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5:07:39

유로리그

유로 리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유로 리그(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ff5e00><colcolor=#ffffff> 유로리그
파일:euroleaguelogo.png
정식 명칭 Turkish Airlines EuroLeague
창설 1958년(FIBA European Champions Cup)
2000년(Euroleague)
참가 자격 소속 리그에서 출전권을 부여 받은 FIBA 유럽 라이선스 클럽
최다 우승 구단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스페인, 11회)
최근 우승 구단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그리스, 2023-24)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 파일:유로리그3.png | 파일:유로리그3.pngTV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진행 방식3. 역대 결승전4. 기록
4.1. 우승/준우승 횟수
4.1.1. 구단별4.1.2. 국가별
4.2. 4강 진출 횟수

[clearfix]

1. 개요

유럽 대륙의 최상위 농구 클럽 대항전으로서 대회의 수준이나 규모 면에서 NBA 다음가는 위상을 가지고 있다.

바스켓볼 챔피언스 리그(Basketball Champions League)라는 이름의 유럽 최상위 농구 리그가 별도로 존재한다. 정확히 말하면 사기업인 유로리그 바스켓볼(Euroleague Basketball)이 주관하는 유로리그와 유로컵(EuroCup)이 있고, 유럽 농구 연맹(FIBA Europe)이 주관하는바스켓볼 챔피언스 리그와 유럽 컵(Europe Cup)이 따로 있다. 유로리그가 갖고 있는 유럽 1부 리그 위상을 되찾기 위해, 유럽 농구 연맹이 기존에 자신들이 주관하던 유로컵 아래의 클럽 대항전 유로챌린지(EuroChallenge)를 폐지하고 2015-16 시즌부터 유럽 컵을, 2016-17 시즌부터 바스켓볼 챔피언스 리그를 창설한 것이다.

1958년에 FIBA 주관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으로 출범, 1996년에 FIBA 유로리그로 명칭을 변경해 유로리그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2000년에는 유로리그라는 명칭과 관련한 법적 분쟁이 일어나 FIBA가 주관한 FIBA 수프로리그(FIBA Suproleague)와 유로리그 바스켓볼 유한회사가 주관한 유로리그 이렇게 각각의 유럽 클럽 대항전이 동시에 2000-01 시즌을 진행했다가 다음 시즌부터 유로리그 바스켓볼 산하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해당 시즌의 유럽 챔피언은 2팀이고, 모두 공식 기록으로 인정해준다. 이후 유럽 클럽 대항전은 유로리그 바스켓볼이 맡고, FIBAFIBA 유로바스켓, FIBA 농구 월드컵, 올림픽 농구 등의 국가 대항전을 담당하게 되었다. 현재 터키항공명명권을 가지고 있다.

유로리그에서 좋은 활약을 펼친 선수는 비NBA권 최상위 수준으로 인정받아 NBA에 진출하고 활약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스플리트와 트레비소 출신인 토니 쿠코치, 시보나와 레알 마드리드 출신인 드라젠 페트로비치, 볼로냐 출신인 마누 지노빌리, FC 바르셀로나 출신인 파우 가솔, 레알 마드리드 출신인 루카 돈치치가 있다.[1]

여자 대회인 유로리그 위민(EuroLeague Women)도 운영하고 있다.

2. 진행 방식

총 18팀이 참가하여, 정규 시즌-플레이오프-파이널 포(Final Four) 단계로 진행된다.

유로리그는 2016-2017 시즌을 앞두고 새로운 리그 모델을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유로리그 주최 측은 정규 시즌 참가 팀을 24팀에서 16팀으로 줄였다. 그리고 2019-2020 시즌 와일드카드를 도입해 2팀을 늘려 18팀으로 진행된다. 와일드카드는 유럽농구연맹(ULEB)에서 전 해 성적과 시장 규모, 팬들의 열기, 관중 수 등을 심의하여 해당 리그의 팀들에게 출전권을 주는 제도이다.
이 중 ‘A-라이선스’를 가진 12팀에 대해서는 10년간 유로리그 정규 시즌에 자국 리그 성적과 관계없이 출전하는 자격을 부여했다. 즉, 몇몇 선별된 대형 클럽들만 고정적으로 참가해서 경쟁한다. [2] 12팀은 다음과 같다

그 외 나머지 7자리에는 아드리아틱 리그, 독일 분데스리가, 스페인 리그, 유로컵, VTB 유나이티드 리그 우승팀, 와일드카드로 선정된 2팀이 나선다. 다만 스페인 리그와 VTB 유나이티드 리그는 유로리그에 고정적으로 나가는 팀이 우승의 주인공이 되면 다음 성적 순으로 유로리그 정규 시즌에 참가하는 팀이 정해진다.

이렇게 구성된 총 18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유로리그 정규 시즌을 소화한다. 팀당 34경기(34라운드)를 치르며, 팀당 한 주에 1, 2회 스케줄을 소화한다. 이 중 가장 성적이 좋은 8팀이 8강 플레이오프에 나서게 된다. 정규 시즌 순위에서 타이브레이커가 발생할 경우 상대 전적, 상대 경기 득실 차, 정규 시즌 득실 차, 정규 시즌 다득점 순으로 순위를 정한다.

8강 플레이오프는 정규 시즌처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며 5전 3선승제이다. 여기서 살아남은 4팀은 파이널 포에 진출한다. 대체로 3일에 걸쳐 열리는 파이널 포는 단판 승부이며 4강 3-4위전, 파이널이 한 장소에서 펼쳐진다.

3. 역대 결승전

<rowcolor=#fff> 연도 우승팀 점수 준우승팀 파이널 포 MVP
1958 파일:소련 국기.svg 리가스 ASK 170-152
(86-81/71-84)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카데믹 -
1958-59 파일:소련 국기.svg 리가스 ASK 148-125
(79-58/67-69)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카데믹 -
1959-60 파일:소련 국기.svg 리가스 ASK 130-113
(51-61/69-62)
파일:소련 국기.svg 디나모 트빌리시 -
1960-61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148-128
(87-62/66-61)
파일:소련 국기.svg 리가스 ASK -
1961-62 파일:소련 국기.svg 디나모 트빌리시 90-83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62-63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259-240
(86-69/91-74/99-8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63-64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183-174
(110-99/84-64)
파일:체코 국기.svg 브르노 -
1964-65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157-150
(88-81/76-62)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
1965-6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77-72 파일:체코 국기.svg USK 프라하 -
1966-67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91-8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
1967-6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98-95 파일:체코 국기.svg 브르노 -
1968-69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103-99(연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69-7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79-74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
1970-71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67-5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1-7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70-6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스플리트 -
1972-7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71-66 파일:소련 국기.svg CSKA 모스크바 -
1973-74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84-8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4-7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79-66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75-7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81-74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76-7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78-7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7-7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75-6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8-7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보스나 75-6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
1979-8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89-8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
1980-81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80-7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
1981-8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칸투 86-8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
1982-8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칸투 69-6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
1983-8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로마 79-73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
1984-85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치보나 87-7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
1985-86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치보나 94-82 파일:소련 국기.svg 잘기리스 -
1986-8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71-6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
1987-8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90-8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밥 맥아두(올림피아 밀라노)
1988-8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스플리트 75-6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디노 라자(스플리트)
1989-90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스플리트 72-67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토니 쿠코치(스플리트)
1990-91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스플리트 70-65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토니 쿠코치(스플리트)
1991-92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파르티잔 71-70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사샤 다닐로비치(파르티잔)
1992-93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모주 CSP 59-5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레비소 토니 쿠코치(트레비소)
1993-94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59-57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자르코 파스파예(올림피아코스)
1994-95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73-61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아비다스 사보니스(레알 마드리드)
1995-96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67-66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도미니크 윌킨스(파나티나이코스)
1996-97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73-58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데이비드 리버스(올림피아코스)
1997-9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58-44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조란 사비치(비르투스 볼로냐)
1998-99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잘기리스 82-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타이어스 에드니(잘기리스)
1999-00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73-6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젤리코 레브라카(파나티나이코스)
2000-01[FSL]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81-67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아리엘 맥도널드(마카비 텔아비브)
2000-0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3-2
(65-78/94-73/80-60/79-96/82-74)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스코니아 마누 지노빌리(비르투스 볼로냐)
2001-02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89-8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데얀 보디로가(파나티나이코스)
2002-03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76-6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레비소 데얀 보디로가(FC 바르셀로나)
2003-0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118-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포르티투도 볼로냐 앤서니 파커(마카비 텔아비브)
2004-0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90-78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스코니아 사루나스 야시케비시우스(마카비 텔아비브)
2005-06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73-6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테오도로스 파파루카스(CSKA 모스크바)
2006-07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93-91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파나티나이코스)
2007-08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91-77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트라잔 랭던(CSKA 모스크바)
2008-09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73-71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바실리스 스파눌리스(파나티나이코스)
2009-10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86-68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후안 카를로스 나바로(FC 바르셀로나)
2010-11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78-7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디미트리스 디아만티디스(파나티나이코스)
2011-12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62-61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올림피아코스)
2012-13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100-8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바실리스 스파눌리스(올림피아코스)
2013-1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98-86(연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타이리스 라이스(마카비 텔아비브)
2014-15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78-59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안드레스 노시오니(레알 마드리드)
2015-16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101-96(연장)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난도 데콜로(CSKA 모스크바)
2016-17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80-64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엑페 우도(페네르바흐체)
2017-18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85-8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루카 돈치치(레알 마드리드)
2018-19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91-8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윌 클라이번(CSKA 모스크바)
2019-20 취소(COVID-19 유행)
2020-2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86-81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바실리예 미치치(아나돌루 에페스)
2021-2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58-57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바실리예 미치치(아나돌루 에페스)
2022-23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79-78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에디 타바레스(레알 마드리드)
2023-24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95-8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코스타스 슬루카스(파나티나이코스)

4. 기록

4.1. 우승/준우승 횟수

※ 최다 기록은 굵게 표시.

4.1.1. 구단별

<rowcolor=#fff> 순위 구단명 우승 횟수 준우승 횟수 우승 연도
1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11 10 1963-64, 1964-65, 1966-67, 1967-68, 1973-74, 1977-78, 1979-80, 1994-95, 2014-15, 2017-18, 2022-23
2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8 6 1960-61, 1962-63, 1968-69, 1970-71, 2005-06, 2007-08, 2015-16, 2018-19
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6 9 1976-77, 1980-81, 2000-01[FSL], 2003-04, 2004-05, 2013-14
4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BC 7 1 1995-96, 1999-00, 2001-02, 2006-07, 2008-09, 2010-11, 2023-24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5 5 1969-70, 1971-72, 1972-73, 1974-75, 1975-76
6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BC 3 6 1996-97, 2011-12, 2012-13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3 2 1965-66, 1986-87, 1987-88
8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스 ASK 3 1 1958, 1958-59, 1959-60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스플리트 3 1 1988-89, 1989-90, 1990-91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2 6 2002-03, 2009-10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2 3 1997-98, 2000-01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칸투 2 0 1981-82, 1982-83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치보나 2 0 1984-85, 1985-86
1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1 2 2016-17
15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디나모 트빌리시 1 1 1961-62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1 1 1993-94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잘기리스 1 1 1998-99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2 1 2020-21, 2021-22
18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나 1 0 1978-7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로마 1 0 1983-84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르티잔 1 0 1991-92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모주 CSP 1 0 1992-93
22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카데믹 0 2 -
파일:체코 국기.svg 브르노 0 2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레비소 0 2 -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스코니아 0 2 -
26 파일:체코 국기.svg USK 프라하 0 1 -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0 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포르티투도 볼로냐 0 1 -

4.1.2. 국가별

<rowcolor=#fff> 순위 국가 우승 횟수 준우승 횟수 우승 구단 준우승 구단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4 19 레알 마드리드 11회
FC 바르셀로나 2회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1회
레알 마드리드 10회
FC 바르셀로나 6회
바스코니아 2회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1회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3 13 바레세 5회
올림피아 밀라노 3회
칸투 2회
비르투스 볼로냐 2회
비르투스 로마 1회
바레세 5회
비르투스 볼로냐 3회
올림피아 밀라노 2회
트레비소 2회
포르티투도 볼로냐 1회
3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10 7 파나티나이코스 7회
올림피아코스 3회
올림피아코스 6회
AEK 1회
파나티나이코스 1회
4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8 6 CSKA 모스크바 4회
리가스 ASK 3회
디나모 트빌리시 1회
CSKA 모스크바 3회
디나모 트빌리시 1회
리가스 ASK 1회
잘기리스 1회
5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7 1 스플리트 3회
치보나 2회
보스나 1회
FK 파르티잔 1회
스플리트 1회
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6 9 마카비 텔아비브 6회 마카비 텔아비브 9회
7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4 3 CSKA 모스크바 4회 CSKA 모스크바 3회
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3 3 페네르바흐체 1회
아나돌루 에페스 2회
페네르바흐체 2회
아나돌루 에페스 1회
9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 0 리모주 CSP 1회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1 0 잘기리스 1회 -
11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0 3 - 브르노 2회
USK 프라하 1회
12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0 2 - 아카데믹 2회

4.2. 4강 진출 횟수

※ 결승에 진출한 연도는 굵게 표시.
<rowcolor=#fff> 순위 구단명 4강 진출 횟수 연도
1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31 1958, 1961, 1962, 1963, 1964, 1965,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4, 1975, 1976, 1978, 1980, 1985, 1993, 1995, 1996, 2011, 2013, 2014, 2015, 2017, 2018, 2019, 2022, 2023, 2024
2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CSKA 모스크바 28 1961, 1962, 1963, 1965, 1966, 1969, 1970, 1971, 1973, 1996, 2001[FSL],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1
3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18 1984, 1989, 1990, 1991, 1994, 1996, 1997, 2000, 2003, 2006, 2009, 2010, 2012, 2013, 2014, 2021, 2022, 2023
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마카비 텔아비브 17 1977, 1980, 1981, 1982, 1987, 1988, 1989, 1991, 2000, 2001[FSL], 2002, 2004, 2005, 2006, 2008, 2011, 2014
5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BC 13 1972, 1994, 1995, 1996, 2000, 2001[FSL], 2002, 2005, 2007, 2009, 2011, 2012, 2024
파일:그리스 국기.svg 올림피아코스 BC 13 1994, 1995, 1997, 1999, 2009, 2010, 2012, 2013, 2015, 2017, 2022, 2023, 2024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레세 11 1965,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올림피아 밀라노 9 1964, 1966, 1967, 1968, 1983, 1987, 1988, 1992, 2021
9 파일:스페인 국기.svg 바스코니아 6 2001, 2005, 2006, 2007, 2008, 2016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볼로냐 5 1981, 1998, 1999, 2001, 200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나돌루 에페스 5 2000, 2001[FSL], 2019, 2021, 202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6 2015, 2016, 2017, 2018, 2019, 2024
13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리가스 ASK 4 1958, 1959, 1960, 1961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스플리트 4 1972, 1989, 1990, 1991
파일:체코 국기.svg 브르노 4 1963, 1964, 1968, 196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트레비소 4 1993, 1998, 2002, 2003
파일:체코 국기.svg USK 프라하 4 1966, 1967, 1970, 1971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르티잔 4 1988, 1992, 1998, 20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멘스 사나 1871 4 2003, 2004, 2008, 2011
20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디나모 트빌리시 3 1960, 1962, 196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칸투 3 1976, 1982, 1983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잘기리스 3 1986, 1999, 2018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3 1966, 1998, 2001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모주 CSP 3 1990, 1993, 199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포르티투도 볼로냐 3 1999, 2001, 2004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OKK 베오그라드 3 1959, 1964, 1965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올림피아 3 1962, 1967, 1997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리스 3 1988, 1989, 1990
29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아카데믹 2 1958, 195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치보나 2 1985, 1986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벤투트 데 바달로나 2 1992, 1994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자다르 2 1968, 1975
파일:프랑스 국기.svg ASVEL 2 1976, 1997
34 파일:프랑스 국기.svg 베르크 1 1981, 1982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나 1 197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르투스 로마 1 1984
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티 혼베드 1 1958
파일:폴란드 국기.svg 레흐 포즈난 1 1959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로니아 바르샤바 1 1960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반 오르비스 프라하 1 196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1 1961
파일:벨기에 국기.svg 스탕다르 리에주 1 1969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라드니츠키 베오그라드 1 19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빅토리아 리베르타스 1 1991
파일:스페인 국기.svg 에스투디안테스 1 1992
파일:그리스 국기.svg PAOK 1 1993
파일:스페인 국기.svg 말라가 1 2007
파일:러시아 국기.svg 로코모티브 쿠반 1 2016
파일:프랑스 국기.svg AS 모나코 1 2023


[1] 참고로 마누 지노빌리는 유로리그, NBA, 올림픽을 모두 석권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2] 유럽 축구계에서 이를 모방한 계획이 바로 슈퍼 리그.[FSL] FIBA 수프로리그[FSL] [FSL] [FSL] [FSL] [F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