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든 링| 제스처 · 도전 과제 · 평가 · 패치 내역 · 코믹스 출시 전 정보 · 육성 관련 정보 · 전작 관련 정보 DLC · 황금 나무의 그림자 | 스핀오프 · 밤의 통치자 |
1. 개요
엘든 링에 등장하는 대자검 무기군을 서술한 문서.2. 특징
소형 무기인 자검보다 공격 속도가 느리고 공격의 스태미나 소모량이 많은 대신 공격력, 강인도 감쇄력, 공격 범위 등이 더 뛰어나다. 다만 자검이 단검보다 조금 더 나은 수준의 강인도 감쇄력을 가졌던 만큼, 대자검의 강인도 감쇄력도 어디까지나 자검에 비해 높다 뿐이지 다른 대형 무기와 비교하면 형편없고 여타 소형 무기와 비교될 정도로 낮다. 경직은 직검급.자검과 마찬가지로 가드를 유지한 상태로 공격하는 뽁뽁이 플레이가 가능하다. 평타 공속은 자검에 비해 눈에띄게 느리지만, 뽁뽁이 공속은 큰 차이가 없고 더 높은 대미지와 리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뽁뽁이 위주로 운용하기 좋다. 가드 성능이 좋은 방패와 전회 철벽의 방패나 대형 방패의 탈리스만을 조합한 뒤 활용하면 적들의 공격력이 미쳐 날뛰는 후반부에도 안정적으로 가드를 유지한 채 싸울 수 있다. 스태미나 소모가 자검보다는 높은 편이지만 스탯에 따라선 더 높은 DPS를 뽑을 수 있기 때문에 일장일단.
크기가 작은 적을 상대할 때 첫 타, 심하면 2타 찌르기까지 머리위로 빗나가는 경우가 잦다. 보조무장을 들고다니거나 공격판정이 좀 더 낮은 뽁뽁이를 사용해서 커버해야 한다. 특히 마상 약공은 거의 봉인기 수준. 풍뎅이를 잡으려면 마상 강공으로 돌진을 하는 것이 낫다.
대쉬 강공의 판정이 매우 뛰어난데 발동도 빠른데다가 전방으로 빠르게 스텝을 밟으며 전진 찌르기를 하는 모션이라 안 그래도 길쭉한 대자검의 리치가 더욱 길어진다. 이 때문에 대쉬 강공으로 찌른 후 바로 관통 찌르기 혹은 연속 찌르기로 카운터를 먹이는 방법이 효율이 좋은 편. 대자검 대쉬 강공은 발동도 빠르고 사거리도 긴데 흉조의 아이도 경직을 줄 정도로 고효율인데 그 후 바로 관찌, 연찌를 넣으면 경직이 풀린 몹이 역공하려고 하다가 카운터를 맞고 다시 경직이 걸린다. 관찌나 연찌 후딜이 짧기 때문에 굴러서 재정비하다가 다시 대쉬공 관찌 연찌를 하는 식으로 히트앤어웨이가 가능. 전회 연속찌르기와의 연계도 좋다. 냉기나 피변질을 하고 대쉬 강공으로 달려든 후 연속찌르기를 먹여주면 흉조나 기사몹은 계속 얻어맞으면서 냉기나 출혈이 터지고, 이 콤보로 안터지더라도 바로 뽁뽁이 몇번 쳐주면 터진다. DLC에서 레다의 갑옷과 교차수 탈리스만으로 인해 대쉬공 딜이 더욱 올라서 고점이 더 높아졌다.
백스텝 후 쌍수 약공이 전진거리가 매우 길고[1] 좌우 동시에 공격하기 때문에 창의 탈리스만과 조합이 발군이다.
곡검, 자검과 마찬가지로 강공격 차지중에 회피 버튼을 누르면 차지를 캔슬하고 백스텝 베기 모션이 나온다.
본편 기준으로 대자검은 고작 4종류로 모든 무기들 중에서 가장 종류가 적은데, 그 중 3종류가 알터 고원 진입 후에 보스를 잡고 얻을 수 있는 무기다. 따라서 초반부터 대자검을 사용하고 싶다면 그레이트 에페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
여담으로 대자검으로 번역되었지만 원문은 중자검(重刺剣)으로 무거운 자검이다. 영문도 Heavy Thrusting Sword으로 원문을 따르고 있다.
모든 대자검 위치
3. 목록
3.1. 그레이트 에페 (Great Epee) ●
무기 상세 정보 | |||
속성 | 표준/관통 | 무기 유형 | 대자검 |
중량 | 6.5 | 소모 FP | 9 ( - / - ) |
전투 기술 | 관통 찌르기 |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가드 시 감소율 | ||
물리 | 303 | <colbgcolor=#999> 물리 | 55.0 |
마력 | - | 마력 | 36.0 |
화염 | - | 화염 | 36.0 |
벼락 | - | 벼락 | 36.0 |
신성 | - | 신성 | 36.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7 |
부가 효과 [ 기본 수치 ] | |||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변질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표준 | D | C | - | - | - | |
중후 | A | - | - | - | - | |
예리 | E | B | - | - | - | |
상질 | B | B | - | - | - | |
화염 | C | E | - | - | - | |
화염술 | E | E | - | B | - | |
벼락 | E | C | - | - | - | |
신성 | E | E | - | B | - | |
마력 | E | E | B | - | - | |
냉기 | C | C | C | - | - | |
독 | C | C | - | - | D | |
피 | C | C | - | - | D | |
신비 | E | D | - | - | B | }}}}}}}}} |
필요 능력치 |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5 | 16 | - | - | - |
검신이 가늘고 예리한 대형 자검.
특히 잔혹한 결투를 위해 준비된다.
자검과 마찬가지로 찌르는 공격에 적절하며
방패를 든 채로 공격할 수도 있다.
전투 기술 「관통 찌르기」
관통 무기로 방패와 대치하기 위한 전투 기술.
힘을 모아 크게 파고들며 강렬하게 찔러
방패의 가드를 정면으로 뚫는다.
특히 잔혹한 결투를 위해 준비된다.
자검과 마찬가지로 찌르는 공격에 적절하며
방패를 든 채로 공격할 수도 있다.
전투 기술 「관통 찌르기」
관통 무기로 방패와 대치하기 위한 전투 기술.
힘을 모아 크게 파고들며 강렬하게 찔러
방패의 가드를 정면으로 뚫는다.
림그레이브 - '아길 호수 남쪽' 축복의 동쪽 주둔지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빠르게 손에 넣을 수 있어 본격적인 고급 자검이 나오기 전 초반에 꽤 쏠쏠하게 써먹을 수 있다. 강공 모션이 찌르기가 아닌 베기라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3.2. 신의 살갗 대자검 (Godskin Stitcher) ●
무기 상세 정보 | |||
속성 | 표준/관통 | 무기 유형 | 대자검 |
중량 | 7.0 | 소모 FP | 9 ( - / - ) |
전투 기술 | 관통 찌르기 |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가드 시 감소율 | ||
물리 | 311 | <colbgcolor=#999> 물리 | 52.0 |
마력 | - | 마력 | 38.0 |
화염 | - | 화염 | 38.0 |
벼락 | - | 벼락 | 38.0 |
신성 | - | 신성 | 38.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9 |
부가 효과 [ 기본 수치 기준 ] | |||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변질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표준 | C | C | - | - | - | |
중후 | B | - | - | - | - | |
예리 | E | B | - | - | - | |
상질 | B | B | - | - | - | |
화염 | C | E | - | - | - | |
화염술 | E | E | - | B | - | |
벼락 | E | C | - | - | - | |
신성 | E | E | - | B | - | |
마력 | E | E | B | - | - | |
냉기 | C | C | C | - | - | |
독 | C | C | - | - | D | |
피 | C | C | - | - | D | |
신비 | E | E | - | - | B | }}}}}}}}} |
필요 능력치 |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4 | 17 | - | - | - |
비색 칼날을 지닌 우아한 자검.
신의 살갗의 귀인들이 사용하는 무기.
귀인들의 검술은 출중하여
무기의 크기에 비해, 그 연속 공격은
눈으로 좇기도 힘들 만큼 빠르다.
전투 기술 「관통 찌르기」
관통 무기로 방패와 대치하기 위한 전투 기술.
힘을 모아 크게 파고들며 강렬하게 찔러
방패의 가드를 정면으로 뚫는다.
신의 살갗의 귀인들이 사용하는 무기.
귀인들의 검술은 출중하여
무기의 크기에 비해, 그 연속 공격은
눈으로 좇기도 힘들 만큼 빠르다.
전투 기술 「관통 찌르기」
관통 무기로 방패와 대치하기 위한 전투 기술.
힘을 모아 크게 파고들며 강렬하게 찔러
방패의 가드를 정면으로 뚫는다.
겔미어 화산지역 에이그레이 성당에 신의 살갗의 귀인을 처치하고 얻을 수 있다. 한국어판은 평범한 명칭으로 번역되어 있지만 일본어/영어 원문은 神肌縫い/Stitcher로, 신의 살갖을 꿰매는 도구라는 이름이다. 무기의 특성을 생각하면 바느질 바늘에 비유한 듯한 명칭. 우아하다는 설명에 걸맞게 대자검 중에서도 룩이 무난하게 예쁘다.
강공격 풀 차지 시 다른 대자검들과 다르게 빠르게 2연속 찌르기를 가하는 무브셋을 지녔으며 아쉽게도 신의 살갗의 사도를 격파하고 얻는 쌍날검과는 다르게 손잡이 쪽에 달린 작은 쐐기를 활용하여 공격하는 별도의 모션은 없다.
보스를 잡고 입수하는 무기 치고는 무브셋을 제외한 특수한 전투기술이나 기믹은 없다.[2] 전회도 사용가능하며 강화에도 일반 단석을 소모하고 인챈트도 가능하다.
강화 시 대미지도 다른 대자검에 비해 높아 별도의 스탯조건을 받지 않는 전회사용이 가능한 대자검을 필요로 한다면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 풀강시 상질 보정이 B/B, 냉기 보정이 C/C/C이므로 단순 뽁뽁이면 상질, 근기지 캐릭이라면 냉기가 좋다. 2타쯤 치면 바로 냉기가 터져서 방깎+추뎀을 볼 수 있다.
특히 피 변질에 효과가 좋은 무기인데 +25강에 피 변질을 하고 신비를 하드캡까지 찍으면 출혈치가 무려 140 이상이 돼서 정말 출혈이 펑펑 터지는 광경을 볼수 있다. 여기에 흰가면, 피의 군주의 환희, 밀리센트 의수, 부패 익검의 휘장, 대형방패 탈리스만과 같은 출혈 빌드를 갖춰주면 전투 중 한 방 딜이 보정 스탯 풀업시 1000이상으로 상승하며 여기에 더해 출혈 대미지까지 붙으며 막강한 화력을 보여준다. 출혈치 자체는 그레이트 에페와 같지만 이쪽이 대미지가 더 높기 때문에 사실상 상위호환. 여기에 할복까지 쓸 경우 2타만에 터지는 몹 상대로 1타만에 출혈이 터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출혈 내성이라도 없는 한 피군주 증뎀과 출혈대미지로 뽁뽁이 한 대만에 잡몹들이 터져나가서 매우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보스도 호박 머리 등 출혈내성이 없다시피 한 몹들은 고회차라도 매타 출혈이 터지기 때문에 뽁뽁이로 찌를 때마다 출혈이 퍽퍽 터지는 쾌감을 체험할 수 있다. 출혈 무기가 다 그렇듯, 가고일이나 황금 나무의 화신 등 피가 없어서 출혈내성이 있는 몹들 상대로는 안정성이야 어쨌든 DPS측면에서 답답함을 느낄 수가 있기 때문에 서브웨폰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피변질만큼은 아니지만 냉기변질 역시 한번 찌를 때마다 145씩 냉기를 끼얹기 때문에 보통 뽁뽁이 2타부터 냉기가 터져서 딜 기대값이 높다. 특히 마법사 부무장으로 최적인데, 보스나 체력이 높은 적들은 원거리에서 마법으로 잡고, 늑대같이 빠르게 접근하는 잡몹들은 냉기 변질을 한 신의 살갗 대자검으로 가드를 올린 채 안전하게 처리하는 식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위력도 절대 낮지 않아서 뽁뽁이가 가능한 지력 보정 무기중에는 최고의 대미지를 낼 수 있다.
DLC에 추가된 레다의 갑옷과 꿰뚫은 교차수가 대쉬공을 올려주는데, 대자검 특유의 대쉬강공을 활용해서 작정하고 세팅하면 대쉬공격 중에서는 탑클래스의 딜을 뽑아낼 수 있다. 하드캡에서 표기딜이 가장 높은 냉기 변질을 한 후 상술한 레다의 갑옷과 교차수, 봉투검, 마력 전갈, 창의 탈리스만을 찬 후 전회 도읍 기사의 결의를 쓰고 대쉬강공을 하면 잡몹따위는 한방이고 보스 상대로도 상당히 높은 딜을 짧은 시간 안에 넣을 수 있다.
3.3. 퀼라인의 대검 (Queelign's Greatsword) ● ◇
무기 상세 정보 | |||
속성 | 표준/관통 | 무기 유형 | 대자검 |
중량 | 7.5 | 소모 FP | 9 ( - / - ) |
전투 기술 | 관통 찌르기 |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가드 시 감소율 | ||
물리 | 298 | <colbgcolor=#999> 물리 | 50.0 |
마력 | - | 마력 | 34.0 |
화염 | 88 | 화염 | 45.0 |
벼락 | - | 벼락 | 34.0 |
신성 | - | 신성 | 34.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9 |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 |||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변질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표준 | D | C | - | D | - | |
중후 | A | - | - | - | - | |
예리 | D | A | - | D | - | |
상질 | B | B | - | D | - | |
화염 | C | E | - | E | - | |
화염술 | E | E | - | B | - | |
벼락 | E | C | - | D | - | |
신성 | E | E | - | B | - | |
마력 | E | E | B | D | - | |
냉기 | D | C | B | D | - | |
독 | D | C | - | D | D | |
피 | D | C | - | D | D | |
신비 | E | D | - | E | A | }}}}}}}}} |
필요 능력치 |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4 | 18 | - | 12 | - |
불의 기사 퀼라인의 무기.
불을 본떠 파도치는 대자검.
퀼라인은 성전에 모든 것을 바쳐
자신의 대검을 주군의 창과 비슷한 모습으로
다시 만들었다.
또 한 명의 가시공이 되기 위해서.
전투 기술 「관통 찌르기」
관통 무기로 방패와 대치하기 위한 전투 기술.
힘을 모아 크게 파고들며 강렬하게 찔러
방패의 가드를 정면으로 뚫는다.
불을 본떠 파도치는 대자검.
퀼라인은 성전에 모든 것을 바쳐
자신의 대검을 주군의 창과 비슷한 모습으로
다시 만들었다.
또 한 명의 가시공이 되기 위해서.
전투 기술 「관통 찌르기」
관통 무기로 방패와 대치하기 위한 전투 기술.
힘을 모아 크게 파고들며 강렬하게 찔러
방패의 가드를 정면으로 뚫는다.
퀼라인 침입 이벤트를 끝내고 그림자의 성 교구의 기도실 내 NPC 상태의 퀼라인에게 어둠의 눈동자막을 주면 획득. 기도실 열쇠가 필요하다. 이외에도 대검이란 이름을 달고 있지만 유래 설명에 맞게 창 특성을 나타내도록 대자검 분류가 되었다.
설정상 퀼라인이 불의 기사이고 자신의 특대검을 메스메르의 창과 비슷한 형태로 개조한 물건이라[3] 실질적으로 불의 기사의 대자검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때문에 불의 기사의 단검이나 불의 기사의 대검처럼 화염이나 화염술로 변질하면 화염 속성 공격력이 상당히 높게 올라간다. 다만 공격 속도와 무브셋까지 좋은 대검에 밀려서 인지도는 적은 편.
대자검이기에 대자검류 원탑이었던 신의 살갗 대자검과의 비교가 불가피한데, 퀼라인의 대검은 화염 데미지가 기본으로 붙었기 때문에 보통 화염술 변질을 하니 화염술 변질끼리 비교를 하자면 보정치는 EEB로 같고 신앙 80에 적당한 근기 기준 데미지는 거의 같다. 하지만 화염술 신자검은 물리데미지 비율이 높고 퀼라인은 화염 데미지 비율이 높아서 화염 전갈을 차면 퀼라인이 더 표기뎀이 높으니 참고.
3.4. 피의 헬리케 (Bloody Helice) ○
무기 상세 정보 | |||
속성 | 표준/관통 | 무기 유형 | 대자검 |
중량 | 8.0 | 소모 FP | 5 ( - / 7 ) |
전투 기술 | 왕조 검술 |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가드 시 감소율 | ||
물리 | 296 | <colbgcolor=#999> 물리 | 57.0 |
마력 | - | 마력 | 40.0 |
화염 | - | 화염 | 40.0 |
벼락 | - | 벼락 | 40.0 |
신성 | - | 신성 | 40.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7 |
부가 효과 [ 기본 수치 기준 ] | |||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55 | -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 |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E | C | - | - | B |
필요 능력치 |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6 | 19 | - | - | 17 |
나선형 칼날을 지닌 이형의 자검.
피의 군주를 섬기는 귀족들의 무기.
그 칼날은 상처를 헤집어 출혈을 유발하며
천천히 아름답게 그 피를 떨군다.
전용 전투 기술 「왕조 검술」
화려하게 공격을 회피하고
적과 거리를 두는 전투 기술.
강 공격으로 단숨에 전진하는 찌르기로 이으며
추가 강 공격은 베어내기가 된다.
피의 군주를 섬기는 귀족들의 무기.
그 칼날은 상처를 헤집어 출혈을 유발하며
천천히 아름답게 그 피를 떨군다.
전용 전투 기술 「왕조 검술」
화려하게 공격을 회피하고
적과 거리를 두는 전투 기술.
강 공격으로 단숨에 전진하는 찌르기로 이으며
추가 강 공격은 베어내기가 된다.
알터 고원 - 피가 꿈틀거리는 폐허에서 피의 귀족을 처치하고 그 너머의 방에서 획득 가능하다.
신비 보정을 받는 무기이기 때문에 신비를 찍어줄수록 출혈 상태이상치가 높아진다. 비슷하게 출혈을 보고 사용하는 피 변질 신의 살갗 대자검과 비교하면 신비 공격력 보정 자체는 더 좋아서 스탯을 신비 위주로 올리면 표기 공격력이 확연히 높게 잡힌다. 신비 레벨만 소프트캡이고 근기 레벨이 낮다면 표기 피해량이 거의 100 가까이 차이날 정도. 하드캡 기준에서도 60정도 우위에 있다. 올스탯 80 기준 물리 단일 데미지 대자검 중에서는 최상급이며 이 위로는 중후 소드랜스 정도밖에 없는데 데미지 1~2밖에 차이가 안나고 이쪽은 출혈도 터지니 사실상 고렙캐의 대자검과 뽁뽁이가 가능한 무기들[4] 중에서는 최상급의 단일딜을 꽂아줄 수 있다. 다만 근력 보정이 낮아서 양잡 기준으로는 상질 변질한 신 살갗 대자검 등에게 따라잡히고, 출혈 보정치로는 피변질 신 살갗 대자검에 비해 30 이상 밀린다. 뽁뽁이로 출혈만 어떻게든 터뜨릴거면 신의 살갗 대자검이 우위에 있고 평타딜도 챙기겠다면 헬리케가 우위에 있으며 신자검과 차별화를 위해서는 전기를 잘 활용하는 게 관건이다.
전용 전투 기술 「왕조 검술」은 뒤로 회피하는 동작이 즉시 무적[5] 판정인 데다가 이어지는 공격 또한 피해량과 경직도, 그로기 수치가 모두 높아 상당히 쓸만하다. 단, 회피후 이어지는 공격의 스태미나 소모량이 눈에 띄게 높아 별 생각없이 후속타를 박아넣으려 할 경우 스태미나가 없는 상태를 자주 겪을 것이다. 따라서 풀콤보 1회에서 끊거나 후속 공격을 1타만 끊어치는 등의 테크닉으로 스태미나를 관리해주는 게 좋다.
전투 기술 사용시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회피하므로 뒤돌아 본 상태에서 사용하면 돌진하는 느낌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1.04 패치로 왕조 검술의 스태미나 소모량이 줄어드는 버프를 받았다. 그리고 추적력이 좋은 연계 강공 1타 이후 추가 공격 2회 모두 입력하는 방향에 맞춰 유연하게 꺾이도록 상향되었다.
전기 특성 상 카운터를 넣기 쉽고 강인도 감쇄력도 매우 높은 편이라 기사몹 상대로 회피와 공격을 동시에 한 후 추가타까지 안전하게 넣을 수 있다. 데미지도 수준급이라 추가타까지 다 넣으면 전기 중에서도 상위권의 딜이 들어간다. 특히 전기가 그로기 수치를 크게 축적시키기 때문에 최고회차 흉조도 전기 2번만에 앞잡을 내준다. 대자검의 대쉬강공이 매우 효율적이기 때문에 PVE에서 대쉬강공으로 한대 먹인 후 전기로 빠져서 카운터를 치면 운용하기가 쉽다. 몹의 공속이나 강인도, 패턴에 따라 다르니만 1타부터 경직치가 상당하기 때문에 웬만한 덩치나 기사몹은 경직 후 그로기로 압살할 수 있다.
3.5. 용왕의 바위검 (Dragon King's Cragblade) ○
무기 상세 정보 | |||
속성 | 표준/관통 | 무기 유형 | 대자검 |
중량 | 8.0 | 소모 FP | 28 ( - / - ) |
전투 기술 | 뇌운의 모습 |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가드 시 감소율 | ||
물리 | 255 | <colbgcolor=#999> 물리 | 46.0 |
마력 | - | 마력 | 32.0 |
화염 | - | 화염 | 32.0 |
벼락 | 144 | 벼락 | 46.0 |
신성 | - | 신성 | 32.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37 |
부가 효과 [ 기본 수치 기준 ] | |||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 |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D | B | - | - | - |
필요 능력치 |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18 | 37 | - | - | - |
원초의 벼락을 품은 조약돌 자검.
추억에서 얻은 용왕의 힘의 편린.
영원을 잃은 왜소한 용의 후예들에게
높은 위력을 발휘한다.
전용 전투 기술 「뇌운의 모습」
자기 모습을 잠시 붉은 뇌운으로 바꾸고 하늘을
달리며 벼락을 두른 검신으로 꿰뚫는 전투 기술.
길게 누르면 달리는 거리가 늘어난다.
무너지는 파름 아즈라의 히든 보스인 용왕 플라키두삭스의 추억을 교환해서 획득 가능.추억에서 얻은 용왕의 힘의 편린.
영원을 잃은 왜소한 용의 후예들에게
높은 위력을 발휘한다.
전용 전투 기술 「뇌운의 모습」
자기 모습을 잠시 붉은 뇌운으로 바꾸고 하늘을
달리며 벼락을 두른 검신으로 꿰뚫는 전투 기술.
길게 누르면 달리는 거리가 늘어난다.
근기 보정만 받지만 기량 보정이 높고 깡뎀도 높기 때문에 근기만 투자한 스탯은 물론 근기지신 하드캡인 80을 찍어도 대자검 중 표기딜 1위를 자랑하며, 아예 만렙을 찍어도 마찬가지로 표기딜만은 1위에 해당한다. 몹들의 벼락 내성이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 편이라 2중감쇄를 감안해도 기량만 어느 정도 확보하면 어떤 빌드에서든 평타딜 하나는 괜찮게 뽑아낸다. 근력 보정이 낮기도 하지만 근력은 물리딜에만 보정이 들어가는데 기량은 물리와 벼락 두 종류의 데미지에 다 보정이 들어가므로 어줍잖게 힘을 올리는 것 보단 힘은 적당히만 올리고 기량에 집중 투자하는 게 효율이 좋다.
전투기술 사용 시 플라키두삭스의 2페이즈 개막 패턴을 재현하듯 일시적으로 붉은 벼락을 두른 뇌운으로 변한 뒤 빠르게 돌진하며 대각선으로 내리꽂는다. 뇌운 상태에서는 밀착한 적에게 높은 경직치를 가진 틱뎀을 주고, 내리꽂는 마지막 공격은 높은 대미지와 함께 적을 넘어뜨린다. 전기 키를 길게 누를 수록 뇌운 상태가 오래 유지되고, 이동 거리도 그만큼 늘어난다.
뇌운의 모습의 특징은 슈퍼 아머로, 전투기술 중 가장 높은 수치를 자랑하는만큼 아무리 맞아도 캔슬되지 않는다. 즉, 적에게 가까이 붙어서 공격을 하건 말건 전투기술을 써서 적을 움찔거리게 만든 후 날려버리는 것이 바위검의 주된 운용법이다. 이렇게 적을 찍어누르다보면 매우 높은 그로기 대미지[6]에 의해 적이 그로기에 걸리므로 치명 공격으로 마무리하면 된다. 뇌운 틱뎀의 경직치가 대단히 높기 때문에 보스와 경직에 걸리지 않는 일부 적을 제외하고는 전부 윽윽거리다 나자빠지게 만들 수 있다. 상태이상이 없고 인챈을 할 수 없는 복합속성 무기이기 때문에 독보적으로 높은 표기딜에 비해 실질적인 평타딜은 평범한 편. 전기도 dps가 아주 높은 편은 아니지만, 순간딜이 높기 때문에 저회차에서는 화력이 부족하다고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다만 고회차에서는 적 강인도가 높아져서 기사몹들이 뇌운 틱뎀으로 경직을 안먹고 오히려 역공을 맞아서 성배병이 뭉텅이로 날아가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
이렇듯 전기 자체는 강력하지만 문제는 낮은 선회력과 긴 시전 시간. 상대를 향해 날아가는 도중에 상대가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궤도가 크게 틀어져 빗나갈 확률이 높아진다. 마지막에 내리꽂는 동작의 판정도 좁은 편이라 더욱 눈에 띄는 단점. 그리고 뇌운으로 변하는데 필요한 선딜은 아주 짧지만, 전기 시전 시간과 내리찍은 후의 후딜이 제법 길다. 독특하게도 풀차지 전기의 후딜이 노차지 전기에 비해 짧지만, 전기 자체의 시전시간이 훨씬 길기 때문에 쓰기 더 편하거나 하지는 않다.
종합해보면 강력하지만 범용적으로 쓰기는 어려운 무기라고 할 수 있다. 강인도가 낮은 적들은 그야말로 찍어누를 수 있지만, 경직에 걸리지 않는 보스들을 상대할 때는 전기를 쓸 타이밍이 크게 줄어든다. 이런 유형의 보스전에서는 강한 슈퍼 아머가 오히려 독이 되어 막 질렀다가는 맞지 않아도 될 후속타까지 다 맞고 죽기 쉬우니 각을 잘 재야 한다. 어그로를 끌어줄 뼛가루나 백령의 유무, 그리고 파일럿의 숙련도에 따라 성능이 크게 차이가 난다. 레벨이 높아질수록 다른 무기들의 공격력도 폭발적으로 높아지므로 강한 순간딜이라는 장점도 빛이 바래고 말지만, 경직에 잘 걸리는 적들은 여전히 밟아줄 수 있기 때문에 고회차에서도 충분히 쓸 만하다. 특히 악명높은 파름아즈라의 땅잃은 기사의 경우 벼락 약점이기 때문에 최고회차에서도 전기 한방에 빈사상태로 만들 수 있다.
특이사항으로 비룡의 약점인 용의 비늘, 그것도 용왕의 비늘이기 때문인지 비룡형 적에게 30%, 고룡형 적에게 15% 추가 대미지를 주는 숨겨진 효과가 있다.[7] 고룡형 적이야 기본적으로 벼락 내성이 높아 15% 추가 대미지가 크게 와닿진 않지만 비룡형 적에게는 그야말로 죽창. 고룡/비룡에게 추가 피해를 주는 무기는 여럿 있으나 30%나 추가 피해를 주는 건 대룡조와 용 발톱 방패, 그리고 이 바위검 셋뿐이다. 이 때문에 고수들이 종종 호쾌한 타격감과 함께 비룡의 머리를 찍어버리는 퍼포먼스를 펼치기도 한다.
한 가지 유의사항으로, 뇌운의 모습은 차지공격이 아니기 때문에 고드프리의 초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많이 모은다고 막타 딜이 올라가는 것도 아니며, 오직 구름 변신 시간과 돌진거리, 틱뎀에만 영향을 준다. 딜의 9할은 막타에 몰려있기 때문에 적에게 근접했다 싶으면 바로 막타를 찍는 게 효율이 가장 좋다. 또한 막타에 맞고 일어나려는 적에게 또 전기 노차지를 먹여주면 다시 맞고 눕기 때문에 유사 사자베기처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특대검 사자베기가 데미지가 더 나오고 FP 스태미나 소모가 더 적으니 오직 그로기 수치에만 의미가 있다. 또한 날 수 있을 것만 같지만 판정은 그냥 지상 닥돌이라 물새난격처럼 절벽을 건너는 시도를 하면 낙사한다.
3.6. 소드랜스 (Sword Lance) ● ◇
무기 상세 정보 | |||
속성 | 표준/관통 | 무기 유형 | 대자검 |
중량 | 9.0 | 소모 FP | 9 ( - / - ) |
전투 기술 | 관통 찌르기 |
전투 능력치 [ 최대 강화 기준 ] | |||
공격력 | 가드 시 감소율 | ||
물리 | 323 | <colbgcolor=#999> 물리 | 73.0 |
마력 | - | 마력 | 39.0 |
화염 | - | 화염 | 39.0 |
벼락 | - | 벼락 | 39.0 |
신성 | - | 신성 | 39.0 |
치명 | 100 | 가드 강도 | 50 |
부가 효과 [ 최대 강화 기준 ] | |||
붉은 부패 | 동상 | 출혈 | 독 |
- | - | - | - |
능력 보정 [ 최대 강화 기준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변질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표준 | B | E | - | - | - | |
중후 | A | - | - | - | - | |
예리 | E | B | - | - | - | |
상질 | B | B | - | - | - | |
화염 | C | E | - | - | - | |
화염술 | D | E | - | C | - | |
벼락 | E | C | - | - | - | |
신성 | D | E | - | C | - | |
마력 | E | E | C | - | - | |
냉기 | B | E | D | - | - | |
독 | B | E | - | - | D | |
피 | B | E | - | - | D | |
신비 | C | E | - | - | B | }}}}}}}}} |
필요 능력치 | ||||
근력 | 기량 | 지력 | 신앙 | 신비 |
21 | 11 | - | - | - |
노장 가이우스가 사용한
대검과 돌격창을 결합한 무기.
무거운 만큼 공격력이 높으며
특히 기마 상태일 때 그 진가를 발휘한다.
가이우스는 늘 멧돼지의 등 위에 있었다.
전투 기술 「관통 찌르기」
관통 무기로 방패와 대치하기 위한 전투 기술.
힘을 모아 크게 파고들며 강렬하게 찔러
방패의 가드를 정면으로 뚫는다.
대검과 돌격창을 결합한 무기.
무거운 만큼 공격력이 높으며
특히 기마 상태일 때 그 진가를 발휘한다.
가이우스는 늘 멧돼지의 등 위에 있었다.
전투 기술 「관통 찌르기」
관통 무기로 방패와 대치하기 위한 전투 기술.
힘을 모아 크게 파고들며 강렬하게 찔러
방패의 가드를 정면으로 뚫는다.
노장 가이우스를 처치하고 그의 추억으로 연성할 수 있는 무기.
특이하게 다른 추억 무기들과는 다르게 일반 단석으로 강화하며 전회 또한 바꿔끼울 수 있는 일반 무기 판정이다. 처음 획득시 전회 「중력 회전 찌르기」가 부여된 상태로 습득된다.[8] 사실상 무기 + 전회가 쌍으로 보상인 특이한 케이스.
속성 변질시의 상태이상 수치가 다른 일반적인 무기들보다 20% 가량 높다. 피변질의 경우 풀강, 신비 99 기준으로 172가 나오는데 대자검이나 창 등 관통 가능하며 가드 상태로 찌르기가 가능한 무기 중에 출혈 수치가 가장 높다. 이 때문에 대방패 출혈콕콕용 대자검 중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다. 대쉬 강공또한 대형 창처럼 돌진기 취급이라 다단히트가 들어가므로 피변질시 굉장히 강하다. 웬만해선 대쉬 강공 풀히트 한번에 출혈이 터지는 정도. 도읍기사를 바르고 대쉬강공을 하면 연타동안 도읍이 다 적용되어 딜도 상당하다.
이외에도 기량 특화 무기군인 대자검 중에서도 특이하게 근력 특화라서 표준 근력 보정이 B인데다 중후 변질을 하면 A까지 올라가서 중후 변질 후 암석검을 사용해도 딜량 기대치가 높다. 그래서 근력 특화캐가 써볼만한 대자검이기도 하다. 반면 기량 보정은 변질 후에도 저열하며 상질 변질을 해도 중후 변질에 총 공격력이 밀려서 예리/상질은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다.
설명에 기마전시 진가를 발휘한다는 문구가 있는데 스테이터스적으로 보너스가 있는 게 아니고 모든 강공격 모션이 대형 창 모션으로 되어 있다. 당연히 대형창 특화 포지션인 마상공격도 포함이며 기마 차지시 어정쩡한 적은 일방적으로 몰아붙일 수 있다. 문제는 지상 공격까지 대형 창 모션이다보니 정작 지상 운영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감이 있다.
성능 외적으로는 고립 기사 세트와 금속 광택이 유사하여 함께 사용할 시 핏이 제법 잘 나오는 편. 일식 대방패까지 합치면 그럭저럭 사진빨을 잘 받는 룩이 나온다.
단점은 피변질의 출혈치는 높지만 보정치가 매우 낮아 피변질 시 대자검중 가장 낮은 데미지가 나온다. 근기신80 기준 출혈치가 28 높은 대신 데미지가 41이나 낮다. 만렙캐 기준으로도 출혈치 29가 높지만 데미지는 44가 낮으며 근기를 40씩, 60씩 찍을 레벨에 근력 비중을 높여도 균등 분배한 신자검 데미지보다 낮게 나온다. 출혈만 걸 거면 상관없지 않나 싶겠지만 또 다른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바로 리치가 짧아서 뾱뾱이가 맞을게 안맞는다는 점. DLC 최종보스 상대로 써보면 베기 패턴때 신자검은 대충 찔러도 다 맞지만 소드랜스는 보스가 오른 발을 앞으로 디딘 상태에서는 아예 안맞는다. 물방울 영체 또한 빗맞추기 쉬운건 덤. 또한 대쉬 강공이 연타가 뜨긴 하는데 시전시간이 좀 길어서 히트앤런에 부적합하다. 물론 30에 가까운 출혈치가 결코 낮은건 아니라 빗맞힘 없이 다 맞출 수 있다면 최고의 뾱뾱이용 무기이다. 짧다고는 해도 개미가시보단 길다.
[1] 백스텝 거리보다 약간 더 길다.[2] 상술한 '신의 살갗의 쌍날검' 역시 동일한 특징을 지닌다.[3] 무기 생김새도 불의 기사의 특대검의 손잡이를 길게 늘리고 검날을 짧게 줄인 형태다.[4] 창, 자검, 대형 창, 대자검 등[5] 피의 헬리케의 무적 판정은 41 프레임으로, 사냥개의 긴 이빨과 같다. 구르기가 25 프레임 정도임을 생각하면 충분히 긴 무적판정이다. 출처[6] 뇌운 틱뎀을 모두 맞춘 풀차지 뇌운의 모습의 그로기 대미지는 69로, 특대형 타격무기로 쓴 사자베기(45)를 상회한다. 다만 전혀 차지를 하지 않고 내려찍기만 맞추면 11이라는 저열한 수치가 나오므로 주의. 애초에 틱뎀의 딜비중도 보기보다 높기 때문에 여건만 된다면 뇌운상태로 긁어주는 게 좋다.[7] 무기 설명의 "왜소한 용의 후예들에게 높은 위력을 발휘한다"는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8] 기본 전기는 관통 찌르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