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19:00:12

이시하라 요시유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0000><tablebg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히로시마 도요 카프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감독 25 아라이 타카히로
1군 77 후지이 아키히토(1군 수석코치) · 83 아사야마 토요(타격코치) · 89 코쿠보 테츠야(타격코치)
80 아카마츠 마사토(외야수비·주루코치) · 90 미요시 타쿠미(내야수비·주루코치)
74 나가카와 카츠히로(투수코치) · 86 키쿠치하라 츠요시(투수코치) · 81 이시하라 요시유키(배터리코치)
2군 71 코 신지(2군감독) · 85 후쿠치 카즈키(수석 겸 타격·주루코치) · 84 아라이 료타(타격코치)
72 히가시데 아키히로(내야수비·주루코치) · 75 히로세 쥰(외야수비·주루코치)
82 요코야마 류지(투수코치) · 87 타카하시 켄(투수코치) · 76 쿠라요시 카즈(배터리코치)
3군 78 우네 타츠미(총괄 겸 기숙사장) · 91 무카에 유이치로(야수종합코치 겸 전력분석담당)
73 코바야시 칸에이(투수육성강화코치) · 92 노무라 유스케(투수코치 겸 전력분석담당)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이사하라 요시유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포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타나카 요시오
한신군
도이가키 타케시
오사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카와 쇼지
쇼치쿠
노구치 아키라
나고야
히로타 쥰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히로타 쥰
요미우리
후지오 시게루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도이 키요시
요미우리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타부치 코이치
한신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타부치 코이치
한신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야에가시 유키오
야쿠르트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무라타 신이치
요미우리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타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야노 아키히로
한신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야노 아키히로
한신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아이자와 츠바사
히로시마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야마모토 유다이
DeNA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도이가키 타케시
마이니치
마츠이 아츠시
난카이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오카무라 코지
한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무라카미 키미야스
롯데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카토 토시오
닛폰햄
나카자와 신지
한큐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나카자와 신지
한큐
카가와 노부유키
난카이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이토 츠토무
세이부
야마시타 카즈히코
킨테츠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이토 츠토무
세이부
타무라 후지오
닛폰햄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나카지마 사토시
오릭스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이토 츠토무
세이부
죠지마 켄지
다이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죠지마 켄지
다이에
이토 츠토무
세이부
죠지마 켄지
다이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죠지마 켄지
소프트뱅크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호소카와 토오루
세이부
타노우에 히데노리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호소카와 토오루
소프트뱅크
츠루오카 신야
닛폰햄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이토 히카루
오릭스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타무라 타츠히로
롯데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모리 토모야
세이부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모리 토모야
세이부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모리 토모야
오릭스
사토 토시야
롯데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16년 센트럴리그 포수 부문 골든글러브
나카무라 유헤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코바야시 세이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31번}}}
오바타 코지
(1994-2001)
이시하라 요시유키
(2002-2020)
사카쿠라 쇼고
(2021~)
}}} ||
파일:이시하라 요시유키.jpg
<colcolor=#fff><colbgcolor=#ff0000> 히로시마 도요 카프 No.81
이시하라 요시유키
石原慶幸 | Yoshiyuki Ishihara
출생 1979년 9월 7일 ([age(1979-09-07)]세)
기후현 안파치군 스노마타초[1]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기후현립기후상업고등학교(岐阜県立岐阜商業高等学校)
도호쿠복지대학(東北福祉大学)
신체 177cm, 90kg
투타 우투우타
포지션 포수
프로입단 2001년 드래프트 4위 (広島)
소속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02-2020)
지도자 히로시마 도요 카프 1군 배터리코치 (2023~)
1. 소개2. 프로 입단 전3. 프로 입단 후4. 지도자 경력5. 연도별 성적

[clearfix]

1. 소개

일본의 야구선수. 프로에 들어와 줄곧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뛴 베테랑 포수다.

명포수로 이름을 날린 이토 쓰토무는 이시하라에 대해 "12개 구단 중에서 포구는 최고 수준"이라 극찬할 정도로 수비가 좋은 포수. 어깨도 강한 편으로 도루저지율도 나름 괜찮았다. 지금은 깨졌지만 한때는 통산 수치가 3할이었을 정도.

2. 프로 입단 전

기후 현립 기후 상업 고등학교에 입학해 포수로 뛰면서 2학년 하계 코시엔에 진출했지만 2차전에서 오사카의 최고 야구명문 고등학교[2]였던 PL학원 고등학교에게 패배했다. 3학년 때도 하계 코시엔에 진출하여 1차전에서 본인의 고시엔 첫 안타를 기록했지만 그 시합에서 패배하고 말았다. 이 당시 고교 통산 57홈런을 기록하며 강타자의 면모를 보였었다. 하지만 프로에서는 그 뛰어난 장타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 뒤 토호쿠 복지대학[3]으로 진학하여 3학년 때 시드니 올림픽 일본 국가대표 후보로 발탁되었고, 2001년 드래프트에서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4위로 지명되어 입단했다.

3. 프로 입단 후

자신의 첫 프로시즌인 2002년에는 고작 5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출전한 첫 경기에선 그 해 최우수 중간계투상을 받은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이시이 히로토시를 상대로 프로 첫 안타를 때려내기도 했다.

2003년에는 점점 출장 기회가 많아져 116경기에 출전해 팀의 경쟁자들을 앞지르는 모습을 보였다. 타율은 .213으로 매우 낮았지만 4개의 홈런이 만루홈런 2개와 2점+3점 홈런이었고, 강한 어깨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타니시게 모토노부의 기록을 뛰어넘는 도루 저지율(.319)을 보였다.

2004년에는 8번 포수로 프로 첫 개막전 선발로 나서, 5시합을 제외한 그해 시즌의 모든 시합에 출장했으며 타율 .288과 개인 첫 시즌 100안타를 기록하여 전년도보다 타격이 더더욱 향상. 수비에서도 변함없는 좋은 모습을 보이며 포수로서 실력이 더더욱 좋아진 모습을 모였다.

2005년 시범경기에서 자신이 친 파울타구에 왼손을 맞아 부상을 당해 개막전 출전은 무산되었다. 이후 5월 말에 복귀하긴 했지만 눈에 띄는 활약은 보여주지 못했고, 결국에는 경쟁에서 밀려 쿠라 요시카즈에게 주전포수 자리를 빼앗기고 말았다. 이후로 한동안 쿠라와 주전포수 경쟁을 하게 된다.


2006년에도 타격은 신통치 못해, 초반에는 잘나가나 싶더니 5월 말 즈음에는 점점 떨어져 타율이 2할 언저리에 이르른다. 특히 득점권에서는 1할대를 기록하는 등 부진했는데, 특히 6번의 만루 상황에서 4번이나 병살타를 치는 등 전혀 찬스를 살리지 못했다. 5월 31일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원정경기에서는 3대 0으로 앞선 6회초 1사 2, 3루 상황에서 투수가 뺀 공에 스퀴즈 번트를 시도했는데, 김재박의 '개구리 번트'를 연상시키는 다이나믹한 장면이었지만 결국 실패로 끝나 팬들에기 큰 웃음을 주었다. 같은 해 9월 7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전에서는 10회말 2사 만루 수비상황에서 끝내기 타격방해를 저지르고 말았다. 일본 프로야구 역사상 31년만에 있는 일이었는데, 하필 본인의 생일에 최악의 플레이를 보여준 것(...) 이시하라는 "나가카와 카츠히로에게 미안하다.[4] 이러쿵저러쿵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는 소감을 남겼다. 마티 브라운 감독 역시 "저런 플레이는 처음 본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2007년엔 타격 성적이 전년도보다 나아졌지만 여전히 쿠라와 주전경쟁을 하느라 주전 자리를 온전히 확보하진 못했다. 여담으로 시즌 도중인 5월 8일 주니치 드래곤즈 전에서 당시 계투진의 부진 때문에 만약의 경우 투수로 출장시키기 위해 불펜 투구를 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끝내 이날 등판하진 않았고 이후로도 투수로 출장할 일은 없었다. 시즌 막판인 10월 1일 주니치 드래곤즈 홈 경기에서는 상술된 세이부 원정경기에서의 개구리 번트 실패를 연상시키는 장면을 또 한 번 연출하며 팬들에게 '날으는 포수'로서의 이미지를 재각인시켰다.

2008년엔 타격부진에 빠진 쿠라를 밀어내고 다시 주전포수 자리를 확보하는데 성공했고, 4년 만에 규정타석 도달과 시즌 100안타를 기록했고 홈런, 타점도 9홈런 50타점을 기록하면서 커리어 하이(특히 타점)를 기록했다. 2009년에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팀에 발탁되어 2라운드 대한민국 전에 출전하기도 했다. 귀국 후에는 팀의 주장으로 선정되었다. 그해 시즌에는 타율이 .206으로 매우 낮았지만 규정타석에도 도달하고, 생애 유일의 두 자릿수 홈런(10홈런)도 기록하고, 끝내기 홈런도 기록하는 등 의외의 한 방을 쳐주는 공갈포 같은 모습을 보였다. 또한 2008년~2009년엔 본인 인생 처음으로 올스타전에, 그것도 2년 연속 출장하였다. 여담으로 히로시마 포수가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한 건 카프의 첫 센트럴리그, 일본시리즈 우승 당시의 주전포수였던 미즈누마 시로[5]가 1976년 11홈런을 친 이래 33년만의 일이었다.

2010년에는 2년만에 타율이 2할 5푼을 넘기는 등 전반적으로 컨택이 좋아진 모습이었다. 또한 마에다 켄타와 함께 최우수 배터리상도 수상하기도 했다. 이해 시즌에 FA권리를 취득했지만 FA선언을 하지 않고 구단과 3년 계약(연봉 1억엔)을 맺었다.

2011년 5월 14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는 끝내기 사구(死球)를 기록했다. 또한 이 해 3번째로 올스타전에 출전하기도 했다.

2012년 6월 14일, 1000경기 출장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7월 17일 주니치 드래곤즈전에서는 이와세 히토키를 상대로 끝내기 스퀴즈 번트를 쳐 팀의 5연승을 이끌었다. 센트럴리그 사상 18년 만의 일이라고.


2013년 5월 7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의 홈경기 6회초. 투수 히사모토 유이치의 공을 놓쳐 공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했지만, 1루주자 이시카와 타케히로에 시선을 고정해 추가 진루를 묶은 두뇌 플레이다. 주자에게 송구할 것이란 인상을 주기 위해 땅을 더듬지만, 그라운드의 흙(...)을 집고 결국 공은 투수가 커버를 들어와 회수하는 장면이 팬들과 상대 벤치의 나카하타 키요시 감독에게 큰 웃음을 주었다.

2013년에는 3년 만에 120경기 이상 출전을 달성했다. 타율은 .248에 불과했지만 사사구를 45개나 골라내[6] 출루율은 타율보다 1할 가까이 높은 .350을 기록했고 홈런과 타점도 지난 2년보다 더 높은 성적을 기록했다. 9월 17일, A클래스가 걸린 한신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는 자신의 통산 4번째 끝내기 홈런을 날려 팀의 4년 만의 7연승을 이끌었고, 이 해 팀은 16년만에 A클래스를 기록하여 클라이맥스 시리즈에 진출했다. 이사하라 개인으로는 마에다 켄타와 함께 최우수 배터리상을 수상했고, 2번째 FA를 맞아 구단과 3년 총액 3억 엔의 계약을 맺었다. 여담으로 이 해 이시하라의 등장곡은 싸이강남스타일이었다.

2014년 이후에는 공격형 포수 아이자와 츠바사의 성장으로 주전 포수 자리에서 내려왔고 크리스 존슨, 쿠로다 히로키 등이 선발로 등판하는 시합에서 주로 선발 포수를 맡게 되었다.

2016년엔 쿠로다 히로키, 노무라 유스케 등과 배터리를 짜며 다시 주전포수 자리를 차지했고, 중간에 부상으로 잠깐 이탈하기도 했으나 3년 만에 100시합 이상 출장하는 기록을 세우며 비록 타격성적은 전반기에 1할대로 까먹는 바람에 타율 .202 0홈런 17타점으로 많이 저조했지만, 수비에서 꾸준히 팀을 지탱하며 카프가 25년 만에 센트럴리그 우승을 달성하는데 일조하였고 본인 인생 처음으로 베스트나인골든글러브를 획득했다.[7] 그러나 일본시리즈에선 내내 무안타에 머무르는 바람에 팀의 패퇴에 일조하고 말았다. 다만 무안타긴 했어도 체력소모가 심한 포수 포지션에 말년으로 갈수록 타격이 너무 나빴기에 팬들도 공격력을 기대하진 않고 그냥 수비나 잘해달라는 의견이 많았고 중심타선에서 삽질한 아라이 타카히로, 불질을 저지른 나카자키 쇼타제이 잭슨[8] 덕에 크게 욕을 먹진 않았다.

이후론 다시 주전포수 자리를 아이자와 츠바사에게 넘겨 주었으나 현재까지 백업 포수이자 크리스 존슨의 전담 포수로써 계속해서 뛰고 있으며, 2017년엔 통산 1500시합 출장 기록을 달성했고 2018년엔 히로시마 도요 카프 포수로써는 사상 첫 통산 1천안타를 기록했다. 통산 1천안타는 38세 8개월에 세운 기록으로 사상 최연장 기록이다.

2020년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했다.

4. 지도자 경력

2022시즌 종료 이후, 카프로부터 1군 배터리코치를 제안받아 코치 경력을 시작하게 되었다.

5. 연도별 성적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02
5 10 3 0 0 0 0 1 0 0 1 .300 .300 .300 .600
2003 116 338 65 14 2 4 21 19 0 17 78 .213 .268 .311 .580
2004 135 435 114 22 0 6 35 32 0 21 70 .288 .336 .389 .725
2005 74 194 42 6 0 2 12 13 0 11 29 .241 .298 .310 .609
2006 85 267 53 9 0 3 11 17 2 15 43 .221 .276 .296 .572
2007 89 284 72 12 0 3 15 24 2 16 47 .281 .338 .363 .701
2008 123 457 112 19 0 9 50 36 6 22 80 .265 .302 .374 .676
2009 124 422 75 15 1 10 37 31 2 39 90 .206 .287 .335 .622
2010 122 408 97 19 0 8 41 33 4 29 81 .263 .321 .379 .700
2011 110 342 60 10 0 4 27 15 2 22 49 .201 .262 .274 .536
2012 77 250 52 15 0 1 22 22 0 22 37 .240 .311 .323 .634
2013 121 398 81 9 0 7 35 32 0 45 76 .248 .350 .339 .689
2014 80 223 37 8 0 4 19 17 1 21 43 .192 .274 .295 .569
2015 83 238 52 6 0 2 12 15 1 14 42 .241 .287 .296 .583
2016 106 289 49 7 0 0 17 19 4 29 54 .202 .296 .230 .526
2017 77 167 30 4 0 1 12 11 1 10 33 .204 .252 .252 .503
2018 58 107 17 1 0 1 7 6 0 5 27 .177 .223 .219 .442
2019 31 67 11 2 0 1 5 3 0 5 18 .196 .258 .286 .544
2020 4 5 0 0 0 0 0 0 0 0 1 .000 .000 .000 .000
NPB 통산
(19시즌)
1620 4901 1022 178 3 66 378 346 25 343 899 .236 .299 .324 .622


[1]기후현 오가키시[2] 현재는 재정 문제와 계속되어 터졌던 폭력 논란 등으로 인해 부원수가 감소하여 야구부가 휴부에 들어갔다.[3] 카도쿠라 켄, 사이토 타카시, 사사키 카즈히로, 카네모토 토모아키, 야노 아키히로 등을 배출한 야구명문대.[4] 당시 등판한 투수가 나가카와 카츠히로였다.[5] 에나츠의 21구를 잡았던 그 포수 맞다.[6] 고의사구 2개. 물론 못 치는 포수라 9번 투수 바로 앞 8번에 고정으로 배치되어 상대 배터리가 굳이... 라는 느낌으로 승부를 피해가는 것도 있다. 이시하라의 통산 고의사구(50개)는 나카무라 타케야(2023년 현재 31개)보다 많다.[7] 다만 베스트나인은 타격 성적에서 보다시피 사실상 우승 프리미엄으로 준 거나 다름없는지라 논란이 될 듯 하다.[8] 다만 잭슨도 워낙에 오가타 코이치 감독이 정규시즌, 포스트시즌 가리지 않고 굴려버리는 바람에 폼이 크게 떨어진 거라 저 둘에 비하면 욕을 덜 먹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