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 테크트리 | ||||||||||||
{{{#!folding [ 보기 · 닫기 ] | 미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일본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영국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독일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프랑스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소련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항공모함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이탈리아 | 순양함 | 구축함 | 전함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네덜란드 | 순양함 |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아시아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범유럽 | 순양함 | 구축함 | | | 프리미엄 | 레전더리 | ||||||
기타 | 기타 국가 프리미엄 | 기타 국가 레전더리 | 컬래버레이션 함선 | |||||||||
이벤트 함선 | 기타 함선 |
1. 개요
교전형 전함
이탈리아 전함은 강력한 철갑탄과, Andrea Doria부터 향상된 관통각이 특징입니다. 또한 강력한 반철갑탄 부함포는 범위 안에 들어온 적군함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거리에서는 주함포의 명중률이 떨어집니다.
* ▲ 장점
- 반철갑탄 부함포
- 성능이 뛰어난 주함포 철갑탄
- 6단계부터 사용할 수 있는 배기식 연막 생성기 소모품
* ▼ 단점
- 나쁜 주함포 분산도
- 짧은 주함포 사거리
이탈리아 전함은 강력한 철갑탄과, Andrea Doria부터 향상된 관통각이 특징입니다. 또한 강력한 반철갑탄 부함포는 범위 안에 들어온 적군함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거리에서는 주함포의 명중률이 떨어집니다.
* ▲ 장점
- 반철갑탄 부함포
- 성능이 뛰어난 주함포 철갑탄
- 6단계부터 사용할 수 있는 배기식 연막 생성기 소모품
* ▼ 단점
- 나쁜 주함포 분산도
- 짧은 주함포 사거리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 등장하는 이탈리아 전함 일람.
2022년 2월 업데이트로 얼리억세스로 들어가며 3월부터 정식으로 연구 개발이 가능해진다.
주포는 이탈리아/프랑스의 떨어지는 전함 분산을 사용하는데다 집탄도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라인이라 문제가 많았고 결국 철갑탄 도탄각 보정을 받아서 밸런스를 잡았다. 도탄각 보정은 55/70도로 매우 후한 편. 부포는 반철갑탄을 사용하며 부포 사거리도 살짝 업그레이드 되어있어서 근중거리 부포 위력이 매우 뛰어나다. 어느 정도 부포 셋팅을 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지만 독일 전함처럼 제대로 된 부포 셋팅은 무리다.
특징적인 소모품으로 배기식 연막을 가지며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리반이 기본 1개 더 많은 4개를 가지며 이탈리아 전함 함장의 특성상 최대 6개의 수리반을 사용할수 있다. 대신 항공기는 7티어만 지원하는데 배기식 연막을 좀더 잘 활용하려면 전투기라도 있는 것이 좋은데 아쉽게도 리토리오에만 전투기/정찰기가 지원된다.
레전더리 티어는 크리스토퍼 콜롬보이다.
2. 함선
2.1. 단테 알리기에리 - 3티어
| 최초의 이탈리아 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 동종 군함 중 속력이 빠른 편이며 주함포가 독특하게 배치되어 있다. | 생존 | 35 | |||
함포 | 67 | |||||
대공 | 18 | |||||
기동력 | 17 | |||||
피탐지 | 53 |
특성 |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05mm/46 Vickers-Terni 1909 | 4×3 | 33초 | 60초 | 13.3km | 1.4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3,800 | 23% | 51mm | ||
철갑탄 | 7,9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20mm/50 Vickers 1909 | 12×1 4×2 | 3초 | 4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2,800 | - | 34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33,000 | 13% | 13 - 28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580m | 11.5초 | 23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2km | 9.6km | 6.9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40mm/39 QF MkII | 8×1 | 46 | 2.5km |
76.2mm/40 Ansaldo 1917 | 4×1 | 8 | 3.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164 | 28초 | 80초 | 4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2.2. 콘테 디 카보우르 - 4티어
| 이탈리아에서 첫 번째로 건조된 드레드노트급 군함 합금의 1번함이다. 20세기 초반 다른 대부분 이탈리아 군함과 마찬가지로 균형 잡힌 선체를 보유하였다. 주무장으로는 305mm 함포 13문을 사용하였다. | 생존 | 40 | |||
함포 | 68 | |||||
대공 | 19 | |||||
기동력 | 13 | |||||
피탐지 | 46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05mm/46 Vickers-Terni 1909 | 3×3 2×2 | 28.5초 | 60초 | 14.3km | 1.6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3,800 | 30% | 51mm | ||
철갑탄 | 7,9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20mm/50 Vickers 1909 | 18×1 | 3초 | 4.3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2,800 | - | 34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36,300 | 16% | 13 - 28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20m | 12초 | 22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3km | 10.4km | 7.5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37mm/54 Breda 1939 | 8×1 | 71 | 3.5km |
76.2mm/40 Ansaldo 1917 | 6×1 | 13 | 3.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x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181 | 28초 | 80초 | 4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2.3. 안드레아 도리아 - 5티어
| Conte di Cavour급 전함을 보완한 군함으로 부함포 성능이 향상되었다. 1930년대 어뢰 방호 체계, 군함 속력, 주함포와 부함포 성능 등 사양을 보강하는 대대적인 개선 작업이 이뤄졌다. | 생존 | 51 | |||
함포 | 86 | |||||
대공 | 61 | |||||
기동력 | 39 | |||||
피탐지 | 40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20mm/44 M1936 | 2×2 2×3 | 27초 | 36초 | 15.5km | 1.6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4,700 | 35% | 53mm | ||
철갑탄 | 9,5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90mm/50 OTO 1939 | 10×1 | 3.5초 | 4.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2,000 | - | 26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35mm/45 OTO 1938 | 4×3 | 5초 | 4.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3,000 | - | 38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42,200 | 20% | 12 - 28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640m | 13초 | 27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4.1km | 11.3km | 8.4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65 Breda 1935 | 8×2 | 27 | 2.0km |
37mm/54 Breda 1938 | 9×2 | 104 | 3.5km |
90mm/50 OTO 1939 | 10×1 | 95 | 4.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x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10 | 28초 | 80초 | 4회 | 2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3번(패드 →) |
2.4. 프란체스코 카라치올로 - 6티어
| 이탈리아 해군 최초의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 381mm 함포를 장착하였다. 건조는 제1차 세계대전 기간에 시작됐으며 타국 해군의 고속 전함과 대등한 성능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 생존 | 60 | |||
함포 | 88 | |||||
대공 | 64 | |||||
기동력 | 42 | |||||
피탐지 | 38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81mm/50 OTO 1934 | 4×2 | 33초 | 30초 | 15.8km | 1.7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5,400 | 24% | 64mm | ||
철갑탄 | 11,0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90mm/50 OTO 1939 | 12×1 | 3.5초 | 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2,000 | - | 26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2mm/55 OTO 1936 | 4×3 | 5초 | 5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3,800 | - | 42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50,500 | 25% | 16 - 381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740m | 14.3초 | 29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4.3km | 11.4km | 9.8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65 Breda 1935 | 2×2 | 7 | 2.0km |
20mm/70 Breda 1941 | 8×6 | 50 | 2.0km |
37mm/54 Breda 1938 | 8×2 | 93 | 3.5km |
90mm/50 OTO 1939 | 12×1 | 114 | 4.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x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252 | 28초 | 80초 | 4회 | 2번(패드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지속: 45초 분산: 10초 | 150초 | 3회 | 3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4번(패드 ↓) |
2.5. 비토리오 베네토 - 7티어
| 이탈리아의 차세대 전함으로 뛰어난 어뢰 방어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취역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전함 중 하나였다. | 생존 | 79 | |||
함포 | 89 | |||||
대공 | 68 | |||||
기동력 | 46 | |||||
피탐지 | 45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81mm/50 OTO 1934 | 3×3 | 31초 | 30초 | 16.8km | 1.7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5,400 | 24% | 64mm | ||
철갑탄 | 11,0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90mm/50 OTO 1939 | 12×1 | 3.5초 | 5.8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2,000 | - | 26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2mm/55 OTO 1934 | 4×3 | 5초 | 5.8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3,800 | - | 42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64,800 | 38% | 13 - 380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810m | 15.5초 | 30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5.2km | 12.2km | 10.5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70 Breda 1941 | 8×6 | 50 | 2.0km |
37mm/54 Breda 1938 | 12×2 | 139 | 3.5km |
90mm/50 OTO 1939 | 12×1 | 114 | 4.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주함포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323 | 28초 | 80초 | 4회 | 2번(패드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지속: 45초 분산: 10초 | 150초 | 3회 | 3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4회 | 4번(패드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10% | 30초 | 80초 | 4회 | 4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4번(패드 ↓) |
2.6. 레판토 - 8티어
| Vittorio Veneto급 전함의 개량형 군함으로 4연장 주함포를 장착하였다. | 생존 | 88 | |||
함포 | 89 | |||||
대공 | 80 | |||||
기동력 | 32 | |||||
피탐지 | 31 |
특성 | |||
|
주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180도 회전 시간 | 사거리 | 시그마 |
381mm/50 1934 | 3×4 | 33.5초 | 30초 | 17.2km | 1.6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고폭탄 | 5,400 | 24% | 64mm | ||
철갑탄 | 11,000 | - |
부함포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90mm/50 OTO 1939 | 12×2 | 6초 | 6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2,000 | - | 26mm | ||||
명칭 | 탑재 수 | 장전 시간 | 사거리 | ||||
152mm/55 OTO 1936 | 6×3 | 8.5초 | 6km | ||||
탄종 | 최대 공격력 | 화재 확률 | 관통력 | ||||
반철갑탄 | 3,800 | - | 42mm |
생존 | 내구도 | 어뢰방호 | 장갑 |
75,900 | 47% | 19 - 406mm | |
기동 | 선회반경 | 전타시간 | 최고속도 |
910m | 16.7초 | 29.5knot | |
피탐지 | 수상 피탐지 | 공중 피탐지 | 연막 내 발포후 피탐지 |
15.5km | 12.4km | 10.6km |
대공포 | 수량 | DPS | 사거리 |
20mm/70 Breda 1941 | 16×6 | 99 | 2.0km |
37mm/54 Breda 1938 | 8×2 | 93 | 3.5km |
37mm/54 Breda 1939 | 8×4 | 153 | 3.5km |
90mm/50 OTO 1939 | 12×2 | 162 | 4.0km |
강화 장치 | |||
1번 슬롯 | 2번 슬롯 | 3번 슬롯 | 4번 슬롯 |
조준 시스템 강화 장치 1 부함포 강화 장치 2 대공포 강화 장치 2 주함포 강화 장치 2 | 조타 강화 장치 2 추진 기관 강화 장치 2 피해 복구 강화 장치 2 | 위장 시스템 강화 장치 1 표적 탐지 시스템 강화 장치 1 | 부함포 강화 장치 3 대공포 강화 장치 3 주함포 강화 장치 3 |
소모품 | |||||
명칭 | 효과 | 작동 시간 | 쿨타임 | 사용 횟수 | 슬롯 위치 |
피해 복구반 | 모든 상태이상 제거 밎 작동시간 동안 면역 유지 | 15초 | 80초 | 무제한 | 1번(패드 ←) |
수리반 | 작동시간 동안 초당 체력 +379 | 28초 | 80초 | 4회 | 2번(패드 ↑) |
배기식 연막 생성기 | 배기식 연막을 생성해 피탐지 범위 감소 | 지속: 45초 분산: 10초 | 150초 | 3회 | 3번(패드 →) |
사출 전투기 | 적 항공기를 자동으로 요격하는 전투기 사출 | 90초 | 80초 | 4회 | 4번(패드 ↓) |
정찰기 | 주함포 포탄 집중도 +10% | 30초 | 200초 | 4회 | 4번(패드 ↓) |
부함포 조준 강화 | 부함포 포탄 집중도 +100% 부함포 분산도 -50% | 30초 | 160초 | 3회 | 4번(패드 ↓) |
[2023년 7월 25일 공식 방송에서 레판토의 부포 재장전 시간을 40% 증가시킨 이유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이전 티어인 베네토의 경우 평균 부포 피해량이 1만이었으나, 레판토는 그보다 200% 증가한 3만의 피해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졌다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