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1:15:11

류보청

유백승에서 넘어옴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휘장.svg
중국 인민해방군 원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d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중국 대원수 견장.png 대원수
大元帅
}}}
임명 사례 없음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중국 원수 견장.png 원수
元帅
}}}
녜룽전 · 뤄룽환 · 류보청 · 린뱌오 · 쉬샹첸 · 예젠잉 · 주더 · 천이 · 펑더화이 · 허룽 }}}}}}}}}}}}}}}
류보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휘장.svg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참모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d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FFFFF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중앙혁명군사위원회 참모장 (1930-1933) 중국공농홍군 총참모장 (1933-1936)
<rowcolor=#ffde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류보청 주윤칭 예젠잉 예젠잉 류보청
중국공농홍군 총참모장 (1933-1936)
<rowcolor=#ffde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예젠잉 류보청 샤오징광 텅다이위안 왕뤄페이
중국공농홍군 총참모장 (1933-1936) 중국공산당 중앙혁명군사위원회 총참모장 (1936-1949)
<rowcolor=#ffde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예젠잉 펑더화이 류보청 샤오징광 텅다이위안
중국공산당 중앙혁명군사위원회 총참모장 (1936-1949)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혁명군사위원회 총참모장 (1936-1949)
<rowcolor=#ffde00>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왕뤄페이 예젠잉 펑더화이 쉬샹첸 녜룽전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1954-2016)
<rowcolor=#ffde00>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쑤위 황커청 뤄뤼칭 황융성 덩샤오핑
<rowcolor=#ffde00>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양더지 츠하오톈 장완녠 푸촨여우 량광례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1954-2016)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참모장 (2016-)
<rowcolor=#ffde00> 제31대 제32대 초대 제2대 제3대
천빙더 팡펑후이 팡펑후이 리쭤청 류전리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49년-1954년)
주더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펑더화이 청첸 린뱌오
가오강 류보청 허룽
천이 뤄룽환 쉬샹첸
녜룽전 예젠잉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부주석
(1954년-1975년)
주더
(제1기)
펑더화이
(제1ᆞ2기)
린뱌오
(제1ᆞ2ᆞ3기)
류보청
(제1ᆞ2ᆞ3기)
허룽
(제1ᆞ2ᆞ3기)
천이
(제1ᆞ2ᆞ3기)
덩샤오핑
(제1ᆞ2ᆞ3기)
뤄룽환
(제1ᆞ2기)
쉬샹첸
(제1ᆞ2ᆞ3기)
녜룽전
(제1ᆞ2ᆞ3기)
예젠잉
(제1ᆞ2ᆞ3기)
청첸
(제1ᆞ2ᆞ3기)
장즈중
(제1ᆞ2ᆞ3기)
푸쭤이
(제1ᆞ2ᆞ3기)
룽윈
(제1기)
웨이리황
(제2기)
차이팅카이
(제2ᆞ3기)
뤄루이칭
(제3기)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83년-)
쉬샹첸
(제6기)
예젠잉
(제6기)
양상쿤
(제6ᆞ7기)
자오쯔양
(제7기)
류화칭
(제8기)
츠하오톈
(제8ᆞ9기)
장완녠
(제8ᆞ9기)
후진타오
(제9ᆞ10기)
궈보슝
(제10ᆞ11기)
차오강촨
(제10기)
쉬차이허우
(제10ᆞ11기)
시진핑
(제11기)
판창룽
(제12기)
쉬치량
(제12ᆞ13기)
장유샤
(제13ᆞ14기)
허웨이둥
(제14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000,#e5e5e5
중국공산당 중앙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37년-1949년)
주더
(제6ᆞ7기)
저우언라이
(제6ᆞ7기)
왕자샹
(제6ᆞ7기)
류사오치
(제6ᆞ7기)
펑더화이
(제7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54년-)
린뱌오
(제8ᆞ9기)
허룽
(제8기)
녜룽전
(제8ᆞ9ᆞ10ᆞ11ᆞ12기)
천이
(제8ᆞ9기)
류보청
(제8ᆞ9ᆞ10ᆞ11기)
쉬샹첸
(제8ᆞ9ᆞ10ᆞ11ᆞ12기)
예젠잉
(제8ᆞ9ᆞ10ᆞ11ᆞ12기)
덩샤오핑
(제10ᆞ11기)
양상쿤
(제12ᆞ13기)
자오쯔양
(제13기)
류화칭
(제13ᆞ14기)
장첸
(제14기)
츠하오톈
(제14ᆞ15기)
장완녠
(제4ᆞ15기)
후진타오
(제15ᆞ16기)
궈보슝
(제16ᆞ17기)
차오강촨
(제13기)
쉬차이허우
(제16ᆞ17기)
시진핑
(제17기)
판창룽
(제18기)
쉬치량
(제18ᆞ19기)
장유샤
(제19ᆞ20기)
허웨이둥
(제20기)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colbgcolor=#ce1126><colcolor=#ffde00> 중국 인민해방군 초대 고등군사학교장
류보청
[ruby(刘, ruby=Liú)][ruby(伯, ruby=Bó)][ruby(承, ruby=chéng)](劉伯承, 유백승) | Liu Bocheng
파일:Liu_Bocheng.jpg
본명 류밍자오 (刘明昭, 유명소)
출생 1892년 12월 4일
사천성 개현
(現 중국 충칭시 카이저우구)
사망 1986년 10월 7일
중국 베이징시
묘소 류보청 묘지
재임기간 초대 고등군사학교장
1957년 9월 ~ 1958년 11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e1126><colcolor=#ffde00> 학력 프룬제 군사대학
종교 무종교 (무신론)
최종 계급 원수 (중국 인민해방군)
주요 참전 호국전쟁
국공내전
중일전쟁
}}}}}}}}}

1. 개요2. 생애
2.1. 초기이력2.2. 신해혁명2.3. 중국 공산당 입당 및 1차 국공내전2.4. 제2차 국공내전2.5. 중화인민공화국
3. 가족4. 기타

[clearfix]

1. 개요

중국의 군인. 애꾸눈이었기 때문에 독안룡, 또는 군신이라는 별명도 있다.

2. 생애

2.1. 초기이력

1892년 12월 4일 사천성 개(開)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류원빙(劉文炳)은 빈농의 자식으로 공부를 열심히 해 현청에서 베푸는 과거시험인 수재에 응시해 과거장에 나갔으나 볼품없는 집안이라 해서 쫒겨 나는 수모를 당했다. 과거를 볼 기회조차 박탈당한 류보청의 아버지는 자기가 이루지 못한 희망을 자식인 류보청에 걸고 5살 된 아들을 런시옌수(任賢書) 사숙에 보내 공부시켰다. 1904년 류보청은 신문물을 배우기 위해 있는 한시(漢西) 서당으로 전학해 공부했다. 서당 선생인 류화잉(劉華英)은 개화파 인사들과 일찍부터 접촉해 서양문화를 폭넓게 알고 있는 지식인이었다. 류보청은 류화잉의 지원으로 고등소학당에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했다. 하지만 아버지 류원빙이 병으로 사망하자 7남매 집안의 장남으로 집안을 꾸려나가기 위해 학업을 중단하고 한동안 생업에 힘썼다.

2.2. 신해혁명

1911년 10월 10일, 신해혁명이 터지자 동시대의 젊은이들처럼 혁명에 뛰어들었고 충칭 수군(蜀軍) 정부가 설립한 군사학교 장비옌(將弁) 학당에 입학했다. 1912년 말, 군사학교를 졸업한 류보청은 소대장으로 임관했다. 당시 위안스카이 부대와 쓰촨 지역에서 전투를 벌이다 원세개와 한패인 후징이(胡景伊)가 검거령을 내리자 상해로 달아났다. 다시 고향에 돌아 온 류보청은 원세개가 제위(帝位)에 오르자 반 원세개 조직을 만들어 펑제(奉節), 푸링(부陵) 등지의 혁명당원, 꺼라오후이(哥老會) 수령과 유지들을 규합해 2백여 명의 기의 부대를 만들어 '쓰촨 호국군 제4지대'에 소속됐다.

류보청은 1916년 3월 부대를 이끌고 펑두(豊都)에서 전투를 벌이다 오른쪽 눈에 총을 맞아 실명했다. 충칭진 수사(守使) 겸 제5사단 사단장 슝커우(熊克武)는 한 눈은 실명했지만 군재가 있는 류보청을 제9연대 참모장으로 임명했다. 그 후 류보청은 가는 곳마다 탁월한 전술로 승승장구해 독안룡(獨眼龍)이란 별명이 붙었다.

2.3. 중국 공산당 입당 및 1차 국공내전

1926년 중국공산당에 가입했고, 1927년 저우언라이, 주더 등과 난창 봉기에 가담했다. 1928년에는 당의 주선으로 소련에 유학하여 프룬제 군사대학에서 고급군사학을 공부하였고 1930년에 졸업하였고 중국에 돌아왔다. 이어 중화소비에트공화국으로 귀국하여 홍군의 총참모장을 역임하였다. 제5차 초공작전에서 홍군이 참패하자, 대장정을 하는데, 류보청도 대장정에 참가하였다.

홍군은 대장정 중 소수민족 지구인 로로족(이후 이족이라고 불림)의 영역을 지나가게 되었는데, 로로족은 한족에 매우 적대적이었고,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는 한족 군대는 홍군이든 국민당군이든 무조건 공격했다. 류보청은 어릴 때 로로족과 어울리면서 이들의 언어와 습성을 잘 알고 있었고, 홍군 대표로 로로족 추장과 교섭, 닭피를 마시는 의식으로 의형제 결의를 맺고 홍군-로로족 평화협정을 맺었다. 이것으로 홍군은 로로족 영역의 무사통과권을 얻어냈다.

시안 사변이후 국공합작이 다시 이루어지고, 홍군이 이름을 바꾼 팔로군도 항일전쟁에 참가하게 되었다. 1937년 팔로군 제 129사단을 이끌고 허베이 지역의 해방구를 건립하여 일본군의 배후에서 게릴라전을 펼쳤다. 팔로군의 유일한 대규모 공세였던 백단대전 역시 펑더화이와 함께한 그의 성과였다.

2.4. 제2차 국공내전

1946년부터 국민당군의 선공으로 국공내전은 재개되었고, 팔로군이 이름을 바꾼 인민해방군은 전체적으로 수세에 몰리고 있었다. 하지만 사령관 류보청, 정치장교 덩샤오핑의 이름을 딴 중원야전군, 속칭 류덩군은 1947년부터 중원에서 계속 승리를 거두었고, 이 때문에 국민당 본부가 있는 남경에서 북부의 국민당군으로 가는 보급이 곤란해졌다. 류덩군의 활약으로 전세는 점점 공산당에 유리해졌다. 류덩군은 1948년 10월 화이하이 전역(산둥성 서부-장쑤성 북부-허난성 동부)에서 대규모 민병을 조직, 무려 550만의 대병력을 집결시켜 80만의 국민당군을 격파했고, 국민당군의 정예부대를 소멸시켰다.

이어 양쯔강을 도하해 1949년 4월에는 국민당군의 수도인 난징을 점령하고 상하이를 함락시켰다. 이후 서쪽으로 진격하여 1949년 말에는 국민당 최후의 대륙 근거지인 청두를 함락시키고 국민당을 완전히 대륙에서 몰아냈다.

2.5. 중화인민공화국

1949년말부터 쓰촨, 구이저우, 윈난을 관할하는 서남군정위원회 주석을 맡아서 이곳의 국민당 잔당을 뿌리뽑고, 군벌전쟁 및 중일전쟁 시절 국민당 정부가 손을 못써 독립상태로 있던 티베트를 1950년 침공해서 다시 중국의 영역으로 만들었다. 1951년 중앙으로 돌아와서 사관학교격인 인민해방군 군사학원의 초대 원장겸 정치장교를 맡았다. 이후에도 의용군 수준의 인민해방군을 프로페셔널한 직업군인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1955년 군에 계급이 도입되자 원수에 등극했다. 하지만 1950년대말 후반 국방부장 펑더화이와의 충돌로 자아비판을 하고 스트레스를 받아 남아있는 왼쪽 시력도 약화되었다. 1966년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에 올랐지만 건강이 안좋았기 때문에 정치적 활동은 거의 없었다. 또는 마오쩌둥과 그다지 가까운 관계가 아니었기 때문에 스스로 정치에서 멀리 떨어져서 정치적 사건에 휘말리는 일을 피하려고 했다는 설도 있다. 어쨌든 그는 정치와 떨어져서 인민해방군의 교육기관 정비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자신이 주도하여 세운 인민해방군 군정대학의 초대 교장이 되었다. 그는 학교에 자신의 모든 장서를 기증했다.

1972년 남아있는 한 눈도 완전히 시력을 잃어서 맹인이 되었다. 1976년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한때 그의 부하였던 덩샤오핑이 두번째 유배에서 돌아와 빠르게 권력을 장악하기 시작했고, 그는 열렬히 덩샤오핑을 지지하였다. 1979년 국무원 부총리 겸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덩샤오핑은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화궈펑을 몰아내고 대권을 장악했다.

1980년부터 인지능력을 상실하였고(치매) 1982년 모든 공직에서 물러났다. 1986년 사망하였다.

3. 가족

세 번의 결혼에서 4남 4녀를 두었는데 첫째부인이 낳은 장남 류쥔타이(劉俊泰)는 아편 중독자에 폐인이었다. 1961년에 대약진운동으로 인한 대기근 때 사망하였다. 나머지 자녀는 모두 세번째 부인이 낳았다. 세 아들은 모두 군에 들어가서 모두 인민해방군 소장으로 제대했다. 장녀는 국민당군에게 살해되었고, 둘째 딸과 네째 딸은 의사가 되어 군의로 재직했다. 셋째 딸은 공군 소장에 올랐다. 자녀들이 모두 군에 재직했다.

4. 기타

같은 사천성 출신인 덩샤오핑과 매우 궁합이 잘 맞았다.

펑더화이린뱌오에 가렸지만 류보청의 군사적 능력도 이들에 뒤지지 않았다. 국민당군의 명장인 바이충시는 류보청을 가리켜 "공산군 최고의 명장"이라고 평가했다.

"군신"이란 별명은 본인의 자칭이 아니라 그를 수술한 독일의사가 붙여준 것이다. 1916년 눈에 직격으로 총알을 맞는 부상을 당했고, 독일의사가 탄환을 제거하는 수술을 집도했는데, 마취제가 뇌신경에 악영향을 미쳐 이후 지휘관으로서의 생애에 영향을 줄 것을 염려하여 마취제를 쓰지 않았다고 한다. 류보청은 군말않고 이를 견뎌 내서 독일인이 "군신"이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