 (29.36%) 낙선 (2위)
2001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도쿄도 선거구 881,314 (17.48%) 당선 (2위) 초선
2007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794,936 (13.45%) 당선 (2위) 재선
2013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797,811 (14.15%) 당선 (2위) 3선
2019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815,445 (14.18%) 당선 (2위) 4선

5. 여담

  • 2017년 8월 6일, 일본 히로시마시 히로시마 평화기념관 내에 있는 한국인[3]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찾아 헌화했는데, 일본 주요 정당 대표가 한국인 위령비를 공식 방문해 헌화한 것은 처음있는 일이었다고 한다.
  • 2017년 11월 23일 방한하여 문재인 전 대통령과 면담을 가졌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95580><tablebgcolor=#f95580>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95580><tablebgcolor=#f95580>
공명당
참의원 의원 (2019년~2022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와노 요시히로 구마노 세이시 니시다 마코토 니즈마 히데키 다니아이 마사아키
다카세 히로미 다카하시 미쓰오 다케야 도시코 다케우치 신지 미야자키 마사루
미우라 노부히로 사사키 사야카 사토미 류지 스기 히로타카 시모노 로쿠타
시오타 히로아키 아키노 고조 야마구치 나쓰오 야마모토 가나에 야마모토 히로시
야스에 노부오 야쿠라 가쓰오 와카마쓰 가네시게 요코야마 신이치 이시카와 히로타카
이토 다카에 하마다 마사요시 히라키 다이사쿠 }}}
}}}}}}

도쿄도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도쿄도 선거구
2025년 개선 2028년 개선
공석 야마구치 나쓰오 키라 요시코 아사히 겐타로 다케야 도시코 야마조에 타쿠
시오무라 아야카 공석 다케미 게이조 공석 이쿠이나 아키코 야마모토 타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구 2구 3구 4구 5구
가이에다 반리 쓰지 기요토 이시하라 히로타카 다이라 마사아키 데즈카 요시오
6구 7구 8구 9구 10구
오치아이 다카유키 마츠오 아키히로 요시다 하루미 야마기시 잇세이 스즈키 하야토
11구 12구 13구 14구 15구
아쿠쓰 유키히코 다카기 게이 쓰치다 신 마쓰시마 미도리 사카이 나츠미
16구 17구 18구 19구 20구
오니시 요헤이 히라사와 가쓰에이 후쿠다 가오루 스에마쓰 요시노리 기하라 세이지
21구 22구 23구 24구 25구
오카와라 마사코 야마하나 이쿠오 이토 슌스케 하기우다 고이치 이노우에 신지
26구 27구 28구 29구 30구
마쓰바라 진 나가쓰마 아키라 다카마쓰 사토시 오카모토 미쓰나리 이가라시 에리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안도 다카오 스즈키 요스케 마도카 요리코 이토 다쓰야 마쓰시타 레이코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가사이 고이치 아베 쓰카사 마쓰모토 요헤이 다무라 도모코 모리 요스케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구시부치 마리 아리타 요시후 오조라 고키 아베 유미코 하토야마 기이치로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나가시마 아키히사 오모리 에리코 시바타 가쓰유키 이노쿠치 사치코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중원선 선거구 지도 보기]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1] 이 당시에는 자유민주당과 사회민주당이 연정 관계였다. 사회당이 사회민주당과 민주당으로 분열하여 연정파는 사민당, 야당파는 민주당으로 갈려나갔다.[2] 공명, 여명 클럽과의 합당[3] 조선인이 아니라 한국인으로 표기된 이유에 대해서는 히로시마 평화기념관 문서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