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0:39:45

약먹는 천재마법사

약법사에서 넘어옴


파일:약먹는 천재마법사 로고2.png

등장인물 | 설정 ( 마법지역집단 ) | 웹툰

약먹는 천재마법사
파일:약먹는__천재마법사.jpg
장르 게임빙의, 사이버펑크, 아케인펑크,
마법사
작가 글근육
출판사 KW북스
연재처
[ 펼치기 · 접기 ]
문피아
카카오페이지
리디
미스터블루
네이버 시리즈
톡소다
원스토리
북큐브
조아라
연재 기간 2020. 08. 27. ~ 연재 중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
3.1. 에피소드
4. 역대 표지5. 등장인물6. 설정7. 평가
7.1. 비판
8. 미디어 믹스9. 기타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한국의 게임빙의·사이버펑크 웹소설. 작가는 글근육.

2. 줄거리

천재적인 재능을 가졌지만 약 없이는 뛰는것조차 힘들다.
세 번째 부캐로 만들었던 게임 캐릭터.
그 세상 속에 들어오고 말았다.
문피아 작품소개
이번 버전에서는 또 어떤 컨셉으로 게임해 볼까?

극한의 자유도를 자랑하는 게임 'WORLD'.
이번 'ver.3.0'에서는 마법 재능에 모든 걸 몰빵한다!
모든 스텟은 마법 관련 스텟에 올인!
마법 재능을 높여주는 대신, 막대한 디메리트가 걸리는 특성들.

“허수아비, 불면증, 마나중독자, 과유불급도 추가하고, 재인박명……. 수명은 상관없겠지.”

하지만...... 그래선 안 되었다.

캐릭터 생성 후, 정신을 잃고 깨어난 몸은 자신이 직접 생성했던 허약한 육체를 가진 '레녹'이었다.
육체를 일시적으로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건, 싸구려 마약 담배로 인한 일시적 도핑뿐.

화려한 네온사인과 마천루 건물들. 그리고 그 사이에 펼쳐진 비열하고 비정한 거리가 공존하는 도시, 발칸.
그곳에서 레녹은 우선 살아남아야 한다.

'재능'만 충만한 마법사의 처절한 하드보일드 생존기.

<약먹는 천재 마법사>
네이버 시리즈 작품 소개
게임 WORLD를 즐기던 주인공이, ver.3에서 자신이 만든 캐릭터인 병약한 천재마법사 레녹에 빙의한 후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3. 연재 현황

문피아에서 2020년 8월 27일부터 연재를 시작하였으며, 이후 동년 10월 5일에 유료연재로 전환되었다.

리디, 네이버 시리즈, 카카오페이지, 조아라 등에도 연재본이 발매되었다.

3.1. 에피소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483d8b><table bgcolor=#483d8b> 파일:약먹는 천재마법사 로고2.png에피소드 일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20%; min-height:2em"
{{{#!folding [ 1-200 ]
{{{#!wiki style="margin:-10px 0 -10px"
<rowcolor=#000> 회차 소제목 메인 에피소드 비고
001 ~ 005 프롤로그 - 탈출 공장 탈출
006 ~ 051 거대도시 - 천견 발칸 정착 [A]
052 ~ 086 다이크 기업 - 단서 다이크사 협업
087 ~ 094 소음 - 클럽 레아르타 흑마법사 소탕
095 ~ 119 테러라이브 - 자운 오디스
120 ~ 122 하드디스크 속의 신
123 ~ 124 처음 그곳으로
125~ 127 견제
129 ~ 130 무너진 폐허의 끝에서
131
132 ~ 134 정산
135 ~ 136 태동
137 ~ 139 학회 [B]
140 ~ 141 추적
142 ~ 144 테이나 경매장 대천사의 연민 습득
145 ~ 146 탐사단
147 ~ 149 약선
150 ~ 153 조사 - 다비
154 ~ 160 준비
161 수습
162 ~ 164 계획 마약왕 토벌
165 ~ 168 열차
169 ~ 171 부유섬 군락지 [C]
172 ~ 177 등대
178 ~ 179 청사
180 ~ 184 금고 탐색
185 ~ 186 설계
187 ~ 191 플랜트
192 ~ 196 내막 - 경고 카르텔 편 [A]
197 ~ 200 조력
* 소제목은 3화 이상 진행된 것만 기재, 그 외는 요약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0%; min-height:2em"
{{{#!folding [ 201-400 ]
{{{#!wiki style="margin:-10px 0px -10px"
<rowcolor=#000> 회차 소제목 메인 에피소드 비고
201 ~ 202 안타레스 카르텔 편
203 ~ 207 구출
208 ~ 209 소개
210 ~ 213 실마리
214 ~ 218 처방 - 복용
219 ~ 221 혈위전선
225 담판
226 ~ 229 임원총회
230 ~ 232 파계승
233 대답 [5]
234 ~ 238 여운
239 ~ 240 이웃 블레이버 마탑 편
241 ~ 243 훈련
244 ~ 247 화산지대 - 지오니스
248 ~ 250 화로
251 ~ 254 백사자
255 ~ 258 간섭
259 ~ 261 광신의 잔재 팔굉성채 편 [B]
262 ~ 269 선교자 윌터 - 오륜 [A]
270 ~ 273 시작은 화려하게
274 ~ 275 킹메이커
276 ~ 279 대리전
280 ~ 283 빛과 그림자
284 ~ 290 사도강림
291 ~ 293 메시지의 의미 이동요새 공략 편
294 ~ 295 첩보부대
296 ~ 298 시의원
299 ~ 301 암살 모의
302 ~ 307 아리스의 도움 - 모의 훈련
308 ~ 311 톱니바퀴
312 ~ 313 아는지 모르는지
314 ~ 318 요새 공략작전
319 ~ 323 탈태
324 ~ 327 전뇌공능
328 ~ 331 천성의 강함
332 ~ 333 시간의 잔재
334 ~ 336 이해자 - 독대
337 ~ 341 소집령 항하사미궁 편 [C]
342 ~ 344 힘의 기준
345 ~ 348 2인 1조
349 ~ 350 아발란체
351 ~ 354 항하사미궁
355 ~ 357 승천자의 요람
358 ~ 361 미궁 레이스
362 ~ 366 미궁의 끝
367 ~ 371 잠을 깨우는 자
372 ~ 375 진둔
376 ~ 381 미련과 숙원
382 ~ 384 그림자의 메아리
385 ~ 389 새로운 프로젝트
390 ~ 392 조교수의 자질 [B]
393 ~ 396 가지치기 [A]
397 ~ 399 마안상동
400 성장과 증명
* 소제목은 3화 이상 진행된 것만 기재, 그 외는 요약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0%; min-height:2em"
{{{#!folding [ 401-600 ]
{{{#!wiki style="margin:-10px 0px -10px"
<rowcolor=#000> 회차 소제목 메인 에피소드 비고
401 ~ 404 성장과 증명
405 ~ 410 니드 포 스피드 마드리치 토벌 편 [11]
411 ~ 413 군령의 주인
414 ~ 415 백수
416 ~ 420 진실과 진혼
421 ~ 425 새로운 마법체계
426 ~ 430 달라진 것들에 대해 [12]
431 ~ 435 기억의 궁전
426 ~ 438 새로운 분기점 대천사의 눈물 편 [D]
439 ~ 446 대천사의 눈물
447 ~ 450 낙천의 말로 편람의 우물 편 [14]
451 ~ 454 우물의 경계선
455 ~ 459 편람
460 ~ 467 약속이 교차하는 곳
468 ~ 470 마담 [A]
471 ~ 473 검진
474 ~ 478 세계의 관찰자 교단 극동지부 공략 편 [C]
479 ~ 483 바다를 달리는 대지
484 ~ 487 사도 에반
488 ~ 492 신들의 사랑을 받는 자
493 ~ 499 불멸과 필멸 사이
500 ~ 510 중간결산 판데모니엄 중간결산 편 [D]
511 ~ 517 저격수의 진가
518 ~ 520 커튼콜
521 ~ 522 연구, 조정, 개량 반중력 논문 발표 편 [B]
523 ~ 525 마도공학 박람회
526 ~ 529 두번째 논문
530 ~ 533 이중신분 [A]
534 ~ 538 양지의 거인 폐쇄구역 조사 편
539 ~ 543 폐쇄구역
544 ~ 548 카이세
549 ~ 553 과거의 괴물
554 ~ 558 실패의 끝에서부터
559 ~ 562 자문자답
563 ~ 567 세계를 닫는 자
568 ~ 573 기억의 잔재
573 ~ 576 파워게임
577 ~ 582 공간 사용법
583 ~ 586 보충수업 괴신궁 습격 편 [B]
587 ~ 589 슈퍼히어로
590 ~ 592 정령성장촉진의식
593 ~ 598 폼 체인지
599 ~ 600 조각과 부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0%; min-height:2em"
{{{#!folding [ 601-800 ]
{{{#!wiki style="margin:-10px 0px -10px"
<rowcolor=#000> 회차 소제목 메인 에피소드 비고
601 ~ 602 조각과 부품 마키나 편
603 ~ 608 수상한 엔지니어
609 ~ 613 선발식
612 ~ 622 엑스 마키나
623 ~ 625 의문의 컨설턴트
626 ~ 627 강철의 규율
628 ~ 631 설계자
632 ~ 634 해저장벽 심성관
635 ~ 640 신을 죽이는 방법
641 ~ 643 마키나 계엄령
644 ~ 650 집행관
651 ~ 658 승천의 자격 [A]
659 ~ 665 인과응보
666 ~ 672 랜덤박스
673 ~ 678 중앙의회 상원 마탑 창설 편
679 ~ 686 가장 오래된 혈통
687 ~ 699 마녀와 마탑
700 ~ 707 초대받지 않은 손님
708 ~ 723 빈집털이
724 ~ 732 마법사와 마탑
733 ~ 748 저공비행 거인 성채 편 [D]
749 ~ 766 일인극 공용마법 논문 편 [B]
767 ~ 774 세 번째 논문
775 ~ 786 유령비행 요르타 편 [D]
787 ~ 793 요르타의 선지자
794 ~ 798 배신과 광신
799 ~ 800 화신술식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0%; min-height:2em"
{{{#!folding [ 801-1000 ]
{{{#!wiki style="margin:-10px 0px -10px"
<rowcolor=#000> 회차 소제목 메인 에피소드 비고
801 ~ 805 화신술식 요르타 편
806 ~ 813 승천자 도래
814 ~ 823 매듭
833 ~ 864 인수인계 [A]
865 ~ 904 운명을 보는 눈 반 vs 에반 편 [A][C]
905 ~ 911 청문회 [A]
912 ~ 917 딥웹
918 ~ 926 회담 아나테마 편
927 ~ 940 아나테마
941 ~ 945 답천
946 ~ 972 금제
973 ~ 977 어둠의 서고
978 ~ 983 천체술식 : 모형정원
984 ~ 990 중앙전선 경계지대 접합술주 편 [C]
991 ~ 999 첫 번째 관문
1000 접합술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0%; min-height:2em"
{{{#!folding [ 1000-1200 ]
{{{#!wiki style="margin:-10px 0px -10px"
<rowcolor=#000> 회차 소제목 메인 에피소드 비고
1001 ~ 1013 접합술주 접합술주 편
1014 ~ 1049 이정표
1050 ~ 1052 서대륙 내곽항로 쿤다라 편 [A]
1053 ~ 1054 주문연맹주
1055 ~ 1067 별의 그늘
1068 ~ 1083 쿤다라
1084 ~ 1112 9레벨 }}}}}}}}}
}}}

4. 역대 표지

역대 표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약먹는 천재마법사.jpg
파일:약먹는__천재마법사.jpg
1차 표지 2차 표지 }}}}}}}}}

유료화가 되고나서 받은 1차 표지가 엄청난 악평을 받았다. 전반적인 그림 퀄리티는 나쁘지 않고, 소재적으로도 사이버펑크스러운 도시의 현란한 야경, 레녹의 상징인 두터운 코트와 전격 마법, 몬스터 바이크가 그려지는 등 작품의 특징을 상당히 잘 넣었지만 문제는 정작 주인공의 외모가 작중 묘사와 전혀 일치하지 않은 데 있었다. 대마법사, 할리우드에 가다! 라는 제목이면 딱이었다

주인공 레녹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약을 달고 사는 병쟁이 마법사인데 표지엔 매우 광활한 어깨를 자랑하는 건장한 모델 하나가 있었던 것. 물론 레녹은 대외활동 시 환영마법으로 자신의 모습을 멀쩡하게 바꾸고 다니기에 실제 저런 외모를 하고 다닐 가능성도 있긴 하지만, 그런 작품 세부 설정과 별개로 독자들이 기대한 표지는 제목 그대로 '약먹는 천재마법사'를 연상할 수 있는 하드보일드 감성의 피폐한 레녹이 그려진 표지였다.

때문에 약먹마가 올라올 때마다 매번 표지에 대한 악평이 나오는 일이 반복되었고 결국 2021년 3월 12일 2차 표지로 변경되었다. 현 표지도 레녹이 아이돌로 보인다거나 담배가 아니라 왜 사탕을 물고있냐는 등 말이 아예 안 나오는 건 아니지만, 이전 표지보다는 훨씬 낫기에 표지 변경에 대한 평가는 좋은 편이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약먹는 천재마법사/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약먹는 천재마법사/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00e164,#00e164><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00e164,#00e164> 파일:네이버 시리즈 로고.svg ||
별점 9.86 / 10 | 조회 수 847만 2024. 05. 29. 기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58d3f7><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58d3f7> 파일:sosul_network_icon-removebg-preview.png ||
별점 3.93 / 5.0 | 참여자 627명 2023. 12. 23. 기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1E9EFF,#ffffff><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ffffff> 파일:ridinovel_logo.png ||
별점 4.3 / 5.0 | 661명 참여 2023. 12. 23. 기준




미래적인 배경에 마법과 이종족 등 판타지적 요소를 조합한 사이버펑크 어반 판타지 현대물이라는 독특한 세계관과 흡입력 있는 전투장면 묘사가 호평을 받고 있다.

원소 마법, 흑마법, 혈마법, 강령술, 정령술, 도술, 주술, 초능력 등 대체로 작품 하나에 하나씩 나올 법한 이능력들이 같은 세계관 안에 공존하는 것도 특이한 부분. 작중 배경이 설정상으론 게임 속 세상이지만 상태창 등의 요소가 전혀 등장하지 않아 어반 판타지스러운 배경의 장점을 더욱 살리고 있다.

초반 이후로도 꾸준히 유지되는 독특한 세계관과 현란하고 디테일한 전투 묘사가 매력적인 작품이다. 또한 초반에 압도하는 듯한 상대를 천재적인 마법 실력으로 쓰러뜨린다는 뼈대가 같을 뿐, 매 전투마다 주인공이 싸우는 상황과 장소, 사용하는 마법의 종류에 변화를 주며 디테일한 부분에서 계속 변주를 하기 때문에 전투씬이 많이 나옴에도 매번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다.[31] 특히 주인공과 싸우는 상대의 무력을 적당한 긴박감이 느껴지도록 밸런스 있게 연출하는 필력은 주인공이 이길 거란 걸 알면서도 전투씬에 몰입하게 만든다.

또한 이런 소설이 후반으로 갈수록 점점 주변관계 묘사가 얄팍해지고 오직 주인공의 먼치킨적 활약만 부각되기 쉬운데 반해, 본작은 오히려 초반에 묘사되던 도시의 무미건조하고 얄팍한 인간관계가 시간이 갈수록 색다르고 복잡하게 변화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주인공이 아닌 개개인의 서사에 그리 많은 지면을 할애하진 않지만, 그저 스쳐가는 거래상대에 불과했던 이들이 오랜 시간 같이 일하며 조금씩 개인사를 드러내고 조금 더 깊은 대화를 나누며 어느새 동료에 가까운 존재가 되어가기도 한다. 프리랜서로 일하며 여러 곳에 인연을 만들어놓은 주인공이 누구와 같이 일하고 어떤 진영에 소속될지 논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떡밥이 될 정도로, 인물들을 단순 일회성으로 소모하기보단 각자 나름의 역할을 부여하며 주인공과의 상호작용을 넓혀나간다.

이렇듯 주인공의 천재성을 부각시키면서도 인물 간의 관계 묘사도 수준급으로 양립시키며 독자들에게 꾸준한 만족을 주는 작품이기에, 900화 가까이 연재됐음에도 문피아 월간 베스트 10위권 내외에 드는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7.1. 비판

큰 단점은 아니지만, 교열을 제대로 안 하는지 소설 내에 오탈자나 비문이 자주 보이는 편이다. 669화에서는 작가의 실수인지 쓰다 만 문장의 일부가 소설의 앞부분에 그대로 들어가 있었던 적도 있었다. 때문에 편집부는 일 안하냐는 독자들의 반응이 많다. 또한 가끔 가다가 표현이 이상한 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 작가가 단어의 사전적인 의미를 정확히 모르고 쓰는 모양.

비슷한 단편적인 문제로는 비슷한 내용을 반복하는 경향,[32] 주요 설정이 미리 정해놓지 않아 노골적으로 얼버무리고 넘어가거나 앞뒤가 안 맞게 된다는 점 등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연금술 관련 설정이 있는데, 극초기에는 도서관에서도 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 마법 분야였다가, 마약왕 에피소드에서 갑자기 1세계의 사라진 기술이라는 설정이 붙었다. 호문클루스라는 단어도 주시자들이 전혀 모르는 눈치였다. 그 후 복마전에서 보상을 지급할 때 다시 연금술 재료를 줬다는 등의 언급이 나왔다. 단, 복마전 역시 연금술을 알고 있으므로 아예 이상한 것은 아니지만 연금술 자체를 다루는 사람이 거의 없는데 일반적인 보상 느낌으로 서술한 건 어색하다고 할 수 있다.[33] 이밖에도 복마전이나 청의 눈 같은 주요 세력들의 목표가 뭔지 부자연스러울 정도로 늦게 나와서, 주인공에게 자기들이 뭐하는 사람들인지 설명하지도 않고 영입제안을 하는 괴상한 상황이 벌어지곤 했다.

또한 자성영역 전개를 묘사할 때 지나치게 현학적인 서술을 할 때가 있어서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전투씬이 시원시원하게 읽히는 것이 장점인데, 레녹의 기술이 정교화되고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그것을 설명하기 위한 내용이 덧붙여지다보니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문제점으로,사건 서술을 하는데 있어 논리가 이상한 게 꽤 많이 보인다.

8. 미디어 믹스

8.1. 웹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약먹는 천재마법사(웹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 작품의 분위기 때문에 순간 눈치 못 챌 정도로 인터넷 밈을 은근슬쩍 끼워넣기도 한다. 이런 드립을 안 칠 것 같은 분위기의 작품에서 이러니 오히려 눈에 띄는지라, 독자들이 쳐야 할 드립을 작가가 선수친다는 아우성이 나온다.

10. 관련 문서


[A] 반으로 활동[B] 에반 바일런으로 활동[C] 에반 마르티네스로 활동[A] [5] 첫 자성영역 전개, 7레벨 도달.[B] [A] [C] [B] [A] [11] 니드 포 스피드의 오마주[12] 8레벨 도달.[D] 빅터로 활동[14] 시리즈에서는 ‘낙원의 말로’로 잘못 기재되어있다.[A] [C] [D] [B] [A] [B] [A] [D] [B] [D] [A] [A] [C] [A] [C] [A] [31] 이는 레녹의 완성된 자성영역이 첫 등장하는 장면에서 정점을 찍는다.[32] 의도는 앞에 한 말을 요약해서 보여주려는 것 같은데, 그 앞의 말도 딱히 복잡한 것도 아니었고 요약도 단어배열 좀 바꾼 수준이라 이미 한 말을 또 한번 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상황이 된다.[33] 그밖에도 마법 관련 설정은 전반적으로 뭔가 이상한게 많으며, 주인공이 제일 먼저 쓴 공용마법에 대한 설명은 800화가 다 돼서야 조금씩 풀리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