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00:38:22

말 없는 사나이

조용한 사나이에서 넘어옴

말 없는 사나이의 수상 내역
[ 펼치기 · 접기 ]
----
파일:미국 국립영화등기부 로고.sv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화
2013년 등재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AFI 선정 100대 사랑 영화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위 <colbgcolor=#fff,#1c1d1f>카사블랑카
2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3위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4위 로마의 휴일
5위 러브 어페어
6위 추억
7위 닥터 지바고
8위 멋진 인생
9위 러브 스토리
10위 시티 라이트
11위 애니 홀
12위 마이 페어 레이디
13위 아웃 오브 아프리카
14위 아프리카의 여왕
15위 폭풍의 언덕
16위 사랑은 비를 타고
17위 문스트럭
18위 현기증
19위 사랑과 영혼
20위 지상에서 영원으로
21위 귀여운 여인
22위 황금 연못
23위 나우 보이저
24위 킹콩
25위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26위 레이디 이브
27위 사운드 오브 뮤직
28위 모퉁이 가게
29위 사관과 신사
30위 스윙 타임
31위 왕과 나
32위 어두운 승리
33위 춘희
34위 미녀와 야수
35위 지지
36위 마음의 행로
37위 타이타닉
38위 어느날 밤에 생긴 일
39위 파리의 아메리카인
40위 니노치카
41위 화니 걸
42위 안나 카레니나
43위 스타 탄생
44위 필라델피아 스토리
45위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46위 나는 결백하다
47위 초원의 빛
48위 파리에서의 마지막 탱고
49위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
50위 셰익스피어 인 러브
51위 베이비 길들이기
52위 졸업
53위 젊은이의 양지
54위 사브리나
55위 레즈
56위 잉글리쉬 페이션트
57위 언제나 둘이서
58위 초대받지 않은 손님
59위 피크닉
60위 소유와 무소유
61위 티파니에서 아침을
62위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63위 선라이즈
64위 마티
65위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66위 맨하탄
67위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68위 왓츠 업 덕
69위 해롤드와 모드
70위 이성과 감성
71위 동부 저 멀리
72위 록산느
73위 유령과 뮤어 부인
74위 여성의 해
75위 대통령의 연인
76위 말 없는 사나이
77위 이혼 소동
78위 귀향
79위 제저벨
80위 족장
81위 굿바이 걸
82위 위트니스
83위 모로코
84위 이중 배상
85위 모정
86위 오명
87위 프라하의 봄
88위 프린세스 브라이드
89위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90위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91위 워킹 걸
92위 포기와 베스
93위 더티 댄싱
94위 바디 히트
95위 레이디와 트램프
96위 맨발 공원
97위 그리스
98위 노틀담의 꼽추
99위 필로우 토크
100위 제리 맥과이어
2002년 발표 / 출처
같이 보기: 영화, 사랑 영화, 뮤지컬 영화, 영감을 주는 영화, 배우, 영화 음악, 명대사 }}}}}}}}}}}}
말 없는 사나이 (1952)
The Quiet Man
파일:thequietman.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e0e0e0> 장르 로맨틱 코미디
감독 존 포드
각본 프랭크 S. 누젠트, 존 포드
원작 모리스 월시
제작 존 포드, 메리언 C. 쿠퍼
주연 존 웨인, 모린 오하라, 배리 피츠제럴드
촬영 윈튼 C. 호츠
음악 빅터 영
제작사 레퍼블릭 픽쳐스
개봉일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1952년 6월 6일
파일:미국 국기.svg 1952년 8월 21일
상영 시간 129분
제작비 $ 1,750,000
월드 박스오피스 $ 3,800,000
국내 스트리밍
[[왓챠|
WATCHA
]]
,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2. 시놉시스3. 등장인물4. 줄거리5. 평가6. 기타

[clearfix]

1. 개요

존 포드의 1952년 영화. 국내에는 '아일랜드의 연풍'[1], 조용한 사나이 등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2. 시놉시스

미국에서 아일랜드로 온 숀은 곧장 이니스프리로 향한다. 동네 사람들은 그를 관광객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7대 째 이 마을에서 나고 자란 토박이 출신이다. 마을에 도착한 숀은 양을 돌보는 아름다운 여인 메리를 만나 첫 눈에 사랑에 빠지지만 자신이 태어났던 옛 집의 소유권 문제 때문에 메리의 오빠 레드와 다투기 시작한다.

3. 등장인물

4. 줄거리

1920년대, 아일랜드계 미국인 은퇴 복서 숀 손튼은 고향인 이니스프리로 돌아와 가족 농장을 사들인다. 그곳에서 그는 불같은 성격의 붉은 머리 아가씨 메리 케이트 다나허와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메리의 오빠이자 거친 성격의 지주인 윌 다나허 역시 농장을 원했고, 숀이 농장을 사자 메리의 결혼을 반대하며 숀에게 복수한다.

마을 사람들은 윌이 메리를 집에서 내보내면 부유한 미망인 틸레인이 그와 결혼할 거라고 속여서 숀과 메리의 결혼을 성사시킨다. 하지만 곧 속았다는 걸 알게 된 윌은 메리의 지참금을 주지 않는다. 숀은 아일랜드 전통에 무지하여 지참금에 무관심하지만, 메리에게 지참금은 자신의 가치와 자유를 증명하는 것이기에 꼭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숀과 메리는 갈등을 겪는다. 마을 사람들의 설득으로 윌은 메리의 가구는 돌려주지만, 지참금은 주지 않는다.

메리는 숀이 윌과 싸우지 않는 것을 보고 그를 겁쟁이라고 여기고, 숀은 과거 권투 경기 중 상대방을 죽게 한 사고 때문에 싸움을 피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고백한다. 메리 역시 신부님에게 자신의 이기심을 고백하고 둘은 화해한다. 그러나 다음 날 메리는 숀이 행동하길 바라며 더블린행 기차에 오른다. 숀은 메리가 기차를 타려는 것을 알고 달려가 그녀를 기차에서 내리게 한다. 마을 사람들의 시선 속에서 숀은 메리를 강제로 윌의 농장까지 데려가 지참금을 요구한다. 윌이 거부하자 숀은 아일랜드 전통을 내세우며 "지참금이 없으면 결혼도 없다"라고 선언한다.

결국 윌은 350파운드의 지참금을 내놓지만, 숀은 그 돈을 바로 난로에 태워버린다. 굴욕감을 느낀 윌이 숀에게 주먹을 날리자, 숀은 방어적으로 대응한다. 이후 두 남자는 퀸즈베리 규칙을 따르기로 한 뒤 마을을 가로지르는 긴 주먹다툼을 벌인다. 싸움은 술집으로 이어지고 서로를 존중하게 된 두 사람은 술값을 놓고 다투다 다시 싸움을 벌이고, 결국 숀이 윌을 KO 시킨다. 싸움이 끝난 후, 술에 취한 두 사내는 팔짱을 끼고 숀과 메리의 집으로 돌아온다.

다음 날, 윌은 미망인 틸레인과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고, 숀과 메리는 다시 행복한 일상을 보낸다.

5. 평가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
메타스코어 85 / 100 점수 6.9 / 10 상세 내용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91% 관객 점수 91%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5.0 / 5.0 관람객 별점 4.0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2021).svg ||
별점 6.8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3.8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8 / 5.0

6. 기타

  • 1933년에 나온 원작 단편 소설을 존 포드가 1936년에 판권을 사고 영화화 되기까지 15년 넘게 걸린 작품이다. 이 영화를 만들 제작비를 모으기 위해 주연으로 정한 존 웨인, 모린 오하라를 데리고 서부극 리오 그란데를 연출해야 했을 정도.
  • 제작사에서는 불안을 떠안고 진행된 프로젝트지만[2] 존 포드 영화 중 최고 흥행을 했고 베니스 영화제 경쟁 진출에 아카데미 감독상도 받았다. 리퍼블릭 픽처스 유일무이한 아카데미 수상작이다. 서부극으로 알려진 경향이 큰 포드 영화 중 숨겨진 걸작으로 꼽는 사람도 많다.
  • 임권택이 1971년에 30년만의 대결이라는 제목으로 비공식 리메이크를 하였다. 임권택 본인이 인상깊게 본 영화라고 정성일 평론가와 인터뷰에서 술회한 적이 있다.

[1] 한국에서는 이 제목으로 1955년 11월 14일 단성사에서 개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메이저 제작사에서는 이 영화에 별로 관심이 없었고, 본작 제작사인 리퍼블릭 픽처스는 B무비 전담 회사라 영세했다. 심지어 리퍼블릭 픽처스 사장조차도 이 바보같은 아일랜드 얘기는 그만두자고 했을 정도로 프로젝트를 싫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