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9 01:25:24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프랑스 테크 트리/구축함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folding [ 보기 · 닫기 ]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하켄크로이츠 철십자.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범아시아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범유럽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워쉽 레전드 순양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구축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전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항공모함.png
파일:워쉽 레전드 레전더리.png 레전더리 파일:워쉽 레전드 프리미엄.png 프리미엄
기타 {{{#!wiki style="margin: -16px -11px;" 기타 국가 프리미엄 기타 국가 레전더리 컬래버레이션 함선 이벤트 함선 }}}
회색 배경 : 미출시 트리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작성 양식
}}} ||



1. 개요2. 공통 트리
2.1. 퓨질리에 - 2티어2.2. 부라스크 - 3티어
3. 1차트리(대형 구축함)
3.1. 자구아르 - 4티어3.2. 게파르 - 5티어3.3. 보클랭 - 6티어3.4. 르 팡타스크 -7티어3.5. 모가도르 - 8티어
4. 2차 트리(어뢰정)
4.1. 라드루아 - 4티어4.2. 뒤샤포 - 5티어4.3. 르 아르디 - 6티어4.4. 라방튀리에 - 7티어4.5. 오라주 - 8티어(미출시)

1. 개요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등장하는 프랑스 구축함 일람.

공통적으로 효율이 굉장히 좋은 엔진 부스트 소모품. 특유의 모듈 내구도 분배로 피격에도 유리한 함체. 주로 2연장이나 3연장이 조합되지만 양현에 배치되고 성능이 준수한 어뢰를 사용하는 특성이 있다. 완전 극성을 달리다 보니 거의 일치하는 특성이 많이 없는것도 포인트.

꽤나 극단적인 특성을 가지는 프랑스답게 완전 극기동 - 단거리 극화력에 목숨을 거는 프랑스 1차 구축함(포격정)과 완전 극은신 - 장거리 어뢰 회력에 목숨을 거는 2차트리(어뢰정)으로 나뉘어져 있다.

1차 트리는 연막 없이 오로지 빠른 속도와 강력한 고성능 엔진 부스트로만 생존에 의존하는 구조이며, 139mm라는 대구경 함포를 운영하여 장전이 다소 느리지만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로 순간 화력을 뻥튀기 시킬수 있고 사거리가 짧지만 화력이 좋은 근거리 어뢰로 극한의 근접 인파이팅을 하거나 장거리 포격으로 적 전함을 혈압을 올리는 방화범 역할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물론 그 둘을 더 잘하는 전문 포지션군이 많은 만큼 프랑스 포격정의 장점을 살리기엔 난이도가 굉장히 높은 편.

2차 트리는 1차 트리와 반대로 속도가 느리고 내구도도 형편없이 낮지만, 같은 엔진 부스트를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얻을 수 있는 고속기동, 기본적으로 낮은 피탐지와 설령 걸렸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단발 연막으로 생존을 이어 나가는 구축함이다. 특히 굉장히 느리다 보니 엔부가 빠진 시점에선 엄청나게 취약하므로 연막은 포격 하려고 사용하기보다 자신의 생존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해야 한다. 전용 어뢰 기믹을 사용하는 월드 오브 워쉽 이나 월드 오브 워쉽 블리츠 처럼 어뢰에 기믹이 있는데, 근거리엔 데미지가 높으나 장거리로 갈 수록 어뢰 공격력이 낮아지는 기믹이 아닌, 기본적으로 침수 확률이 낮은 대신에 화재를 낼 수 있고, 장거리로 갈 수록 화재율과 어뢰 속력이 올라 가속 종단 지점에 도달 시 엄청난 화재율과 엄청난 어뢰 속력으로 회피를 거부하는 초고속 죽창으로 탈바꿈 하는 어뢰를 사용한다. 단거리에서 뇌격을 하기보다 장거리 뇌격에 주 포인트이며 함포는 평범한 구경이지만 장전이 너무나도 느려서 딸피 처리나 잠깐잠깐 대구축 교전용 외에는 사용하기가 까다로운 편.

2. 공통 트리

공통 트리는 1차 트리의 특성을 따른다.

2.1. 퓨질리에 - 2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퓨질리에.png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설계가 제시되었다. 전투 시 수행 가능한 임무 범위를 넓히고자 선체를 매우 크게 설계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고성능 조타 장치.png
고성능 조타 장치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방향 전환 능력이 우수합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00mm/45 Mle 1921 4×1 6.6초 9초 9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1,500 6% 17mm
철갑탄 1,7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50mm lance-torpilles 2×3 52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7,433 1.2km 7.5km 52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9,300 0% 3 - 10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30m 2.9초 34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5.6km 2.8km 2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37mm/50 CA Mle 1925 1×1 2 3.0km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20% 120초 180초 2회 2번(패드 ↑)

2.2. 부라스크 - 3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부라스크.png 첫 번째 프랑스 신세대 구축함으로 외국 군함의 화력을 압도하고자 강력한 130mm 주함포로 무장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고성능 조타 장치.png
고성능 조타 장치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방향 전환 능력이 우수합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30mm/40 Mle 1919 4×1 6.3초 18초 9.5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2,050 9% 22mm
철갑탄 2,45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50mm lance-torpilles 2×3 75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1,267 1.2km 7.7km 59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1,700 0% 3 - 10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560m 3초 33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5.8km 2.9km 2.2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13.2mm/76 CAD Mle 1929 2×2 7 1.2km
37mm/50 CA Mle 1925 2×1 3 3.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주함포 강화 장치 2
x x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20% 120초 180초 2회 2번(패드 ↑)

3. 1차트리(대형 구축함)

매복형 구축함 공통트리 포함
프랑스 구축함은 덩치가 상당히 크며, 다수의 5.4인치(138.6mm) 함포와 뛰어난 속력, 높은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소모품이 특징입니다. 이 계통의 군함은 연막이 없고 피탐지율이 높으므로, 전투에서 생존하려면 회피에 집중해야 합니다.
* ▲ 장점
- 대구경 주함포
- 뛰어난 기동성
- 성능이 뛰어난 엔진 가속기 소모품
- 5단계부터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소모품 사용 가능
* ▼ 단점
- 연막 생성기 소모품 없음
- 짧은 어뢰 사거리

2020년 7월 업데이트로 얼리엑세스로 출시, 이후 8월에 정식 출시되었다

연막을 통해 피탐을 지우고 장시간 생존을 꾀하는 기존 구축함과 다르게 기본적으로 높은 함선 스펙과 높은 효율의 엔진 가속기 단 하나로 버티고 근접 할 수록 강력해지는 화력으로 버티는 다소 이질적인 트리이며, 극한의 근거리 교전을 하거나, 아니면 고기동을 기반으로 장거리 포격전을 하던가 둘 중 하나이다 보니 난도가 낮지 않은 구축함

대형 구축함 답게 내구도가 높은데 특유의 모듈 체력 배치로 실질 내구성은 높은 편이고, 강력한 엔진을 장착한 덕택에 기본 속력이 높은데 거기에 한술 더 떠 강력한 20% 엔진 부스트까지 있어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엄청난 최고속으로 맵의 이곳 저곳 활보가 가능한 고기동을 자랑한다. 하지만 그에 대한 대가로 연막 생성기가 일체 없으며, 큰 함체로 인한 넓은 피격 범위와 굼뜬 조타 능력으로 높은 속력과 강력한 출력을 통해 탄을 회피해야하는 컨트롤적인 요소가 요구가 된다

무장은 구축함포중 대구경에 속하는 139mm 함포를 주력으로 사용하며, 기본적인 장전은 느리지만,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를 통해 순간적으로 DPM을 뻥튀기 시켜 적 구축함과의 대결에서 맞승부를 볼 수 있게하는 요소, 어뢰는 사거리가 강제로 6km대에 머무르지만, 티어가 올라 갈 수록 투발량이 많아지고[1] 어뢰 자체적인 데미지도 높기에 결정적 행동하는데엔 충분한 성능을 보여준다.

게임 플레이에 여러 편의성이 제공되는 만큼 수혜보다 피해[2]가 더 크다 보니 실질 난이도는 모든 구축함중 가희 최강. 익숙해지면 빠른 속력으로 라인 지원을 하며 적을 혼동시키는 회피탱 느낌의 소형 순양함 느낌으로 탈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면 그대로 적에게 점수를 헌납하는 어려운 구축함이라 볼 수 있다

레전더리 선박은 클레베르이며, 진행에 제약이 없는 1세대 설계국이므로 언제든지 연구가 가능하다

3.1. 자구아르 - 4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자구아르.png 프랑스 해군 특유의 높은 속력을 자랑하는 대형 구축함 계통(프랑스어로 "contre-torpilleurs")의 원조격인 군함이다. 당대 구축함과 다르게 선체가 크고 강력한 함포 무장을 장착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고성능 조타 장치.png
고성능 조타 장치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방향 전환 능력이 우수합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30mm/40 Mle 1919 5×1 6.6초 18초 10.1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2,050 9% 22mm
철갑탄 2,45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50mm lance-torpilles 2×3 90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4,833 1.4km 7km 68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6,600 0% 3 - 10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660m 4초 35.5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6km 3km 2.3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13.2mm/76 Mle 1929 2×2 7 1.2km
37mm/50 Mle 1933 2×2 5 3.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x x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20% 120초 180초 2회 2번(패드 ↑)

3.2. 게파르 - 5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게파르.png 139mm 함포로 무장한 Guepard급 군함으로 순양함과 구축함의 특징을 절반씩 갖추고 있어 이전 군함보다 대형 구축함이라는 이름에 더욱 가까웠다.
특성

파일:특성 고내구성.png
고내구성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기본 내구도가 높습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39mm/40 Mle 1923 5×1 5.3초 22.5초 10.6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2,200 9% 23mm
철갑탄 2,85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50mm lance-torpilles 2×3 87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4,833 1.4km 7km 68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7,200 0% 6 - 16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680m 4.1초 36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6.6km 3.3km 2.7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13.2mm/76 Mle 1929 2×1 5 1.2km
13.2mm/76 CAD Mle 1929 2×2 7 1.2km
37mm/50 Mle 1933 4×2 9 3.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x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50% 15초 12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20%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3.3. 보클랭 - 6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보클랭.png 프랑스 대형 구축함 계통 ("contre-torpilleurs")을 더욱 개발하여 제작한 군함이다. Guepard급 군함보다 함포 연사력이 향상되었으며 어뢰 무장이 Aigle급 군함과 다르게 배치되어 있어 어뢰 발사관 회전각이 더 넓다.
특성

파일:특성 고성능 조타 장치.png
고성능 조타 장치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방향 전환 능력이 우수합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39mm/40 Mle 1927 5×1 5초 18초 10.8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2,200 9% 23mm
철갑탄 2,85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50mm lance-torpilles 3×3 90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4,833 1.4km 7km 68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8,100 0% 3 - 16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670m 4초 36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7km 3.5km 2.8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13.2mm/76 CAD Mle 1929 6×2 21 1.2km
37mm/50 Mle 1933 4×2 9 3.0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x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50% 15초 15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20%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3.4. 르 팡타스크 -7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르 팡타스크.png 선체가 크고 속력이 매우 빠른 군함이었다. 탄도가 개선되고 사거리가 향상된 신형 139mm 주함포로 무장하였다.
특성

파일:특성 고속 기동.png
고속 기동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최고 속도가 높습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39mm/50 Mle 1929 5×1 6초 18초 11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2,200 10% 23mm
철갑탄 2,95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50mm lance-torpilles 3×3 90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6,667 1.8km 8km 72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18,500 0% 6 - 20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690m 4.3초 42.7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6.9km 3.5km 2.8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20mm/70 Mk4 8×1 29 2.0km
40mm/56 Bofors Mk1 2×2 23 3.5km
40mm/56 Bofors Mk2 1×4 16 3.5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50% 15초 15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20%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3.5. 모가도르 - 8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모가도르.png 프랑스 해군에서 건조한 대형 구축함("Contre-Torpilleurs")중 가장 강력한 군함이었다. 2연장 포탑이 유리하게 배치되어 있어 이전 군함은 물론 당대 구축함 대부분의 화력까지 압도하였다. Mogador급 군함의 또다른 특징은 어뢰 발사관 2기가 양 측면에 배치되어있다는 점이다.
특성

파일:특성 다수의 함포.png
다수의 함포
[설명 보기]
해당 군함은 함포가 많아 강력한 일제 사격을 가할 수 있습니다.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사거리 시그마
139mm/50 Mle 1934 4×2 8초 18초 11km 2.0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2,000 10% 23mm
철갑탄 2,700 -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550mm lance-torpilles 2×2
2×3
77초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어뢰 대함 피탐지 사거리 속력
17,200 1.8km 6km 75knot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20,200 0% 10 - 20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730m 4.7초 43.5knot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7km 3.5km 2.8km
대공포 수량 DPS 사거리
20mm/70 Oerlikon Mk24 4×2 24 2.0km
57m/60 ACAD Mle 1951 2×2 51 4.5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소모품
명칭 효과 작동 시간 쿨타임 사용 횟수 슬롯 위치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5초 40초 무제한 1번(패드 ←)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 주함포의 재장전 시간이 일시적으로 -50% 20초 150초 2회 2번(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20% 120초 180초 2회 3번(패드 →)

4. 2차 트리(어뢰정)

프랑스 어뢰 구축함
프랑스 어뢰 구축함 계통은 어뢰 중심의 군함들로, 고유기능인 추진 어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발사된 어뢰는 이동 중 점점 가속되어 매우 빠른 속도에 도달하며, 화재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 장점
- 소이 탄두 어뢰
- 추진 어뢰
- 우수한 피탐지 성능
* ▼ 단점
- 약한 방호력
- 낮은 주함포 연사력

2025년 11월에 얼리엑세스를 시작하여 2025년 12월에 정식 추가 예정인 트리

높은 내구성과 높은 고속 기동력을 통해 포탄을 회피하며 근접 인파이팅을 걸거나 장거리 포격전을 주력으로 하는 대형 구축함 트리와 다르게 평범한 주함포 구경인데 매우 느린 장전을 가지는 주함포, 느린 최고 속력, 낮은 내구도를 가진 대신 좋은 피탐지 거리, 단발 연막으로 생존력 확보, 강력한 전용 무장 소이 추진 어뢰를 통해 적 군함을 견제하고 교란을 시키는 구축함.

어뢰정 특성을 가진 구축함 답게 피탐지 범위가 굉장히 좋은 대신, 내구도가 낮다는 단점을 디폴트로 들고 있으며, 한술 더 떠 고속의 프랑스 군함답지 않게 속력이 다소 느린편이다. 이를 보완할 소모품으로 고성능 20% 엔진 부스트와 단발 연막으로 순간 가속력을 챙기고 연막으로 몸을 숨겨 최대한의 생존을 꾀할 수 있다. 프랑스 구축함 답게 독특한 모듈 데미지로 피격당하더라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건 덤.

함포 화력은 형편이 없는 수준으로, 사거리나 명중률, 포탄 성능은 평범하지만 연사력이 느려 대구축 교전이나 포격을 할 상황에서 원하는 DPM이 안나오는 편이며, 한술 더 떠 포 배치가 죄다 후방에 몰려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나마 다행인 점이라면 중앙에 가까운 함포 한두개는 360도 회전이 지원이 되어 각주는 상황에선 포격 화력이 나오는 편

하지만 2차 트리의 진가는 포가 아닌 어뢰에 있는데. 침수 확률이 낮아[3] 침수가 잘 안나지만, 대신 피격 시 화재를 내어 상태이상을 일으키는 소이 탄두가 장착된 어뢰를 사용한다. 한술 더 떠 이 어뢰는 항주 거리가 길어질 수록 화재 확률과 어뢰 속력이 높아져 초반 느린 어뢰 속력에 비해 장거리 도달 속도가 굉장히 빠르게 나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대한 반동으로 항주 거리가 길어지는 만큼 어뢰 피탐지가 늘어나는데, 어뢰 피탐이 최대 2.1km가 길어저도 대가 90노트 이상 빠르게 항주하다 보니 대응 시간이 길지 않다는 강점을 지닌다. 물론 이런 어뢰 특성 때문에 어뢰의 공격력은 평범한 편

레전더리는 공개되지 않았으며 추가될 경우 본가에서 10티어에 위치한 쉬르쿠프급 구축함 2번함인 카사드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4.1. 라드루아 - 4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라드루아.png
특성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일반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시그마
km }}}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0,000 % mm
철갑탄 00,000 ~
소이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소이가속어뢰 ×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사거리 추진 거리
00,000 km km
화재율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속력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피탐지
발사시~최대 추진시
100% ~ 400% knots ~ knots 1.2km ~ 2.1km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00,000 % 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m knots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km km km
대공포
명칭 수량 DPS 사거리
× km
× km
× km
× 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소모품
슬롯 위치 명칭 설명 시간 사용 횟수
1번
(패드 ←)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작동: 초
쿨타임: 초
무제한
2번
(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작동: 초
쿨타임: 초
3번
(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1920년대 후반 부라스크급 구축함의 후계함급으로 설계하고 건조한 라드루아급 구축함 1번함인 라드루아는 1929년에 취역하여 활동하였으나 1940년 됭케르크 철수작전도중 독일 공군의 He 111의 폭격으로 인해 격침되었다.

4.2. 뒤샤포 - 5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뒤샤포.png
특성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일반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시그마
km }}}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0,000 % mm
철갑탄 00,000 ~
소이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소이가속어뢰 ×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사거리 추진 거리
00,000 km km
화재율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속력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피탐지
발사시~최대 추진시
100% ~ 400% knots ~ knots 1.2km ~ 2.1km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00,000 % 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m knots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km km km
대공포
명칭 수량 DPS 사거리
× km
× km
× km
× 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소모품
슬롯 위치 명칭 설명 시간 사용 횟수
1번
(패드 ←)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작동: 초
쿨타임: 초
무제한
2번
(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작동: 초
쿨타임: 초
3번
(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프랑스 해군이 운용한 솔다티급 구축함 뒤샤포, 해당 함선은 본래 이탈리아 해군이 운용하던 솔다티급 구축함 레지오나리오를 전후 배상함으로 받아 운용한 선박이다. 취역은 대전 한창기인 1942년에 취역하였고. 이탈리아가 항복한 이후 연합국에 합류하여 종전을 맞이했다. 이후 1948년도에 프랑스에 배상함으로 넘어가 함명을 뒤샤포로 바꾼 다음 1954년까지 운용하였다.

배상함이다 보니 무장 구성도가 전티어랑 살짝 딴판으로 노는 편으로 프랑스의 표준 함포 구경 / 어뢰 구경인 130mm / 550mm가 아닌 이탈리아가 쓰던 120mm / 533mm를 잠시 사용한다. 물론 성능적인 차이는 없는 편

4.3. 르 아르디 - 6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르 아르디.png
특성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일반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시그마
km }}}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0,000 % mm
철갑탄 00,000 ~
소이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소이가속어뢰 ×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사거리 추진 거리
00,000 km km
화재율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속력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피탐지
발사시~최대 추진시
100% ~ 400% knots ~ knots 1.2km ~ 2.1km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00,000 % 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m knots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km km km
대공포
명칭 수량 DPS 사거리
× km
× km
× km
× 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소모품
슬롯 위치 명칭 설명 시간 사용 횟수
1번
(패드 ←)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작동: 초
쿨타임: 초
무제한
2번
(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작동: 초
쿨타임: 초
3번
(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프랑스 해군의 아르디급 구축함, 부라스크의 개량형에 가깝던 라드루아와 다르게 밀폐식 포탑, 37노트의 고속 항행능력 확보 등 이전보다 더 진보한 설계를 가지고 건조했으나, 특유의 느린 건조 속도로 인해 1936년 기공 시작부터 1940년 항복까지 취역한 함선은 총 다섯척[4]만 취역하였다. 모두 비시 프랑스 해군 소속으로 활동하였고 건조하던 나머지 5척은 마저 진행하려 했으나 취역한 5척과 건조하던 5척 모두 툴롱 프랑스 함대 자침사건에 모두 자침하였다.

4.4. 라방튀리에 - 7티어

파일:워쉽 레전드 라방튀리에.png
특성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일반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시그마
km }}}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0,000 % mm
철갑탄 00,000 ~
소이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소이가속어뢰 ×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사거리 추진 거리
00,000 km km
화재율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속력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피탐지
발사시~최대 추진시
100% ~ 400% knots ~ knots 1.2km ~ 2.1km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00,000 % 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m knots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km km km
대공포
명칭 수량 DPS 사거리
× km
× km
× km
× 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소모품
슬롯 위치 명칭 설명 시간 사용 횟수
1번
(패드 ←)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작동: 초
쿨타임: 초
무제한
2번
(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작동: 초
쿨타임: 초
3번
(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스페인 내전 당시 항공기가 군함의 새로운 위협임을 깨달은 프랑스 해군이 기존에 건조하던 아르디급 구축함을 업그레이드 하여 개선한 버전인 1938-bis형 구축함. 설계상으론 130 mm 주함포(CP)를 됭케르크급 전함에도 사용됐던 130 mm 양용포(DP)로 변경하거나, 포는 유지하지만 어뢰관을 모두 탈거하고 100mm 양용포로 바꾸는 기획까지 있었으나 프랑스 항복으로 인하여 계획이 취소된다. 인게임 버전은 두 버전이 반영되진 않고 함체 확장, 어뢰 무장 및 대공포 확장만 받은 가상의 함선이며, 함명은 본래 아르디급 구축함 12번함으로 내정되었던 라방튀리에를 사용하였다.

4.5. 오라주 - 8티어(미출시)

파일:워쉽 레전드 오라주.png
특성
주함포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일반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사거리 시그마
km }}}
탄종 최대 공격력 화재 확률 관통력
고폭탄 0,000 % mm
철갑탄 00,000 ~
소이 어뢰
명칭 탑재 수 장전 시간 180도 회전 시간
소이가속어뢰 × 7.2초
어뢰 최대 공격력 사거리 추진 거리
00,000 km km
화재율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속력
발사시~최대 추진시
어뢰 피탐지
발사시~최대 추진시
100% ~ 400% knots ~ knots 1.2km ~ 2.1km
생존 내구도 어뢰방호 장갑
00,000 % mm
기동 선회반경 전타시간 최고속도
m knots
피탐지 수상 피탐지 공중 피탐지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km km km
대공포
명칭 수량 DPS 사거리
× km
× km
× km
× km
강화 장치
1번 슬롯 2번 슬롯 3번 슬롯 4번 슬롯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무장 내구도 강화 장치 1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조타 강화 장치 3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함포 통제 강화 장치 2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사격 통제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3
어뢰 발사관 강화 장치 3
소모품
슬롯 위치 명칭 설명 시간 사용 횟수
1번
(패드 ←)
피해 복구반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작동: 초
쿨타임: 초
무제한
2번
(패드 ↑)
엔진 부스트 사용 시 제한 시간 동안 군함의 최고 속도 +% 작동: 초
쿨타임: 초
3번
(패드 →)
연막 생성기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작동: 초
분산: 초
쿨타임: 초

종전 이후 신형 구축함이 필요해진 프랑스 해군은 기존의 성공적인 설계를 가졌던 아르디급 구축함모가도르급 구축함의 두 장점을 합하여 차세대 구축함을 건조하려는 계획을 수립한다. 주 무장은 미국에서 수입해온 신형 함포 5인치 54구경장 함포를 사용하고 신형 사통장치와 신형 대공포를 장착하는 등 많은 신경을 썼다. 오라주는 그 수많은 설계안중 하나이며 이를 발전하여 쉬르쿠프급 구축함(또는 T47급 구축함)을 건조하게 된다. 물론 오라주는 실존함과는 큰 차이가 있어 창작함으로 봐도 무방.

범유럽 2차 구축함 얼리엑세스와 마찬가지로 오라주는 12월 패치로 연구가 활성화될 예정이다.
[1] 물론 타 구축함은 5연장 2기 내지는 4연장 2기 이렇게 화력 집중을 하는데 비해 3연장 3기, 2연장 2기 3연장 2기 이런식으로 양 사이드에 분배된 독특한 구조가 나온다.[2] 게임 자체에 조준 보정으로 탄속이 좀 되는 군함들은 빠른 속력에 관계없이 신속하게 조준하여 프랑스 포격 구축함을 맞출 수 있다.[3] 제일 낮은 구축함이 범유럽 7티어 프리미엄 구축함 예거인데, 그보다 더 낮게 설정되어 있다고 함.[4] 1번함 아르디, 2번하 플뢰레, 3번함 에페, 4번함 맘뤼크, 5번함 카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