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1:45:48

이범성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의 배우에 대한 내용은 리판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구미시 CI.svg경상북도 구미시 출신/활동
독립유공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운동계열 훈격
<colcolor=#000> 허위 의병 대한민국장
박희광 만주방면 독립장
권쾌복 학생운동 독립장
장진홍 의열투쟁 독립장
김정묵 임시정부 애국장
송병우 의병 애국장
송세호 국내항일 애국장
이원길 국내항일 애국장
허겸 의병 애국장
허형 의병 애국장
허훈 의병 애국장
이내성 국내항일 애국장
권오환 3.1 운동 애족장
김영득 국내항일 애족장
김종철 광복군 애족장
남상순 국내항일 애족장
육홍균 일본방면 애족장
전재덕 광복군 애족장
장재성 문화운동 애족장
최재화 3.1 운동 애족장
황진박 의열투쟁 애족장
박명언 3.1 운동 애족장
박몽득 국내항일 애족장
박봉술 3.1 운동 애족장
방하영 국내항일 애족장
이상백 3.1 운동 애족장
임봉선 3.1 운동 애족장
장용희 국내항일 애족장
김관묵 3.1 운동 애족장
유경흥 국내항일 애족장
장호관 학생운동 애족장
장병묵 국내항일 애족장
이종식 국내항일 애족장
권영해 3.1 운동 애족장
김의경 3.1 운동 건국포장
박희목 3.1 운동 건국포장
이능학 3.1 운동 건국포장
장병옥 국내항일 건국포장
전용신 3.1 운동 건국포장
허필 만주방면 건국포장
김구하 국내항일 건국포장
임장수 국내항일 건국포장
김구하 국내항일 건국포장
노명일 국내항일 대통령표창
권경보 3.1. 운동 대통령표창
김도길 3.1. 운동 대통령표창
김성윤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근술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명출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삼봉 3.1. 운동 대통령표창
박순석 3.1. 운동 대통령표창
서기옥 3.1. 운동 대통령표창
서천수 3.1. 운동 대통령표창
이영래 3.1. 운동 대통령표창
이윤약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동석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삼선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준현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점석 3.1. 운동 대통령표창
임용섭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주서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영직 3.1. 운동 대통령표창
장상건 3.1. 운동 대통령표창
김종권 일본방면 대통령표창
이소열 3.1. 운동 대통령표창
이범성 3.1. 운동 대통령표창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본관 경주 이씨
출생 1890년 11월 2일
경상도 인동도호부 읍내면 진평동
(현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1]
사망 1967년 4월 25일 (향년 76세)
상훈 대통령표창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201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2. 생애

이범성은 1890년 11월 2일 경상도 인동도호부 읍내면 진평동(현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7일 대구 계성학교 학생 이영식(李永植)과 이내성은 독립선언서 20매를 가지고 인동면 진평동의 이상백의 집을 찾았다. 그곳에서 이범성·이내성·이영식은 3월 12일 만세시위를 하기로 하고 의논하고 이상백·권용섭(權鏞燮)은 이영식과 이내성이 가져온 독립선언서를 필사하였다. 나흘 후인 11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만세시위 당일에 사용할 태극기를 만들었다.

그들은 3월 12일 거사 당일 오후 8시경 마을 뒷산에 마을 주민 약 200명을 모아놓고 '한국독립만세'를 외쳤다. 그리고 3월 14일 오후 9시경 다시 마을 뒷산에 모여서 함께 '한국독립만세'를 외쳤다. 이들은 밤이 깊도록 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하다가 일본 군경에 의해 주동 인물 8명이 체포되고 군중은 강제로 해산되었다.

그도 체포된 후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1919년 4월 7일 대구지검에서 기소중지로 불기소처분을 받고 출옥하였다.#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67년 4월 25일 사망하였다.

201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1] 경주 이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김성윤·박근술·박명언·박명출·박봉술·박삼봉·박순석·이내성·이상백·이영래·이윤약도 이 마을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