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
朝 | 三 | 暮 | 四 |
아침 조 | 석 삼 | 저물 모 | 넉 사 |
1. 개요
《열자》 황제편, 《장자》 제물론편[1]에 나오는 고사성어. 풀어 쓰면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는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고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아는 어리석음을 가리킨다.
2. 유래
송나라에 '저공'이라는 사람이 원숭이[2]를 길렀다. 그런데 원숭이를 너무 많이 기르는 통에 먹이가 부족해졌다. 어쩌면 원숭이를 시장에 내다 팔거나 다른 사람에게 줘야 할지도 모르는 처지에까지 이르렀다. 그렇지만, 정들여서 키운 원숭이들인데 시장에 내다 팔 수도, 다른 사람에게 줄 수도 없는 노릇이기에 저공은 고민고민한 끝에 원숭이들에게 줄 먹이량을 줄여 도토리를 아침엔 3개, 저녁에 4개 준다고 했다. 원숭이들이 마구 반발하며 화를 내자, 저공은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주면 어떻겠냐고 말했더니 원숭이들이 납득했다는 이야기.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주나,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주나, 먹이의 개수는 똑같지만, 그걸 모르고 당장 눈앞에 닥친 현실에만 급급하는 어리석은 상황을 묘사할 때 흔히 쓴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변덕이 심하다는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성어 중에서는 '조변석개(朝變夕改)'와 비슷한 쓰임새다. 사실 이런 의미로는 아침에는 진나라에 붙고 저녁에는 초나라에 붙는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인 '조진모초(朝秦暮楚)'가 있다.
3. 해석
3.1. 원문
신명을 하나로 하려고 노력하면서도[3] 그 동일함을 알지 못하는 것을 '아침에 3개(朝三)'라고 말한다. 무엇을 '아침에 3개'라고 하는가? 옛날에 원숭이를 기르던 사람(저공)이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주면서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 주겠다(조삼모사, 朝三暮四)"고 하자 원숭이들은 모두 화를 냈다. "그러면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 주겠다"고 하자 원숭이들은 모두 기뻐하였다. 명분이나 실리에 있어서 손해본 것이 없는데도 기뻐하고 화내는 반응을 보인 것은 역시 이로 인해서이다.
그래서 성인은 옳고 그름을 하늘의 균형(天鈞)에서 멈춤으로써 조화롭게 하니, 이를 일컬어 '양쪽으로 움직임[4](兩行)'이라 한다.
勞神明為一,而不知其同也,謂之朝三。何謂朝三?曰狙公賦芧,曰:「朝三而莫四。」眾狙皆怒。曰:「然則朝四而莫三。」眾狙皆悅。名實未虧,而喜怒為用,亦因是也。是以聖人和之以是非,而休乎天鈞,是之謂兩行。
《장자》 제물론(齊物論) 편
이 이야기를 '동일한 것을 알지 못하는 원숭이의 어리석음'을 말하는 것으로 파악해도 크게 틀린 것은 아니다. 저공이 잔꾀를 부려서 원숭이들을 속인 얘기로도 생각할 수 있겠다. 다만 이야기 내에서 원숭이의 행동에 대한 설명은 하지만 저공의 행동에 대한 설명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앞서와는 다르게도 해석할 수 있는데, 저공이 원숭이들의 반발을 받게 되자 유연하게 태도를 바꿔서 문제를 해결했다는 식의 해석이다. 이러한 해석에서 저공의 말은 잔꾀가 아니라 지혜로운 해결책이 된다. 즉, 저공은 자기만의 관점을 원숭이에게 강요하지 않고, 원숭이의 관점을 받아들여 자신과 원숭이 사이의 갈등을 현명하게 조율하고, '하늘의 균형(天均)을 실현한' 현명한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런 유연한 태도를 가져라는 것이 본 우화의 진정한 메세지라는 것.[5]그래서 성인은 옳고 그름을 하늘의 균형(天鈞)에서 멈춤으로써 조화롭게 하니, 이를 일컬어 '양쪽으로 움직임[4](兩行)'이라 한다.
勞神明為一,而不知其同也,謂之朝三。何謂朝三?曰狙公賦芧,曰:「朝三而莫四。」眾狙皆怒。曰:「然則朝四而莫三。」眾狙皆悅。名實未虧,而喜怒為用,亦因是也。是以聖人和之以是非,而休乎天鈞,是之謂兩行。
《장자》 제물론(齊物論) 편
3.2. 경제학적 접근
원숭이가 아침에 4개를 받으려는 것은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합리적인 선택이다.[6][7]- 1.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양의 시간선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 얻을 수 있는 재화를 미래에 얻을 수 있는 동등한 재화보다 높은 가치를 지녔다고 평가한다.
- 2.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위험기피적인 효용함수를 가지고 있다. 미래에 받는다는 행위 자체가 (가령 저공에게 문제가 생겨 혹여나 먹이를 못 받을 가능성을 포함한)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기에 미래에 제공할 먹이가 현재의 도토리 1개와 동등한 양의 효용을 제공하려면 그만큼의 위험 프리미엄이 필요하다.
- 3. 만일 원숭이 자신이 위험애호적이고 음의 시간선호를 가졌다고 가정할 경우에도, 다른 대부분의 원숭이들은 여전히 양의 시간선호와 위험기피적인 선호체계를 가졌기에 현재의 도토리 1개를 대가로 미래에 도토리 1개와 적절한 이자를 지급받는 거래가 성립한다.[8]
이러한 관점은 원숭이들이 나름의 현명한 결론을 내렸다고 생각하는 점을 제외하면 위의 도가적 해석과도 말이 통한다. 경제학적 접근에서도 "저공은 원숭이들의 (합리적인) 관점을 받아들여 갈등을 현명하게 조율한 인물"이니까.
다만 도토리를 원숭이 자신이 보유하는 것에 시간에 따른 위험(빼앗길 위험)이 존재한다고[9] 가정한 다음 생각한다면 경우가 다를 수 있다.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에 따라 도토리를 소비할 때마다 도토리 1개가 주는 효용은 줄어든다. 따라서 당연히 아침에 4개를 한 번에 먹는 것 보다는 식사시간마다(배고플 때마다) 나누어 먹는 것이 더 높은 효용을 제공한다. 고로 이 경우에는 보다 선호하는 시간에 소비하는 것에 따른 효용의 이득과 소비를 유보하다가 다른 원숭이에게 빼앗길 위험을 비교하여 복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이와 유사한 실제 사례가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에서 있었다. 전쟁 말기가 되자 톱밥 섞인 빵조차 하루에 한 덩이 수준으로 배급량이 떨어졌는데 당시 수감자들은 이 빵덩어리를 한 번에 다 먹을지 나눠서 조금씩 먹을지를 두고 논쟁이 있었다고 한다. 한번에 다 먹는 쪽은 굶주림을 잠시나마 모면할 수 있으며 다른 수감자들에게 빼앗기지 않는다고 주장했고 나눠먹는 쪽은 유일한 위안거리인 식사를 그때그때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죽음의 수용소에서의 저자 빅토르 프랑클 박사는 후자를 택했다. 조각낸 빵을 옷 소매에 넣고 다니면서 일하다가 틈이 나면 간식 먹듯이 먹으며 위안을 얻었다고 한다. 비록 공급자가 선택권을 준 것은 아니었지만 식량의 공급이 줄어들어 이런 의견들이 나왔다는 점이나 합계로 보면 결국 똑같지만 상세한 부분에서 다른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는 점이 유사하다.
4. 반대 및 유사 사례
조삼모사의 일화와 비슷하지만 결과적으론 같은 것을 역으로 큰 수를 맨 뒤에 두는 쪽이 더 좋은 경우도 간혹 있다. 고객이나 소비자의 심리적 기대효과와 다시 보니 선녀 같다, 후광효과 등 후반에 큰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내용을 전략적으로 배치해 반사이익을 노리는 것으로 일단 누가 봐도 실망할 퀄리티의 소박한 저예산 작품을 초반 버림패로 먼저 나열해 공개한 다음 가장 초대형 프로젝트를 마지막 하이라이트로 공개해서 여태껏 봐왔던 팬들의 실망을 달래는 겸 나열되는 동안 쌓인 기대감을 마지막에 포텐을 터트리는 것으로 소위 빌드업이라고 불리는 발표전략인데 이는 2018년 블리즈컨에서 일명 님폰없 사태로 유명해진 디아블로 이모탈의 공개사례가 타 게임사들의 신작발표들과 비교되면서 더더욱 조삼모사의 사례가 재평가받고 유명해졌다.일본에서 NHK에 지상파 수신료 내기 싫어해서 케이블/IPTV/OTT에 가입하는 경우도 사실 조삼모사다. 물론 넷플릭스 등 글로벌 OTT 서비스는 수신료에 비해 OTT 서비스 이용료가 싸긴 하지만 넷플릭스가 그랬듯 요금 인상의 가능성이 있으며 독점작도 제각각이기 때문에 결국 수신료 내는 것보다도 부담이 큰 쪽(복수 서비스 가입 등.)과 그냥 수신료 내고 지상파에 만족하는 쪽 중 양자택일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튜너리스 TV 소유자가 케이블/IPTV에 가입하면 수신료 안 내도 되긴 하지만 유선방송 특성상 지진에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 걸린다.
슈링크플레이션도 조삼모사에 해당하는 사례 중 하나다.
후술할 패러디를 보면 어떤 조건을 제시하는데 반발이 나오자 그보다 더 나쁜 조건을 제시했더니 상대방이 먼저 제시한 조건을 순순히 수용하는 전개가 된다. 실제 사례를 보면 해당 패러디와는 반대로 본래 의도한 조건보다 더 나쁜 조건을 먼저 제시함으로써 본래 의도한 조건을 순순히 수용하게 만드는 사례도 있는데, 이런 전략을 하이볼이라 부른다.
5. 패러디
작가가 별이 되어라! 셀프 패러디 그림을 그렸다.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는 오랑우탄이 나오는 실사판으로도 나왔다. 이 밖에도 중국어판 시리즈는 몇 개 더 있는데 위 사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회사 홍보를 위해 자전거로 만리장성을 완주하겠다."
"아니 자전거로 언제 완주합니까!"
"그럼 중국 전역 한바퀴 돌든가"
"걷는 게 효과가 더 크지 않겠습니까."
"아니 자전거로 언제 완주합니까!"
"그럼 중국 전역 한바퀴 돌든가"
"걷는 게 효과가 더 크지 않겠습니까."
고리타가 패러디했다.
마사토끼는 경제학적 관점 문서에서 언급한 이자 개념을 끼워맞춘 새로운 해석을 했다. 웃대, 공식 트위터 이후 한번 더 소재로 썼는데, 한 원숭이가 애초에 하루 도토리 7개로 먹으라는게 말이 되냐며 깨닫는 내용(...).
덴마에서 패러디가 세 번 나왔다. 다이크가 제트의 어깨를 잡는 부분, 엘이 하즈의 어깨를 잡는 부분, 롯이 페드릭의 어깨를 잡는 부분
amd에서도 패러디했다.
삼국전투기 삼국 통일(4)에서는 사마염과 가충이 패러디하였다.
조삼모사의 역습이라는 패러디도 있다. 사진 속 원숭이의 종류는 코주부원숭이.[13]
종교 개그 만화.
올란: 다들 제정신이 아니야. 내가 왜 당신네들을 도와?
발레리안: 미라 한에게 돌아가고 싶나?
올란: (군기 잡힌 목소리로) 필요한 거 말씀만 하십시오.
캠페인 '이런 친구들과 함께라면' 중에서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캠페인 중 '이런 친구들과 함께라면'에서 올란 대령의 말로도 패러디되었다.[14]발레리안: 미라 한에게 돌아가고 싶나?
올란: (군기 잡힌 목소리로) 필요한 거 말씀만 하십시오.
캠페인 '이런 친구들과 함께라면' 중에서
찍기시험에 관하여 "조금 모르면 삼번 모르면 사번" 이라는 드립이 있다. 조삼모사의 사전적 의미와는 관련이 없는 역 두문자어지만 꽤나 그럴듯하여 현재까지도 시험기간에 신조어처럼 간간이 쓰이고 있다(...). "모르면 사번"의 앞에는 '완전', '아예', '많이' 등의 수식어가 들어가기도 한다. "조금 모르면 삼번 완전 모르면 사번" 이라는 식.
2024년 만평에도 등장했다.
[1] '열자'가 장자의 윗세대(노자 아랫세대)인 열어구(열자)로 말미암아 지어졌다고 추정되다 보니, 장자가 자신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 일화를 '열자'에서 가져온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2] 정확히는 유인원에 속하는 긴팔원숭이의 일종을 기른것으로 추정된다. 저공의 저(狙)가 긴팔원숭이를 뜻하던 한자였기 때문.[3] 신명을 하나로 한다는 것은 신비주의적인 말이 아니라, 사기를 당하지 않으려고 정신을 집중하겠다는 것을 말한다.[4] 鈞이 도르래라는 뜻이 있는데 여기서 양행(兩行)이란 도르래의 양쪽을 움직여서 균형을 맞춰간다는 뜻.[5] 이외에도 전통적인 학설과 달리, 노자와 장자의 사유가 다름을 전제하여 조삼모사 비유의 의미가 여러 해석이 가능하다. 과거의 KBS TV특강에서 강신주는 이 우화를 소통에 관한 것으로 해석했고 2023년도 강의에서는 과거의 해석과는 달리 사랑이라 해석했다. 사실 간단히 말해서 이 정도지만, 이것들도 많은 해석 가운데 일부이다. 조삼모사 비유의 의미를 모두 적으려면 도가적 사상 대부분을 설명이 필요할 정도로 다양하게 해석이 가능하다. 물론, 실질적인 의도와는 달리 일부는 인문학적인 관점으로 과대해석일 수 있으나, 원문 자체가 설명과 해설이 없어 메세지나 의도가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해석이 다양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6] 당연히 신고전파 이래 주류경제학적인 관점을 이야기 한 것이다. 가령 마르크스 경제학은 재화의 가치가 오직 상품 생산에 필요한 사회적 노동시간(일반적인 노동시간)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하며, 시간선호와 한계효용 개념 모두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딱히 둘 사이에 차이를 두지 않을 것이다. 다만 (비록 한나절의 차이일 지언정) 시간에 따라 기술발전이 일어나 같은 종류의 재화 한 단위를 만드는데 필요한 사회적 노동시간이 감소했다면, 가치등식에 따라 아침에 받은 도토리 1개가 저녁에 받은 도토리 1개보다 가치가 높은 것이 된다. 즉,(금의 가치가 시점에 따라 변하지 않았을 경우) 아침에 받은 도토리 4개와 저녁에 받은 도토리 3개를 즉각적으로 일반적 등가물인 금과 교환했을 때, 그 양은 아침에 받은 도토리 3개와 저녁에 받은 도토리 4개보다 많을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마르크스 경제학적인 관점에서도 이득이 된다.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 관점에서는 당연히 시간선호와 한계효용 개념 모두 인정하므로 말할 필요도 없이 완벽하게 합리적이다.[7] 사실 행동경제학을 제외한 주류경제학에서는 모든 경제주체가 합리적이라 가정하므로, 이들의 행동이 합리적이었을 것이라고 먼저 가정한 뒤 왜 그랬는지 분석하는 것에 가깝다.[8] 다만 이는 저공이 키우는 원숭이들의 경제가 소국 개방경제여서 이들의 소득 변화가 이자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즉, 이자율이 외생적으로 주어진다고) 가정했을때만 성립한다. 만일 이들의 경제가 폐쇄경제고 균형이자율이 내생적으로 결정된다면, 원래 순저축자(아침에 다른 원숭이들에게 대출을 해주고, 이를 저녁에 상환받는 원숭이) 입장이었던 원숭이의 효용은 줄어들고 반대로 순차입자(아침에 다른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빌리고 이를 저녁에 갚는 원숭이) 입장이었던 원숭이들의 효용은 증가한다. 이 경우 시간선호가 양이거나 남들보다 높은 원숭이들은 좋아할 것인 반면, 시간선호가 음이거나 남들보다 낮은 원숭이들은 싫어할 것이다.[9] 그리고 그것이 저공에게 문제가 생길 위험보다 크다고[10] 2차 창작에서는 원본과 달리 A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흘려서 원숭이들을 은근 슬쩍 설득하는 경우가 많이 나온다. 간혹 A를 말해줘서 원숭이들이 기뻐하나 실은 아니라고 실토하며 돌아서자 원숭이들이 화내는 2차 창작도 나오곤 한다.[11] 이때 원숭이로 패러디되는 대상이 원본과 마찬가지로 쓸데없이 진지하고 밝은 미소를 짓는게 2차 창작의 중요 포인트다. A를 받아들일 때도 혹여나 B를 다시 이야기 할까봐 스스로 일을 자처하는 비굴함은 덤.[해설] 웬만한 주제를 가지고 중국 전국에서 생태조사해도 14억 중국 인구보다는 적은 수를 다룬다. 이 정도 인구라면 중국 전국 생태조사를 넘어 세계 생태조사를 해야 맞먹을 법한 숫자다.[13] 현실의 코주부원숭이는 먹이 경쟁을 피하기 위해서 덜 익은 과일, 나뭇잎, 씨앗 등을 먹도록 진화하였기에 달달한 과일을 먹으면 탈이 난다. 다만 어릴때부터 과일을 먹여키우면 적응해서 잘 먹는다.[14] 원문과 대사 자체는 같지만, 자포자기하는 원문의 뉘앙스를 바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