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7 10:34:01

제파PD

학생회의 계파 분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학생운동
운동권 비운동권
제파PD 제독PD
총여학생회
NL
주체사상파
반운동권
PD
CA 소수파
21C
CA 다수파
}}}}}}}}}}}}||

운동권의 계파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무학논쟁
무림(MC) 학림(MT)
사구체 논쟁 시작
NDR CDR PDR
제1차 사구체 논쟁
NDR
자민투 민민투
NLPDR CA CPA/CPC
제2, 3차 사구체 논쟁
제독PD 주체사상파(NL다수파) ND 비주사파 NL(NL 좌파, CA 다수파) AP AF
경기동부연합
울산연합
인천연합
광주전남연합
PD1 21C2 제파PD
학생운동 단체
전국학생행진 대진련 청년좌파 민달팽이 유니온 -3
노동운동 단체
중앙파 국민파 알바노조 청년유니온 현장파
1제독PD(AMC)+ND+제파PD(AF)
2NL좌파+ND+제파PD(AP, AF)
3 현장파에 대응하는 학생운동 단체는 없다.
}}}}}}}}}


1. 개요2. 사상3. 역사
3.1. AP그룹(제파, 선언)3.2. AF그룹(반파)
4. 제파PD 사건5. 현황

[clearfix]

1. 개요

- 민중민주주의(People's Democracy)를 주장하던 8-90년대 대한민국의 운동권 그룹. PD계열 의 한 흐름으로, 학생운동가들이 노동현장으로 진출해, 현장에서 노동자 위주의 전위당을 건설할 것을 중시하는 그룹이었고, 현재도 제파 출신 인사들은 급진적 노동운동(민주노총 현장파) 일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사상

80년대 초 사구체 논쟁 당시 CA에서 분파된 것으로 본다.[1] 이들은 계급모순을 중시하였고, 전위정당론을 주장하였다. 이들은 초기에 NDF(National Democracy Front) 노선이라 불렸는데, 이후 이합집산을 거듭하여 형성되었다. 이들은 남한 사회가 미제국주의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정했으나, 이것을 '식민지'로 규정하냐에 대해서는 내부 계파마다 달랐다. 이 계파는 반민주주의적 파쇼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신식민파쇼체제론'을 주장하였으며, 당면 투쟁에서 사회주의로의 이행기를 쌓는 토대로의 역할보다는, 부르주아민주주의의 확립을 강조하였다.

변혁주도세력을 노동자로 본다는 점에서는 다른 PD계열과 유사하지만, 이들은 노동운동 현장성에 더욱 집중하였고[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해도 제독PD에 비해 엄격한 반대 입장을 표시하고 있었다. [3]

3. 역사

80년대 초반 다산-보임 모임[4]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이들은 노동현장성을 중시하여, 학생들을 현장으로 진출시키기 위해 변혁이론을 학습시켰다.

반제반파쇼민중민주주의를 주장하며 학생운동에 PDR 이론을 도입하였다. 이들은 큰 틀에서 제파PD로 통칭되었으나, 조직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았고, 지역별 노동현장으로 분산되어 독립적으로 활동하였다.

학생그룹은 크게 AP(제파), AF(반파) 두 갈래로 분리되었는데, 이후 모두 다른 정파의 일부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현재 학생운동그룹 중 제파PD 성향 정파는 없다.

3.1. AP그룹(제파, 선언)

흔히 제파라고 하면 AP그룹을 칭하는 경우가 많다. '선언'조직[5]이라고도 불리며, 여기서 이름을 따서 AP(Agitation Propaganda)라고 칭해졌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 서울지역 주요대학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PDH(민중민주학생회) 건설에 앞장서면서 90년대 초반 제독PD(AMC)그룹과 연대하여 서울대 총학생회장을 배출하나, 이후 PD계열 내부 사상논쟁에서 패배하고 조직력이 약해지면서 AMC에 좌파학생운동 주도권을 빼앗기면서 차츰 쇠락해간다. 일부는 93년 '새지평 학생정치연합'을 설립했다가 21세기 진보학생연합에 합류한다.

3.2. AF그룹(반파)

서강대, 숙명여대, 국민대 등과 지방에는 AF(Anti-Fascism)가 생겨났다. AP와는 큰 틀을 같이하면서도 내부 논쟁도 벌였다. 92년 '진보학생정치연합'을 결성했으나, 이후 조직이 분화된다. 일부는 21세기 진보학생연합에 합류하였고, 일부는 전국학생연대-전국학생회협의회에 합류하여 옛 사회당으로 이어진다.

4. 제파PD 사건

공안사건 하면 친북계열의 NL이나, 사노맹ND계열의 사건만 알려져있지만 90년대 초반에는 PD 그룹들이 연관된 공안사건들도 생겨났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제파PD그룹 사건이었다. 학생운동권과 전노협, 서노련등에서 활동하던 운동가들은 90년대 초 한국사회에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론을 유통하고 조직을 건설하려 했고, 이 움직임은 곧 각 노동조합과 대학에 퍼져 노동자 정당을 건설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그러나 1991년 정부는 13명의 활동가들을 체포하고 이들의 사상이 무장봉기를 획책했다는 혐의로 형을 내렸다.

5. 현황

  • 사회변혁노동자당(변혁당): 제파PD사건의 주역의 일부가 이후 '전국노련', '노동자의 힘' 등을 거쳐 사회변혁노동자당으로 이어졌다.[6] 대중정당이 아닌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전위정당 노선을 추구한다. 규모는 미미하나, 민주노총 노동운동 현장파 내에서는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령에서는 사회주의 혁명으로 산업을 국유화하는 방침을 갖고 있으나 대중적으로는 기업 사내유보금 환수를 주요 요구로 내세운다.[7] 그리고 친북 혹은 종북적인 NL에 대조되게 이들은 김씨 일가와 북한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단체다. 다만 구 소련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파들의 연합 조직인 관계로 당 내에서 다양한 입장이 존재한다. 이후 노동당과 합당한다.
  • 노동사회과학연구소(노사과연) : 노동자의 힘 회원들이 주축이 되었던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한노정연)의 후신.[8] 현재도 매우 엄격하게 마르크스-레닌주의 노선을 지지한다.[9] 사실상 PD 초기의 이념을 가장 충실하게 계승한 집단일지도... 현재는 변혁당 활동가들과는 궤를 달리하며 이론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1] 정확하게는 민민투 내 CPA(헌법제정민중의회)그룹 내 주류였던 CA를 비판한 비주류 계열이다.[2] 그래서 이후 노동운동 현장파의 주축이 됨[3] 그래서 제파PD의 일부가 이후 반조선노동당을 외치는 사회당계 형성에 영향[4] 고성국 등이 일본에서 마르크스주의 서적을 들여와 학생들과 노동자들에게 전파한 혐의로 86년 검거된 사건으로 알려졌다. 참조[5] 그들이 발행했던 기관지의 이름이 '선언'이었다.[6] 몇 년간 사노위부터 계추위까지 당 건설의 과정이 있었다. 사노위 스스로가 사회주의노동자정당 건설의 실패를 인정하고 변혁모임과 계추위를 거쳐 지금의 당으로 출범했다.[7] 사회주의는 변증법적으로 현실의 모순을 하나씩 해결한다. 기업 사내유보금 환수부터 시작해서 혁명까지 나아가는 과정인 것이다.[8] 사실 한노정연 말기에 노사과연이 분화되었는데, 남았던 한노정연은 망해버려 노사과연이 한노정연의 후신처럼 되었다.[9] 실제 이곳에서 출판한 책들을 보면 이런 책이나 이런 책 등 소련을 변호한 책들을 찾아볼 수 있으며 읽는 책들 역시 구소련의 러시아과학아카데미에서 나온 철학사나 자본론 등으로 친소 성향이 강하다. 홈페이지에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의 사진이 걸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