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16:52:04

양승숙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양궁선수에 대한 내용은 양승숙(양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761F41><tablebgcolor=#761F41>
파일:KAFNAtitle.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761F41><tablebgcolor=#761F41>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

{{{#!wiki style="margin: 0"
파일:Brigadier General_white.png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B6C1,#003318>
초대

김남희 ||<width=20%>
제2대

태숙화 ||<width=20%>
제3대

조병숙 ||<width=20%>
제4대

이종수 ||<width=20%>
제5대

김광임 ||
제6대

이영실
제7대

정숙
제8대

유경자
제9대

최광자
제10대

윤영애
제11대

김순규
제12대

손귀례
제13대

김기순
제14대

최영희
제15대

백혜경
제16대

양승숙
제17대

신숙호
제18대

양승숙
제19대

이재순
제20대

윤종필
제21대

박순화
제22대

신혜경
제23대

박명화
제24대

최경혜
제25대

윤원숙
제26대

권명옥
제27대

정의숙
제28대

강점숙
제29대

정경화
※ 초대~2대: 육군간호학교장, 2대~6대: 국군간호학교장, 6대~현임: 국군간호사관학교장
※ 초대~2대: 중령, 3대~17대: 대령, 18대~현임: 준장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제16대·18대 국군간호사관학교장
양승숙
梁承淑 | Yang Seungsook
파일:양승숙.jpg
<colbgcolor=#e62e2b> 출생 1950년 3월 21일 ([age(1950-03-21)]세)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1]
학력 전남대학교 (간호학 / 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 / 학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간호행정학 / 석사)
가족 남편 이병웅
장녀 이지연, 차녀 이수연
본관 남원 양씨 (南原 梁氏) [2]
현직 -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약력 충남여성정책개발원장
제16·18대 국군간호사관학교장
국군 논산·광주병원 간호부장
1군 사령부 간호관리장교
육군본부 간호병과장
논산시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자문위원
한국전력공사 감사
열린우리당 당무위원 겸 보건행정특임촉탁위원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초빙교수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특임강사
민주당 당무위원 겸 보건행정특임자문위원
대통합민주신당 당무위원 겸 보건행정특보위원
통합민주당 당무위원 겸 보건행정교육특임자문위원
민주당 당무위원 겸 상임위원
시민통합당 당무위원 겸 시민보건행정특보위원
민주당 당무위원 겸 보건복지행정특보위원
민주통합당 당무위원 겸 국가시민보건복지행정위원
대전복지재단 특임고문
더불어민주당 당무위원 겸 전임위원
대전복지재단 전임고문
국민의힘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 국민캠프 조직본부 특보단 의료정책특보
국민의힘 충남도당 6·1지방선거 공천관리위원회 위원
군사 경력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73년 ~ 2004년
임관 간호사관후보생 29기
최종 계급 준장 (대한민국 육군)[3]
최종 보직 국군간호사관학교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4. 선거 이력5. 소속 정당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군인, 정치인. 2001년에 준장으로 진급하면서 여군으로는 첫 장성급 장교가 되었다.

2. 생애

1950년 3월 21일생([age(1950-03-21)]세). 충청남도 논산군에서 태어났다. 논산여자중학교와 대전시 호수돈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4] 전남대학교 간호학과를 졸업했다.

1973년에 간호사관후보생 29기로 임관했고, 간호장교로 근무했다. 1986년 6월에 중령으로 진급하였고, 1992년에 대령 진급에서 탈락했지만[5] 이듬해인 1993년에 대령으로 진급심사를 통과하였고[6], 1994년 9월 1일에 정식으로 대령계급장을 달았다. 대령 계급으로 국군간호사관학교장을 맡은 바 있으며, IMF 사태로 간호사관학교가 폐교될 위기에 처했지만[7] 양 대령의 눈물겨운 노력 끝에 결국 2001년 5월 31일 간호사관학교 존치결정이 났다.

육군본부 간호담당관 및 간호병과장으로 재직 중 2001년 하반기에 준장진급이 확정되었고, 2002년 1월에 정식으로 준장계급장을 달았다.[8] 준장 진급 당시에 첫 여군이니만큼 전투병과를 올려야 한다는 얘기가 있었고 유력한 후보로 민경자(여군사관24기) 대령, 엄옥순 대령(여군사관24기) 등이 물망에 올랐으나[9] 여군 장교 중에 짬이 가장 높은 편이었던 그녀가 되었다.[10] # 장성 진급 후에 다시 국군간호사관학교 교장을 지냈다.

2004년 1월 9일 31년간의 군 생활을 마치고 전역하였다. 원래 전역일은 1월 22일인데, 후임 이재순 장군이 새해에 새출발이 가능하도록 배려하기 위하여 전역일을 앞당겼다고 한다. 이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열린우리당 후보로 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바로 그 이인제에게 석패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재도전하였다. 당내 공천에서 안희정,[11] 이인제[12]라는 거물들을 뚫고 공천권을 따냈으나 공천불복으로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한 이인제에게 결국 또다시 패하였다.

2012년 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참여정부 최연소 청와대 대변인이었던 김종민에게 밀려 공천을 받지 못했다.

2014년 당시 권선택대전광역시장으로 당선되면서 정무부시장 후보에 올랐다는 얘기가 돌았으나, 본인은 "들은 바가 없다"고 부정했다. #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지역구로 나서지 않고 더불어민주당의 비례대표 25번으로 이름을 올렸는데, 당선권은 아니었지만 여성과 남성을 1:1로 배치하는 비례대표의 특성상 명망 높은 여성으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13]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7042516050001300_P2.jpg

2017년 제19대 대선 때는 피우진 중령과 함께 문재인을 지지했다.

2018년 11월, 제8대 충남여성정책개발원장에 취임했다.

2020년 21대 총선을 앞두고 경선에서 탈락한 후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민생당에 입당했다가, 총선 후 민생당이 풍비박산 되어버리자 바로 탈당하였다.

2021년 10월, 윤석열 측의 제안으로 국민의힘에 전격 입당하였다. 그동안 민주당계 정당과 함께해온 것을 생각해보면 의외의 일이었다.#

3. 가족관계

남편 이병웅(李炳雄)[14]제31보병사단에서 으로 복무하던 중에 같은 대학 친구[15]의 소개로 전남대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던 양승숙과 만났고, 자신이 병장으로 전역한 뒤 복학하여 대학교를 다니다가 양승숙이 소위가 되었을 때 정식으로 고백하여 결혼하였다.

부부 슬하에는 만 둘을 두었다. 장녀대전대학교를 졸업하고 2002년 5월에 결혼하였다. 2002년 당시 28세였다. 장녀의 남편, 즉 양승숙의 맏사위는 식당을 하고 있으며, 부친이 대령으로 예편한 군인 집안 출신이라 한다. 차녀중부대학교를 졸업하였고, 언니와는 3살 터울이며, 2002년 당시 이벤트회사에 다니며 등단을 목표로 글을 쓰고 있다고 했는데, 지금 현재는 작가가 되지 않았을까 추측된다.

최초의 여군 스타 양승숙 준장, 남편 외조 덕에 女星 됐어요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논산·계룡·금산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37,163 (39.45%) 낙선 (2위)
2008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14,974 (17.56%) 낙선 (3위)
201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069,744 (25.54%) 낙선 (25번) [16]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4 - 2007 정계 입문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7 - 2008 합당[17]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합당[18]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 2011 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1 - 2013 합당[19]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3 - 2014 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14 - 2015 합당[2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2020 당명 변경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0 탈당[21]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0 - 2021 탈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1 - 현재 입당

6. 여담

  • 대령 국군간호사관학교장 시절 2001년 7월 9일 TV 내무반 신고합니다 국군간호사관학교 편에 출연했으며 MC인 이용식이 제2훈련소 문선대 복무 시절 제2훈련소 지구병원[22]에 대위로 근무했다고 밝혔다. #

7. 관련 문서


[1] 남원 양씨 집성촌이다.[2] 병부공파 31세, 承○자 항렬[3] 대한민국 국군 최초의 여성 장성이다.[4] 어머니의 병간호 및 집안 사정으로 고교를 1년 늦게 입학하였다.[5] 당시 간호병과 대령 자리는 2년에 한 번 TO가 날 정도로 적었다고 한다. 그때 진급대상자가 양 대령, 동기, 후배 1명이었는데 후배가 진급하였다고 한다.[6] 당시 간호병과 대령 2명이 집안 사정으로 전역하게 되어 TO가 생겼다.[7] 당시 신입생을 받지 않고, 남아있는 생도들이 모두 졸업을 하면 자동으로 폐교할 계획이었다고 한다.[8] 양 장군은 "1992년에 진급했더라면 2001년 8월에 정년퇴직을 하여 장군기회를 놓칠 뻔했다. 이것이 새옹지마가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9] 사실 당시 유력한 것은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보병연대장을 지낸 엄옥순 대령이었다. 그러나 엄옥순이 위암에 걸리면서 양승숙이 준장으로 올라갔다. 엄옥순은 결국 위암으로 별세했다.[10] 여군사관 출신의 장성은 2010년에 송명순 준장으로 배출되었다.[11] 전과자 일괄 공천배제 원칙으로 탈락.[12] 공천 부적합자로 탈락.[13] 당시 같은 간호장교 출신인 윤종필 예비역 준장이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 13번을 받아 당선되었다.[14]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출신으로, 대전광역시 인근에서(정확히는 충청남도 쪽) 교사 생활을 했다. 아내 양 대령이 장군으로 진급할 무렵 충남교육청 장학사를 지냈고, 2002년 8월에 장학관으로 승진하여 충청남도 연기군(현 세종특별자치시) 전의초등학교 교장으로 발령이 났으며, 2007년 8월에 금남초등학교장(현재는 세종특별자치시 관할)을 끝으로 정년퇴직하였다.[15] 친구는 이 당시 학군장교 후보생이었다.[16] 더불어민주당은 20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당선자 13명을 내었다. 임기 중간에라도 양승숙 후보가 승계하려면 당선자 13명 중 12인이 사퇴나 상실 등으로 의원직을 내놓아야 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는 입각, 탈당 등의 이유로 의원직을 많이 내놓았지만 2000년대 중반에 들어 정당정치가 확립되면서 이럴 가능성은 매우 낮아졌다.[17]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18] 민주당(2007년)과 신설 합당[19]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20]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21]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22] 국군의무사령부로 이관되어 국군논산병원이었다가 2011년 다시 육군훈련소로 이관되어 육군훈련소지구병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