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강영은 | 강재형 | 고창근 | 김경화 | 김기덕 |
김대호 | 김민형 | 김보경 | 김성주 | 김소영 | |
김수정 | 김완태 | 김용 | 김은주 | 김정근 | |
김주하 | 김지은 | 김창옥 | 김충식 | 김태희 | |
김현경 | 나경은 | 문지애 | 박나림 | 박미숙 | |
박소현 | 박창현 | 박혜진 | 방현주 | 배현진 | |
백지연 | 변웅전 | 변창립 | 서현진 | 성경환 | |
손석희 | 손정은 | 송인득 | 송재익 | 신동진 | |
신동호 | 신현숙 | 안숙진 | 안종순 | 안주희[A] | |
양진수 | 오상진 | 오영제 | 오은실 | 왕수현 | |
유선경 | 유협 | 이규리 | 이선영[A] | 이윤재 | |
이윤철 | 이은주 | 이인숙 | 이장호 | 이재용 | |
이주연 | 이창섭 | 이현우 | 이하정 | 이현경 | |
임경진 | 임성희 | 임주완 | 임택근 | 정경수 | |
정보영 | 정은임 | 정혜정 | 조수현 | 조일수 | |
차인태 | 최경미 | 최대현 | 최우철 | 최윤영 | |
최율미 | 최재혁 | 최정선 | 최창섭 | 최현정 | |
하지은 | 한광섭 | 한선교 | 한준호 | 허일후 | |
홍광은 | 홍은철 | 황선숙 | |||
}}}}}}}}} | |||||
현직 아나운서 | 지역 아나운서 |
유선경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토요일 여성 앵커 | ||||
양승은 | → | 유선경 | → | 강다솜 |
}}} ||
<colbgcolor=#15183c><colcolor=#fff> 유선경 Yu Seon-gyeong | |
| |
출생 | 1984년 ([age(1984-12-31)]~[age(1984-01-01)]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가족 | 배우자, 슬하 1명 |
학력 | 소명여자고등학교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 / 학사) |
종교 | 개신교 |
경력 | 소비자TV 아나운서 (2011년) CJ헬로비전 아나운서 (2011년) MBC 아나운서국 아나운서 (계약직 : 2012년 4월 ~ 2017년 12월 31일) (정규직 : 2019년 7월 ~ 2024년) MBC 엠빅뉴스팀 차장 (2023년 12월 ~ ) |
링크 |
[clearfix]
1. 개요
문화방송 소속 엠빅뉴스팀 차장.2. 경력
2012년 4월 프리랜서 아나운서로 MBC에 입사했으나, 2017년 12월 최승호 사장으로 교체된 뒤 2017년 12월 31일부로 '계약 해지 통보'에 대한 '부당해고 구제신청서'를 제출한 결과, 사측의 지속적, 일상적인 근로 감독 및 지시가 있었고 프리랜서 신분임에도 MBC 프로그램에만 전속으로 출연하였으며, 또 기간제법의 2년을 훨씬 초과한 5년여동안 MBC에서 근무해 근로자성이 인정, 최종 승소하여[1] 2019년 7월부터 복직 후 육아 휴직에 들어갔었다.2020년 9월부로 복귀, 동월 22일부터 2021년 5월 21일까지 오디오 클립인 "MBC 뉴스배달 유선경입니다"의 진행을 맡으며 네이버 오디오클립, 구글, 유튜브, 카카오미니 등 뉴미디어 플랫폼 콘텐츠를 담당 했었다.
이후 출산으로 육아휴직을 하였으며 2023년 12월, 엠빅뉴스팀에서 영상물 구성과 나레이션을 맡으며 복귀하였다.
3. 경력
4. 방송
4.1. TV
- MBC 뉴스투데이 (2012년 5월 19일 ~ 10월 6일, 토요일 진행)
- MBC 930 뉴스 (2012년 6월 25일 ~ 10월 5일)
- MBC 12시 뉴스 (2012년 6월 25일 ~ 10월 5일)
- MBC 뉴스 24 (2012년 10월 8일 ~ 2013년 3월 15일)
- MBC 3시 경제뉴스 (2013년 10월 30일 ~ 11월 5일)
- MBC 이브닝뉴스 (2013년 3월 18일 ~ 2017년 12월 12일)
4.2. 라디오
4.3. 네이버 오디오클립
[1] 계약직으로 입사한 2016~17사번 아나운서들은 근로 기간이 2년이 채 안됐지만, 유선경의 경우 근로 기간이 5년이었기에 부당해고 판결을 받기가 수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