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9:23:41

에센 타이시

오이라트 에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야선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야수선택에 대한 내용은 야수선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몽골 제국 및 원나라 문장 white.svg
몽골 대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초대 임시 제2대
칭기즈 칸 툴루이 오고타이 칸
제3대 제4대 제5대
귀위크 칸 몽케 칸 세첸 칸
제6대 제7대 제8대
올제이투 칸 쿨루크 칸 부얀투 칸
제9대 제10대 제11대
게겐 칸 이순테무르 칸 아슈케베 칸
제12대 제13대 복위
자야아투 칸 후투그투 칸 자야아투 칸
제14대 제15대 제16대
린칠반 칸 우카가투 칸 빌레그투 칸
제17대 제18대 제19대
우스칼 칸 조리그투 칸 엥케 칸
제20대 제21대 제22대
니굴세그치 칸 토코칸 칸 오루크테무르 칸
제23대 제24대 제25대
올제이테무르 칸 델베그 칸 에세쿠 칸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아다이 칸 타이순 칸 오케크트 칸
제29대 제30대 제31대
다이온타슨다이 칸 오헤크트 칸 멀런 칸
제32대 제33대 제34대
만돌 칸 다얀 칸 바르스볼라드 칸
제35대 제36대 제37대
알라그 칸 구덴 칸 자삭투 칸
제38대 제39대 -
부얀 세첸 칸 링단 칸 에제이
비정통
아리크부카 · 카이두
· 몽강국 · 복드 칸국 · 몽골 인민공화국 · 몽골국 }}}}}}}}}}}}
에센 타이시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명의 태사회왕
토곤(脫懽) 에센(也先) 보라이(孛来)
}}} ||
<colbgcolor=#004db1> 몽골 제국 제29대 대칸
두르벤 오이라트의 타이시

ᠡᠰᠡᠨ ᠲᠠᠢᠱᠢ | 에센 타이시
파일:ᠡᠰᠡᠨ ᠲᠠᠢᠰᠢ ᠬᠠᠭᠠᠨ.jpg
칸호 에센 타이시(Esen Taishi)
也先 太師(야선 태사)
이흐 요안 울신 텡게를크 복드 칸(Их Юань улсын тэнгэрлэг Богд хаан)
大元天盛 大可汗(다이온타슨다이 칸, 대원천성 대가한)
연호 첨원(添元)
오이라트(Oirat)
衛拉特(위랍특)
에센(Esen)
也先(야선)
종교 텡그리교
재위 기간 1453년 ~ 1454년
1. 개요2. 행적3. 토목의 변4. 최후5. 미디어

[clearfix]

1. 개요

오이라트의 타이시[1]이자 몽골 제국의 제29대 대칸이었다.

황금씨족이 아니라 오이라트 계열의 초로스(Choros) 부족 출신이었다. 명나라의 제6대 황제인 영종 정통제를 생포한 토목의 변으로 유명하다.

2. 행적

에센의 아버지는 명나라의 작위인 태사회왕(太師淮王)에 봉해졌던 토곤(脫懽)이었으며, 1439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오이라트의 군주를 계승했으므로 에센 타이시(太師)라고도 불린다. 일설에는 에센의 가문이 보르지긴씨가 아니었기에 칸이 아닌 타이시라는 칭호를 사용했다고 한다.

아버지 토곤은 외몽골을 통일했으며, 1433년 원나라(쿠빌라이 황통)의 황손인 톡토아부카(토크토부카)를 제27대 대칸인 타이순 칸으로 옹립했는데, 아버지가 죽자 실권은 에센이 가지게 되었다.

3. 토목의 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목의 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49년 무역에 대한 문제를 명분으로 명나라의 북변에 침입하여 당시 제위에 있었던 정통제를 친정으로 이끌었다. 이후에 벌어진 토목의 변때 명나라의 대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고 정통제를 생포하여 잡아간 후 명나라의 수도였던 베이징을 포위했다. 그러나 베이징 함락에 실패한데다가 명나라 조정은 정통제의 이복동생이었던 대종 경태제를 옹립했기에 필요가 없어진 정통제를 다시 풀어주었다.

이후 에센은 1452년에 아버지가 옹립시킨 타이순 칸을 죽였다. 그리고 형인 타이순 칸을 배신한 뒤 그에게 붙은 아크바르진 칸을 제28대 대칸으로 옹립했다가 연회에 초대해 암살한 후 황금씨족을 대학살하고, 스스로
이흐 온 울루스 텡게를크 보크드 칸
(大元天盛 大可汗, 대원천성 대가한)
을 자처하며 몽골의 통치자인 대칸임을 선포했다.

4. 최후

하지만 몽골인들에게 있어 대칸이란 칭호는 황금씨족만이 차지할 수 있는 것이라 여겨졌기에 많은 몽골 귀족들이 에센을 대칸으로 인정하지 않으면서 불화가 일어났다. 격노한 에센은 자신에게 반대하는 귀족들을 처형하는 등 탄압했으나, 이는 오히려 몽골 귀족들의 더 큰 분노를 사게 되었고, 몇 년 후 몽골의 전 부족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반란군에게 패배하여 도망가던 중 1454년에 부하인 지원(知院) 알라크(Alag, 阿剌)에게 피살당하고 말았다.

5. 미디어

양우생의 《평종협영록》에 등장한다. 토목의 변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주인공인 장단풍의 아버지 장종주가 오이라트의 좌승상으로 있는 만큼 간간히 등장한다. 딸이 장단풍을 짝사랑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의담윤현>에서는 원문강이 연기했다. 기진이, 기옥이가 시청자들의 발암(...)을 담당했다면, 에센은 시청자들의 안구정화를 담당하는 초절정 상남자로 그려진다. 심지어 변발을 해야 적절했을 머리는 변발이 아니라 아이돌에 가깝다. 오로지 비주얼만으로 오이라트의 중원 정복을 응원하게 만드는 <여의담윤현>의 씬스틸러이다.

한국의 대체역사물에도 자주 등장하는데, 활동 시기가 한국 대체역사 메인 분기군인 문종-단종-세조 재위기와 겹치기 때문이다. 이 시기 몽골 스텝의 최강자였기 때문에 조선의 호적수로서 최종보스나 라이벌로 등장하거나, 그 야심을 이용해 든든한 협력자로 만드는 전개가 주가 된다. 어떤 식으로 나오든 일반 대중매체에서 칭기즈 칸을 그리는 것처럼 장엄한 풍격과 능력을 갖춘 유목 군주로 등장하며, 찌질한 악역으로 나오는 경우는 드물다.
  • 내가 바로 세종대왕의 아들이다》에서 주인공의 라이벌로 등장한다. 여기서는 주인공의 개입으로 역사가 바뀌며 화약무기의 가치를 깨달았고 그래서 원 역사와 달리 토목의 변에서 정통제를 박살내고 난 뒤 부대에 있던 화약 무기를 최대한 수거하고[2] 이를 적극 활용해 북경을 함락시키는데 성공한다. 이에 칸을 칭하려 했지만 이향의 조선군에 격파당하며 그 와중에 조우한 이향에게 몇가지 조언을 듣고[3] 이를 충실히 따라 몽골 세력의 실권을 장악해 나갔고 이를 간파한 타이순 칸이 선공을 걸자 이를 물리치며 칸을 바지사장삼아 사실상의 실권 장악에 성공하면서도 정통성에 흠 하나 없는 완벽한 경지에 이른다. 이를 바탕으로 힘을 모아 대대적인 서방 원정을 실시하여 옛 주치 울루스의 군소 칸국들과 모스크바 공국을 지배하에 두고, 정교회로 개종해 동유럽 기독교 국가들의 신뢰를 얻고 오스만 술탄국과도 대등하게 싸우며 위세를 떨친다. 다만 오이라트가 강해지는 걸 두고 볼 수 없었던 조선과 티무르가 개입하자 동유럽 국가들과 연합해 싸우지만 끝내 패배한다. 또한 이때 포위당하여 식량이 바닥나 굶주리는 도중에도 성직자들이 신앙심으로 무장해 자신들은 굶으면서도 어린 아이들에게 식량을 나눠주는 모습에 진심으로 감명받아 진짜로 독실한 정교회 신자가 되었다. 이후 러시아 공국들을 규합해 동방 정교국을 건국하게 된다. 사후에는 사극 등을 통해 대중들에게도 그 이향의 유일한 적수로 알려지고, 역사학계에서도 이향만 없었다면 능히 제국을 세웠을 인재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기에 끝내 패배하긴 했지만 원 역사보다도 더 좋은 평가를 받은 대체역사의 수혜자가 되었다. 또한 서양권에서도 독실한 신자라는 점이 높이 평가되어 후대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고 한다.
  • 트로츠키와 우리 조선 빨갛게 빨갛게》에서는 과거로 트립해온 트로츠키에게 엄청난 양의 현대 철강을 공급받아 반항 세력을 모두 찍어누르고, 명실상부한 제2의 칭기즈 칸이 된다. 휘하 유목민들과 몽골 귀족들은 무식해서 모르지만, 에센은 조선과 소련의 제조업의 저력이 의미하는 바를 제대로 인식하고, 시종일관 조선에 저자세로 나가게 된다. 이후 동유럽으로 진출해서 러시아와 폴란드를 불바다로 만들면서 역사개변이 세계사적인 규모로 확대되는 계기를 제공한다.
  • 근육조선》에선 오이라트의 지도자로, 능력은 출중하지만 황금씨족(칭기즈 칸의 직계 후예)이 아니어서 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고, 토목의 변으로 명나라군을 격파하고 정통제를 포로로 잡는다. 그러나 남경 일대에서 징집되어 올라온 수십만 명의 물량공세를 버티지 못하고, 타이순 칸이 사망했다는 소문을 들은 뒤 후퇴한다. 이후 혈통은 있으되 실적이 없는 타이순 칸을 압박하며 칸의 자리를 노리지만, 타이순 칸과 협력한 조선에 의해 패배한다. 이후 몽골은 에센 타이시파와 타이순 칸파로 나뉘어 내전에 들어서며, 에센 타이시가 사망한 이후 오이라트 계열은 서쪽으로 돌아간다.
* 《망나니 소교주로 환생했다》에선 오이라트의 지도자로, 외공만으로 화경에 도달한 고수로 나온다. 출신 때문에 칸으로 인정받지 못하며 모종의 이유로 황제를 납치한다. 주인공과의 결전 이후 돌아가 원의 칸이 된다.


[1] 오이라트의 지도자를 뜻하는 단어로 한자어 '태사'(太師)에서 비롯되었다.[2] 물론 그렇게 하고도 남는 것이 있었으나 그것들은 싹 다 조선이 수거해가며 우겸이 챙기려 했을 때는 이미 텅텅 빈 상태였다.[3] 칸을 칭하면 죽을 것이니 당장 칸을 칭하지 말고, 타이시의 직위에 있으면서 실권을 장악해라, 옛 역사를 공부하고 테무친과 수부타이도 이루지 못한 서방 원정을 진행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