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7 15:04:54

저물 모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く-れる, く-らす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暮는 '저물 모'라는 한자로, '저물다', '해 질 녘'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6A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廿日大日(TAKA)로 입력한다.

본래 (없을 막)이 해질녘을 뜻했었으나 이후 '없다'라는 뜻으로 가차되자 이 '해질녘'이라는 뜻을 대신할 한자를 만들기 위하여 莫 밑에 (날 일)을 넣었는데 이것이 바로 暮라는 한자이다. '저물다' 말고도 '해질녘' 내지는 '저녁'이라는 뜻으로도 많이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 一暮(일모)
  • 旦暮(단모) '아침과 저녁'을 한문투로 이르는 말이다.
  • 朝暮(조모)

3.2. 고사성어/숙어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이다. 원숭이들에게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주겠다고 했더니 화를 내자,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고 했더니 금세 좋아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이와 같이, 무언가가 결과적으로는 다를 바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만을 앞세워 생각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혹은 '그것이나 저것이나 결국엔 똑같다'는 상황 자체를 비유하여 쓸 수도 있다. 나아가, 원숭이들에게 먹이를 더 주지는 않고 주는 순서만을 바꾸어 입막음한 것으로부터, 간사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인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예) 평균 100점이나 올백이나 조삼모사잖아.

조금 더 자세한 것은 조삼모사 문서를 참조하자.
  • 朝令暮改(조령모개)(=朝令夕改(조령석개))
'아침에 명령하고 저녁에 말을 바꾼다'는 뜻이다. 법령 따위가 너무 자주 바뀌어 신뢰할 수 없다는 뜻, 이랬다 저랬다 한다는 뜻이다. 혹은, 아침에 조세를 매기고 그 조세를 저녁에 걷어간다는 뜻이다.

  • 朝朝暮暮(조조모모)
직역하면 '매일 아침과 매일 저녁'이다. 언제나 한결같다는 뜻이다.

  • 朝得暮失(조득모실)
'아침에 얻고 저녁에 잃는다'는 뜻으로, 자신이 취한 이득을 쭉 지키지 못하고 오래 지나지 않아 도로 잃어버린다는 뜻이다.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일본에서는 한 해가 끝나갈 무렵 신세진 사람에게 선물을 주는 풍습이 있다. 이 풍습 혹은 이 선물 자체를 오세보(お歳暮)라 하는데, 바로 이때 暮가 쓰인다.

4. 유의자

  • (저물 만)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두꺼비 마)
  • (장막 막)
  • (쓸쓸할 막)
  • (없을 막)
  • (모을 모)
  • (베낄 모)
  • (사모할 모)
  • (무덤 묘)
  • (풀 초)

[1] '해가 저물다'의 반댓말이 '해가 뜨다'임에 착안하여 (뜰 부)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浮는 물 따위의 표면에 떠오르는 것을 의미하지 해가 뜬다는 뜻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