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5fa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배방읍 | 염치읍 | }}} | ||||
면 | 도고면 | 둔포면 | 선장면 | ||||||
송악면 | 신창면 | 영인면 | |||||||
음봉면 | 인주면 | 탕정면 | |||||||
법정동 | |||||||||
<colbgcolor=#f29200> | 시청 온천동 | ||||||||
권곡동 | 모종동 | 신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기산동 | 신인동 | 용화동 | 초사동 | }}} | ||||
남동 | 법곡동 | 읍내동 | |||||||
장존동 | 좌부동 | 풍기동 |
아산시의 면 인주면 仁州面 | Inju-myeon | |||
<colbgcolor=#005fae><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충청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아산시 | ||
행정표준코드 | 4520057 | ||
관할 법정리 | 12리 | ||
하위 행정구역 | 30행정리 135반 | ||
면적 | 45.33㎢ | ||
인구 | 5,966명[1] | ||
인구밀도 | 131.61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아산시 을 | |
| 강훈식 (3선) | ||
충청남도의원 | 제6선거구 | |||
| 지민규 (초선) | ||
아산시의원 | 바 선거구 | |||
| 김희영 (3선) | ||
| 홍순철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현대로 1295 (밀두리 150-1) | ||
인주면 행정복지센터 |
1. 개요
충청남도 아산시 서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북쪽으로는 아산만을 건너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과 현덕면, 동쪽으로는 영인면과 염치읍, 남쪽으로는 신창면과 선장면, 서쪽으로는 당진시 우강면과 신평면에 접한다.면명인 인주(仁州)는 부군면 통폐합 때 아산현의 고려 전기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인천광역시의 고려 시대 이름인 인주보다 그 시기가 앞선다.
2. 역사
년도 | 일어난 일 |
고려 성종 15년 | 인주군으로 변경 |
조선 세종 5년 | 평택현에서 아산현으로 변경 |
1914 |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인해 아산군 인주면으로 변경 |
1995 | 통합으로 아산시 인주면으로 변경 |
3. 인구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인구 추이 (1966년 ~ 현재) |
1966년 11,820명 |
1970년 10,685명 |
1975년 10,173명 |
1980년 8,728명 |
1985년 7,734명 |
1990년 7,736명 |
1995년 6,166명 |
2000년 7,268명 |
2005년 8,206명 |
2010년 7,037명 |
2015년 7,825명 |
2020년 6,553명 |
2024년 6월 5,716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그 해의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만 명 |
법정리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밀두리 1,312명 |
공세리 1,161명 | |
대음리 789명 | |
해암리 624명 | |
문방리 503명 | |
신성리 344명 | |
관암리 231명 | |
걸매리 201명 | |
도흥리 189명 | |
금성리 186명 | |
냉정리 168명 | |
모원리 36명 | |
2024년 6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데이터 Open API, 그래프 최대 값은 1.4천 명 |
4. 관할 리
- 밀두리(密頭里)
면의 중북부에 위치하며, 면사무소, 34번 국도, 623번 지방도 인주공단교차로, 628번 지방도 인주농협삼거리가 위치한다. - 걸매리(傑梅里)
면의 북부 아산만 남쪽에 위치하며, 인주일반산업단지, 인주보건진료소, 34번 국도 문방교차로, 밀두교차로가 위치한다. 천주교 교우촌이 있었던 곳이다. - 신성리(新城里)
면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인주초등학교가 위치한다. - 공세리(貢稅里)
면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천주교 대전교구 공세리성당, 34번 국도 공세교차로, 세원교차로, 39번 국도 공세교차로가 위치한다. - 모원리(牟元里)
면의 북동부에 위치하며, 34번 국도가 지나가지만 교차로는 없다. - 냉정리(冷井里)
면의 동부에 위치하며, 628번 지방도가 지나가지만 교차로는 없다.
익산평택고속도로(단, 나들목은 바로 옆 영인면에 영인IC가 있다)와 당진청주고속도로가 지날 예정이며, 두 고속도로가 교차하는 아산JC가 들어설 예정이다. - 도흥리(桃興里)
면의 동부 곡교천 북쪽에 위치하며, 624번 지방도가 지나가지만 교차로는 없다. - 해암리(海巖里)
면의 남부 곡교천 북쪽에 위치하며, 624번 지방도가 지나가지만 교차로는 없다. 서해선 인주역이 여기에 위치한다. - 금성리(金城里)
면의 남부 곡교천 북쪽에 위치하며, 금성초등학교, 아산 현대모터스밸리, 623번 지방도, 624번 지방도 선인교삼거리가 위치한다. - 대음리(大音里)
면의 남부 곡교천 북쪽, 삽교호 동쪽에 위치하며,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623번 지방도 현대자동차사거리가 위치한다. - 문방리(文方里)
면의 서부 삽교호 동쪽에 위치하며, 623번 지방도 문방삼거리가 위치한다. - 관암리(佳德里)
면의 중부에 위치하며, 인주중학교가 위치한다.
5. 교통
5.1. 도로
34번 국도, 39번 국도, 623번 지방도, 624번 지방도, 628번 지방도가 지난다.5.2. 철도
서해선 인주역6. 주요 시설
6.1. 주거
- 서희건설 인주휴먼시아 - 2011년 01월 입주.
- 수원주택건설 수원신성 - 1997년 04월 입주.
- 현대자동차 사원아파트
- 기산종합건설 기산현대 - 2005년 05월 입주.
- 대진종합건설 대진 - 1997년 09월 입주.
- 미진종합건설 미진무지개 - 2000년 04월 입주.
[1]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