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0:24:08

어물동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3eb94e>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3eb94e> 농소1동 호계동 창평동 매곡동 신천동
농소2동 중산동
농소3동 달천동 천곡동 상안동 시례동
가대동
송정동 송정동 화봉동
효문동 효문동 명촌동 진장동
양정동 양정동
염포동 염포동
강동동 정자동 어물동 신현동 신명동
구유동 산하동 대안동 당사동
무룡동
}}}}}}}}} ||
북구법정동
어물동
於勿洞 | Eomul-dong
<colbgcolor=#3db94d><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울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 북구
행정표준코드 3120011900
관할 행정동 강동동
면적 11.87㎢
1. 개요2. 자연지명
2.1. 마을2.2. 산2.3. 하천·수역
3. 주요 시설
3.1. 문화·관광3.2. 공공시설
4. 교통
4.1. 도로4.2. 버스

1. 개요

울산광역시 북구에 있는 법정동. 동 전체가 행정동인 강동동에 속한다. 대부분 지역은 산지로, 주민들은 어물천과 금천이 흐르는 유역에 거주한다. 마을로는 황토전마을, 금천아름마을, 구암마을이 있다. 시의 주요 간선도로인 미포산업로가 동을 관통하여 동구경주시 양남면까지 쉽게 오갈 수 있다. 주전해수욕장이 이곳과 동구 주전동에 걸쳐 있다.

울산시 유형문화재인 어물동 마애약사여래삼존상[1]이 위치한다.

2. 자연지명

2.1. 마을

  • 금천아름마을: 금천과 어물천 하구에 있는 마을이며 인근의 당사항 및 당사마을과 연계된다. 본래 이름은 '금천마을'로, 2002년 당시 행정자치부의 마을가꾸기 사업에 선정되어 이후 4년여에 걸쳐 레저 관련 시설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2014년 경상일보 기사에 따르면 더 이상 정부 지원을 받고 있지는 않는 듯하다.
  • 구암마을: 금천 하구에서 주전해수욕장 방면 남쪽으로 500여 m 떨어진 마을로, 최소한 조선 고종 집권기에는 고암리(庫岩里)라 불렸다. 거북의 등딱지처럼 생긴 돌인 구갑석(龜甲石)의 산지로 알려져 있어 과거 수석인(壽石人)[2]들이 자주 찾았다. 이곳의 수석집인 '구암수석'의 윤중원 대표가 뉴시스와 인터뷰한 기사가 있다.
  • 황토전마을: 어물동의 다른 마을과 달리 무룡산 자락으로 들어가는 길목 인근에 위치한 마을이다. 북쪽으론 금천이 흐르고 남쪽으로는 어물천(방방천)이 흐른다. 이곳에 있는 동명의 도예방은 북구 마을기업 제3호로 지정된 이력이 있다. # 미포산업로가 이 마을을 남북으로 관통한다.

2.2.

동 면적 대부분이 무룡산 인근의 산지이다. 또 무룡산 정상부가 어물동과 화봉동, 연암동에 걸쳐 있다.
  • 무룡산(450.7m)
  • 작은무룡산 / 작은물용산(261.4m)
  • 새바지산 (260.9m)

2.3. 하천·수역

  • 금천
    • 어물천: 어물천 대신 '방방천'이란 지명이 확인되기도 한다.
  • 운곡천
    • 산맥천
  • 물청천소류지

3. 주요 시설

3.1. 문화·관광

3.2. 공공시설

  • 어물보건진료소

4. 교통

4.1. 도로

4.2. 버스


[1] 2022년 들어 '어물동 마애약사여래삼존상'으로 명칭을 변경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기존 명칭은 '어물동 마애여래좌상'이다.[2] 관상용의 기이한 자연석을 수석(壽石)이라 하는데, 이것을 수집하는 사람을 수석인이라고 한다.[3] 동구 주전동에 있으나, 일부 걸쳐 있다.[4] 울산시 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