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여성 이름 중 하나. 2016년 기준으로 가장 흔한 여성 이름이며# 2020년에도 약 20만 명의 여성, 2023년에도 약 19만 7천 명의 여성이 사용중이라 대한민국에서 가장 흔한 이름이다.[1][2] 특히 '김영숙' 의 경우 무려 4만명이다. 1980년대 중반부터 신생아에게 잘 안 쓰인 것을 감안하면 이미 40여년 전부터 한국인 1위를 지키고 있는 이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950년대에 1위 였으며 1940년대와 1960년대~1970년대 중반에 출생한 사람에게도 많이 쓰여 현재 40대 후반 이상에선 흔한 편이다. 즉 아줌마, 할머니 이름이다. 그나마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생인 40대 초중반에는 어느정도 있으나 40대 초반 이하는 촌스러운 이름으로 거의 쓰이지 않는다.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8년 출생자부터는 여성 이름 기준 52명 밖에 없어 2024년까지 여성 2,020위, 전체 4,504위이다.[3] 게다가 이것도 '숙' 자 들어간 이름 중에서 가장 흔한 것이다.
물론 드물게 남성에게도 있다. 2017년 3월 전국노래자랑의 남성 출연진 중 한명이 '김영숙'이며, 1980~1990년대 활동했던 남성 만화가의 이름도 '김영숙' 이다.
2. 실존 인물
- 강영숙
- 고영숙: 642년생 당나라의 인물
- 김영숙
- 1927년생 사학자: 김영숙(1927)
- 1943년생 정치인: 김영숙(1943)
- 1947년생 김정일의 삼처
- 1953년생 정치인: 김영숙(1953)
- 1954년생 북한 배우: 김영숙(북한)
- 1959년생 정치인: 김영숙(1959)
- 1971년생 아나운서: 김영숙(아나운서)
- 1975년생 가수의 본명: 마야(가수)
- 1983년생 배우의 본명: 김사희
- 80~90년대 활동 남성 만화가: 김영숙
- 남영숙
- 1961년 10월생 정치인: 남영숙(1961년 10월)
- 1961년 11월생 교수 및 공무원: 남영숙(1961년 11월)
- 박영숙
- 배영숙: 1874년생 독립운동가
- 손영숙
- 1958년생 교수: 손영숙
- 2001년생 가수의 별명: 혜주(Loossemble)[4]
- 신영숙
- 왕영숙: 서진의 인물
- 오영숙: 1952년생 양궁 선수
- 유영숙: 1955년생 화학자 및 관료
- 윤영숙
- 이영숙
- 정영숙: 1947년생 배우
- 조영숙: 1959년생 배우 이보희의 본명
- 주영숙: 1956년생 정치인
- 최영숙: 1906년생 경제학사
- 한영숙
3. 가상 인물
흔한 이름이기 때문에 드라마 조연 이름으로 많이 쓰인다.-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박영숙
- 개그콘서트 영숙아
- 나는 SOLO: 출연자 가명
- 너는 내 운명(드라마): 오영숙
- 다시, 첫사랑: 김영숙
- 당신의 천국: 영숙
- 무풍지대(드라마): 이영숙
- 미스터 보스: 영숙
- 방석: 영숙
- 빈대가족 시리즈: 영숙
- 사소한 냐냐: 오영숙
- 서울의 달(드라마): 차영숙
- 신세계로부터(영화): 영숙
- 아름다운 시절(영화): 영숙
- 야인시대: 이영숙
- 어쩌다 전원일기: 이영숙
- 엄마야 누나야(드라마): 한영숙
- 왔다! 장보리: 영숙
- 인형의 집(드라마): 금영숙
- 전원일기: 영숙
- 지구인(드라마): 영숙
- 천상의 약속: 윤영숙
- 크리스마스에 눈이 올까요?: 서영숙
- 키테레츠 대백과: 허영숙
- 한 번 다녀왔습니다: 강초연
[1] 특히 1970년대 중반 출생자까지는 남자 이름은 분산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여자 이름은 최상위권의 특정 이름으로 짓는 경향이 심하다 보니 여성은 당연하고 전체로도 1위이다.[2] 2016년에는 40대 초반, 2020년에는 40대 중반만 가도 흔했으나 2023년 현재는 40대 후반은 가야 많이 보이는 이름이 되었으나 여전히 1위이다. 아직 사망하는 사람이 적은 40대 후반~70대 중반 여성 포진된 이름이기 때문. 심지어 개명이 있음에도 불구하다.[3] 가장 많이 등록한 해는 2010년생(현재 중3. 13명, 1,162위)이며, 초등학생 이하는 전체의 10000명 중 1명 꼴도 안된 19명에 연간 최대 3명이다. 2020년대에는 3명만 있다.[4] 이쪽은 가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