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지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박경훈 | 제2대 유해진 | 제3대 임관호 | 제4대 김용하 | 제5대 김충희 |
제6대 최승만 | 제7대 길성운 | 제8대 전인홍 | 제9대 양제박 | 제10대 김선옥 | |
제11대 강성익 | 제12대 김영관 | 제13대 강우준 | 제14대 정우식 | 제15대 구자춘 | |
제16대 권용식 | 제17대 이승택 | 제18대 장일훈 | 제19대 강신익 | 제20대 박상렬 | |
제21대 이규이 | 제22대 최재영 | 제23대 장병구 | 제24대 이창수 | 제25대 이군보 | |
제26대 홍영기 | 제27·28대 우근민 | 제29대 신구범 | 제30대 김문탁 | 제31대 신구범 | |
제32·33대 우근민 | 제34·35대 김태환 | 제36대 우근민 | 제37·38대 원희룡 | 제39대 오영훈 |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권한대행 | }}}}}}}}} |
제주 4·3 사건 |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전개 | 배경 · 전개 · 진상규명운동 | ||||
관련 인물 및 단체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무장대 | 남로당 제주도당 · 김달삼 · 이덕구 | ||||
토벌대 | <colbgcolor=#000><colcolor=#fff> 온건 | 김익렬 · 유재흥 · 문형순 · 임관호 | ||||
강경 | 군경 · 서북청년회 · 대한청년단 · 조병옥 · 이승만 · 박진경 · 송요찬 · 함병선 · 탁성록 · 최난수 | |||||
피해자 | 제주도민 · 김시범 · 이도종 · 이경선 · 무명천 할머니 · 제주 출신 재일교포 · 4.3 수형자 · 보도연맹원 | |||||
예술가 | 현기영 · 김석범 · 강요배 · 오멸 · 이산하 · 김동리 | |||||
기타 | 제주 4.3 연구소 · 문화에서의 4.3 · 학계에서의 4.3 · 제주 4.3 유적지 · 제주 4.3 길 | |||||
유사 사건 | 방데 전쟁(프랑스) · 2.28 사건(대만) · 목호의 난 · 대구 10.1 사건 · 여수·순천 10.19 사건 |
<colcolor=#fff><colbgcolor=#939499> 제3대 제주도지사 임관호 林官浩 | |
출생 | 1899년 |
전라남도 북제주군 용담동 | |
사망 | 몰년 미상 |
제주도 일대 (현 제주특별자치도 일대) | |
재임기간 | 제9대 제주도지사 (관선) |
1948년 5월 28일 ~ 1949년 4월 21일 | |
학력 | 제주북초등학교 (졸업) 보성전문학교 (상과 / 학사) |
소속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clearfix]
1. 개요
제3대 제주도지사이자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의 최초의 제주도지사다.2. 생애
1899년 남제주군 용담동에서 태어났다. 이후 제주북초등학교,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를 지내다가 조선총독부에 들어가 1942년 제주도청 권업과장을 역임하였다.1947년 제주 삼일절 발포 사건이 일어나자 파업을 주도하였다. 1948년 제주도지사에 부임하였다. 파업을 주도한 그가 어떻게 제주도지사가 될 수 있었는지 정확한 내막은 알수없지만 제주도 출신인 그를 제주도지사에 임명함으로 4.3사태가 조기 수습됨을 기대하였던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임관호는 결국 경질되었고 다음 도지사직은 김용하가 맡았다.
3. 참고자료
- 제주의소리
- 한국사 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