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5 00:43:18

자극점


태양계 천문학·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Orange><colcolor=#fff>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자극점 · 지자기극점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자기 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Earthrise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 후기 대폭격
월식(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 엄폐
소행성체 소행성(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플루토이드) · 혜성(크로이츠 혜성군)
별똥별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크레이터 · 천체 충돌)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 테라포밍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벌칸 · 티케 · 니비루) · 후기 대폭격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온실효과 폭주)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

지구극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리극
(진북극 · 진남극)
자극
(자북극 · 자남극)
지자기극본초 자오선의 극점
(극서 · 극동)
최고점
(해발고도가 가장 높음: 에베레스트산
지구중심에서 가장 멈: 침보라소산)
수권의 최저점
(마리아나 해구 챌린저 해연)
도달불능극
북극도달불능극 · 남극도달불능극 · 대륙도달불능극 · 해양도달불능극
대륙별 극점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16px; margin-bottom: -16px"<colbgcolor=#132641><colcolor=#fff> 아프로유라시아 <colbgcolor=#132641><colcolor=#fff>극동 러시아 추코트카 자치구 데즈뇨프곶(축치반도)
극북 러시아 첼류스킨곶
극남 남아프리카공화국 아굴라스곶
극서 세네갈 알마디곶 }}}
최극단 · 틀:7대륙 최고봉 · 각 지점별 최고봉 목록 · 대한민국의 극점 · 일본의 극점
}}}}}}}}} ||

파일:3개 북극점.png
2017년의 자북극(위), 진북극(중앙), 지자기북극(왼쪽 아래).
1. 개요2. 자북극3. 자남극4. 용어의 혼동

[clearfix]

1. 개요

자극() 또는 자기극(磁氣極, magnetic pole)은 현실적인 비쌍극자 모델에서 지구 자기장의 자기력선이 지표에 연직 방향이 되는 지구상의 지점이다.

2. 자북극

자북극(磁北極, magnetic north pole) 또는 자기북극(磁氣北極)은 북반구에서 복각이 +90°를 이루고 자침이 수직으로 배열하는 하나의 지점이다. 이에 대하여 다른 한 지점에서 그 지점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의 수평 북쪽 방향을 자북(磁北, magnetic north)이라고 한다. 자북과 도북 방위각의 차이 각을 '도자각' 이라고 하며, 자북과 진북 방위각 간의 차이각을 '자편각(편각, 자진각, 자기공산각)' 이라고 한다.

자북은 특정 위치에서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과 남쪽이므로, 지도정치(地圖定置)[1]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나침반을 사용한 길찾기와 항해는 자북을 따라 지도를 활용하여 위치를 알아낸다.

자북 중심은 2000년대 캐나다 부샤 반도에 있었으며 해마다 약 55~60km씩 러시아 쪽으로 이동하여 2021년 기준 북위 86°24', 동경 156°47'09.6"로 북극해상에 있다. 자북극에서는 나침반 바늘이 바로 선다는 얘기가 있는데 자기장의 범위가 밀집되어있는 것이 아니므로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3. 자남극

자남극(磁南極, magnetic south pole) 또는 자기남극(磁氣南極)은 남반구에서 복각이 -90°를 이루고 자침이 수직으로 배열되는 하나의 지점이다. 이에 대하여 다른 한 지점에서 그 지점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의 수평 남쪽 방향을 자남(磁南, magnetic south)이라고 한다.

지구의 자기는 완벽한 대칭이 아니므로, 자북극과 자남극 역시 대척점 관계에 있지 않다. 자북극의 대척점과 자남극은 약 530km 떨어져 있다.

4. 용어의 혼동

지구과학교육과 논문에 따르면, '지자기극'과 '자기극', '자북(자남)의 개념에 대한 혼동이 흔히 지적된다. 이러한 혼동은 일반인 뿐만 아니라, 검수가 진행되는 교과서에서조차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지구 자기장에서는 지자기극과 자기극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전자는 지구 자기장에 가장 근사하는 쌍극자 모델의 극에 해당하는 것이며 후자는 실제 지구의 자기장으로 비쌍극자 현상까지 고려한 극이며 자침의 복각을 이용해서 측정하는 극이다. 현재 교과서는 어떤 책에서도 쌍극자와 비쌍극자의 구분을 하지 않고 있다. 4종류의 교과서들은 삽화에서 쌍극자 모델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면서 그 극을 자기극으로 표현하고 심지어 E 교과서는 자북극과 자북까지도 계속 혼동하고 있다 …(중략)… 교과서들은 자북 또는 자침의 방향과 진북 사이의 각으로 편각을 정의하고 있으나 E 교과서는 자북이 아닌 자북극과 진북 사이의 각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규호. "편각과 관련된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및 교과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2, no.6 (2011) : 687-703.

자북과 자북극은 별개의 개념(방향점과 극점)으로, 지구 둘레로 자기장이 형성될 때 특정 지점에서 자기력선이 향하는 방향이 자북이며 실제 자기력선을 쭉 따라가는 것이 자북극이다. 자북은 자북극으로 향하는 방향이지만, 측정하는 지점에 따라 자기력선의 수평이 다르게 놓이므로 자북극과 동일하지 않게 된다. 한반도에서 자북 방향은 진북 방향의 서쪽이지만 자북극 방향은 진북 방향의 동쪽이다.
[1] 지도를 사용하기 전에 지도상의 방위가 실제 방위와 일치하도록 놓고 조절하는 것.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