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도구/정치
부산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중·영도 | 서·동 | 부산진 갑 | 부산진 을 |
조승환 | 곽규택 | 정성국 | 이헌승 | |
동래 | 남 | 북 갑 | 북 을 | |
서지영 | 박수영 | 전재수 | 박성훈 | |
해운대 갑 | 해운대 을 | 사하 갑 | 사하 을 | |
주진우 | 김미애 | 이성권 | 조경태 | |
금정 | 강서 | 연제 | 수영 | |
백종헌 | 김도읍 | 김희정 | 정연욱 | |
사상 | 기장 | |||
김대식 | 정동만 | |||
◀ 제21대 | }}} }}}}}} |
대한민국의 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중구·영도구 중구, 영도구 中區·影島區 Jung–Yeongdo | }}} | |||
<nopad>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132,866명 (2024) | |||||
상위 행정구역 | 부산광역시 | |||||
관할 구역 | ||||||
신설년도 | 2016년 | |||||
이전 선거구 | 중구·동구, 영도구 | |||||
국회의원 | | 조승환 |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 중구, 영도구 전체를 관할하는 복합 선거구이다. 현재 이곳의 국회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제22대 해양수산부장관을 역임했던 국민의힘 소속 조승환 의원이다.중구와 영도구는 원래 각각의 단일 선거구였으나, 이후 중구가 극심한 도심공동화 현상으로 인구가 감소하여 인접한 동구와 합쳐서 중구·동구 선거구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선거구가 조정되어 동구를 서구와 합쳐 지금의 서구·동구 선거구를 형성했고 중구는 따로 영도구와 합쳐서 중구·영도구 선거구를 형성하게 되었다.
2. 분석
이 선거구는 부산의 원도심이 포함되는 지역이라 과거엔 '부산 정치 1번지'로 언급되기도 했으나, 보수세가 강하다보니 딱히 접전 양상이 아니어서인지 21세기 들어선 정치 1번지로 언급되는 빈도는 상당히 줄었다.[1]하지만 이 선거구도 영도에 제주 출신 주민들이 많이 거주하게 되다 보니 2010년대 이후 갈수록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긴 하다. 헌데 아직까지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이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된 적은 없다.
3.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제13대 | 김광일 | [[통일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중구 |
김정길 | 영도구 | |||
제14대 | 정상천 |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중구 |
김형오 | 영도구 | |||
제15대 | 정의화 |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중구·동구 |
김형오 | 영도구 | |||
제16대 | 정의화 |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중구·동구 |
김형오 | 영도구 | |||
제17대 | 정의화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중구·동구 | |
김형오 | 영도구 | |||
제18대 | 정의화[2]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중구·동구 | |
김형오[3] | 영도구 | |||
제19대 | 정의화[4]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중구·동구 |
| 2012년 5월 30일 ~ 2013년 2월 14일 | 영도구 | ||
김무성 | 2013년 4월 25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중구·영도구 | ||
제21대 | 황보승희 |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 |
제22대 | 조승환 | | 2024년 5월 30일 ~ (예정) |
3.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중구·영도구 부산 중구 일원[부산중구], 영도구 일원[영도]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무성(金武星) | 43,447 | 1위 |
[[새누리당|]] | 55.80% | 당선 | |
2 | 김비오(金枇澳) | 31,717 | 2위 |
| 40.74% | 낙선 | |
5 | 이선자(李善子) | 2,686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3,128 | 투표율 51.74% |
투표 수 | 79,231 | ||
무효표 수 | 1,381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c9252b><bgcolor=#c9252b> 20대 총선 부산 중구·영도구 개표 결과 ||
정당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무성 | 김비오 | ||
득표수 (득표율) | 43,447 (55.80%) | 31,717 (40.74%) | +11,730 (△15.06) | 79,231 (51.74%) |
부산 중구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무성 | 김비오 | ||
득표수 (득표율) | 11,892 (58.54%) | 7,727 (38.04%) | +4,165 (△20.50) | 20,707 (50.81%) |
중앙동[A] | 61.52% | 35.59% | △25.93 | 45.82 |
동광동[B] | 61.55% | 36.04% | △25.51 | 47.10 |
대청동[C] | 56.08% | 40.70% | △15.38 | 48.83 |
보수동[D] | 58.57% | 38.70% | △19.87 | 49.25 |
부평동[E] | 64.90% | 31.16% | △33.74 | 46.91 |
광복동[F] | 70.60% | 25.85% | △44.75 | 51.52 |
남포동[G] | 66.87% | 29.34% | △37.53 | 44.26 |
영주1동[H] | 56.33% | 39.71% | △16.62 | 48.61 |
영주2동 | 59.42% | 37.07% | △22.35 | 52.94 |
영도구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무성 | 김비오 | ||
득표수 (득표율) | 31,555 (54.84%) | 23,990 (41.69%) | +7,565 (△13.15) | 58,524 (52.08%) |
남항동[I] | 62.50% | 34.36% | △28.14 | 50.29 |
영선1동[J] | 52.96% | 43.45% | △9.51 | 53.09 |
영선2동[K] | 58.47% | 38.84% | △19.63 | 56.44 |
신선동[L] | 57.69% | 38.99% | △18.70 | 44.65 |
봉래1동[M] | 56.04% | 40.96% | △15.08 | 54.65 |
봉래2동[n] | 58.94% | 37.41% | △21.53 | 48.35 |
청학1동 | 56.72% | 40.31% | △16.41 | 46.98 |
청학2동[O] | 52.72% | 44.16% | △8.56 | 50.61 |
동삼1동[p] | 52.02% | 44.43% | △7.59 | 50.66 |
동삼2동[q] | 57.30% | 39.60% | △17.70 | 52.17 |
동삼3동[R] | 57.12% | 39.38% | △17.74 | 50.67 |
후보 | 김무성 | 김비오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7.51% | 33.33% | △24.18 | |
관외사전투표 | 40.37% | 53.68% | ▼13.31 | |
재외투표 | 30.06% | 67.48% | ▼37.42 |
중구·영도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김무성 | 김비오 | 격차 |
전체 | 55.7% | 41.5% | 14.2%p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정관신도시 개발로 인해 기장군의 인구가 늘면서 제19대 총선까지 있었던 해운대구·기장군 갑, 해운대구·기장군 을 선거구가 기장군, 해운대구 갑, 해운대구 을로 조정되면서 1개의 선거구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해당 선거구가 조정 대상이 됐다.
이전까지 원도심 선거구는 중구·동구, 서구, 영도구까지 3개였는데 이번 선거부터는 중구·동구 선거구가 분리되어 동구는 서구와 함께 서구·동구 선거구를 형성했고 중구는 영도구와 함께 이 선거구가 되었다.
새누리당에선 김무성이 출마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선 단독 선거구던 시절부터 쭉 도전해 왔던 김비오가 또 다시 도전했다. 또한 김무성의 출마에 반발하여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 이선자가 출마했다.
개표 결과 예상대로 새누리당 김무성 후보가 승리하였다.
3.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중구·영도구 부산 중구 일원[부산중구], 영도구 일원[영도]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비오(金枇澳) | 41,085 | 2위 |
| 44.91% | 낙선 | |
2 | 황보승희(皇甫承希) | 47,436 | 1위 |
[[미래통합당|]] | 51.86% | 당선 | |
7 | 김가은(金暇㒚) | 930 | 4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1.01% | 낙선 | |
8 | 정창범(丁昌凡) | 2,015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3,267 | 투표율 63.84% |
투표 수 | 91,466 | ||
무효표 수 | 1,394 |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f426f><tablebgcolor=#fff,#191919><bgcolor=#ef426f> 21대 총선 부산 중구·영도구 개표 결과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비오 | 황보승희 | ||
득표수 (득표율) | 41,085 (44.91%) | 47,436 (51.86%) | -6,351 (▼6.95) | 91,466 (63.84%) |
부산 중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비오 | 황보승희 | ||
득표수 (득표율) | 10,363 (42.68%) | 13,212 (54.41%) | -2,849 (▼11.73) | 24,717 (63.79%) |
중앙동[A] | 47.52% | 50.56% | ▼3.04 | 54.19 |
동광동[B] | 40.77% | 56.57% | ▼15.80 | 61.69 |
대청동[C] | 44.97% | 52.13% | ▼7.16 | 60.76 |
보수동[D] | 41.40% | 55.58% | ▼14.18 | 62.66 |
부평동[E] | 35.13% | 62.29% | ▼27.16 | 61.09 |
광복동[F] | 35.19% | 62.58% | ▼27.39 | 69.79 |
남포동[G] | 28.75% | 69.62% | ▼40.87 | 56.98 |
영주1동[H] | 45.94% | 50.49% | ▼4.55 | 57.65 |
영주2동 | 42.09% | 55.01% | ▼12.92 | 65.13 |
영도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김비오 | 황보승희 | ||
득표수 (득표율) | 30,722 (45.73%) | 34,224 (50.94%) | -3,502 (▼5.21) | 68,143 (65.20%) |
남항동[I] | 40.40% | 56.08% | ▼15.68 | 63.09 |
영선1동[J] | 43.16% | 52.69% | ▼9.53 | 65.24 |
영선2동[K] | 43.62% | 53.33% | ▼9.71 | 70.34 |
신선동[L] | 42.19% | 54.13% | ▼11.94 | 55.93 |
봉래1동[M] | 43.65% | 52.74% | ▼9.09 | 67.54 |
봉래2동[n] | 43.11% | 53.68% | ▼10.57 | 60.33 |
청학1동 | 45.35% | 52.01% | ▼6.66 | 60.33 |
청학2동[O] | 46.80% | 50.41% | ▼3.61 | 62.68 |
동삼1동[p] | 47.32% | 49.68% | ▼2.36 | 63.71 |
동삼2동[q] | 44.69% | 51.82% | ▼7.13 | 64.75 |
동삼3동[R] | 44.13% | 52.54% | ▼8.41 | 63.91 |
후보 | 김비오 | 황보승희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50.85% | 40.15% | △10.70 | |
관외사전투표 | 56.37% | 39.34% | △17.03 | |
재외투표 | 79.61% | 18.42% | △61.19 |
중구·영도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김비오 | 황보승희 | 격차 |
전체 | 44.3% | 53.0% | 8.7%p경합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비오 전 지역위원장, 김용원 부산항만공사 대표변호사가 예비후보로 등록해 경선이 예정되었으나, 김비오가 당원명부 과다 조회를 이유로 후보 자격이 박탈되었다.
그러나 김비오 측에서 재심을 신청해 받아들여졌고, 박영미 예비후보도 출마를 결정함에 따라 이 지역은 세 명의 예비후보자를 대상으로 경선을 실시했다. 그 결과 김비오가 공천을 받았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강성운 전 국회의원 정책특보, 곽규택 전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김은숙 전 중구청장[45] 등이 출마 선언을 하였지만 최종적으로 황보승희가 공천됐다.
여기서 이언주 전 국회의원도 여기에 출마 선언을 한 상황이었는데[46], 이에 대해 뜬금포라는 여론이 당내 안팎에서 제기되는데다 김무성이 이언주 전략 공천에 대해 강하게 항의하고 친무 성향의 당원들과 황교안간의 갈등으로 이언주는 남구 을에 공천됐다.
선거 당일 출구조사에선 경합지로 분류됐다.[47] 그러나 관외사전투표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미래통합당 황보승희 후보가 이겼다.
선거 결과가 이렇게 된 이유는 김비오 후보도 중구의 혜광고등학교를 나오긴 했지만 정치 기반은 영도구에서 쌓아서 두 자치구 모두 인지도가 높고, 김무성 상대로 40%를 내는 등 지역구 관리를 못 한 건 아니지만 황보승희 후보가 영도구에서 3선 구의원, 재선 시의원을 역임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중-영도에서 당선되었던 김무성의 후광이 있었기 때문이다.
3.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중구·영도구 부산 중구 일원[부산중구], 영도구 일원[영도]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영미(朴英美) | 36,739 | 2위 |
| 43.54% | 낙선 | |
2 | 조승환(趙承煥) | 46,254 | 1위 |
| 54.82% | 당선 | |
5 | 김영진(金榮珍) | 1,374 | 3위 |
| 1.6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2,866 | 투표율 64.35% |
투표 수 | 85,495 | ||
무효표 수 | 1,128 |
||<-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fff,#191919><bgcolor=#e61e2b> 22대 총선 부산 중구·영도구 개표 결과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박영미 | 조승환 | ||
득표수 (득표율) | 36,739 (43.54%) | 46,254 (54.82%) | -9,515 (▼11.28) | 85,495 (64.35%) |
부산 중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박영미 | 조승환 | ||
득표수 (득표율) | 8,970 (39.70%) | 13,223 (58.74%) | -4,253 (▼19.04) | 22,844 (62.88%) |
중앙동[A] | 47.67% | 50.47% | ▼2.80 | 51.46 |
동광동[B] | 38.47% | 59.54% | ▼21.07 | 60.92 |
대청동[C] | 39.48% | 58.97% | ▼19.49 | 58.67 |
보수동[D] | 37.50% | 61.28% | ▼23.78 | 60.10 |
부평동[E] | 31.67% | 67.22% | ▼35.55 | 63.65 |
광복동[F] | 33.38% | 65.03% | ▼31.65 | 70.70 |
남포동[G] | 34.46% | 64.32% | ▼29.86 | 62.23 |
영주1동[H] | 41.01% | 57.04% | ▼16.03 | 53.84 |
영주2동 | 37.61% | 60.80% | ▼23.19 | 63.40 |
영도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박영미 | 조승환 | ||
득표수 (득표율) | 27,801 (44.94%) | 33,031 (53.39%) | -5,230 (▼8.90) | 62,651 (64.90%) |
남항동[I] | 40.19% | 58.57% | ▼18.38 | 62.04 |
영선1동[J] | 46.47% | 52.24% | ▼5.77 | 63.32 |
영선2동[K] | 42.29% | 55.97% | ▼13.68 | 71.97 |
신선동[L] | 40.65% | 57.48% | ▼16.83 | 55.04 |
봉래1동[M] | 41.89% | 56.54% | ▼14.65 | 67.98 |
봉래2동[N] | 48.31% | 50.16% | ▼1.85 | 63.18 |
청학1동 | 43.64% | 54.52% | ▼10.88 | 60.59 |
청학2동[O] | 45.03% | 53.35% | ▼8.32 | 60.89 |
동삼1동[P][a] | 45.68% | 52.74% | ▼7.06 | 61.17 |
동삼2동[Q] | 46.79% | 51.30% | ▼4.51 | 64.70 |
동삼3동[R] | 41.17% | 57.36% | ▼16.19 | 63.60 |
후보 | 박영미 | 조승환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7.88% | 56.82% | ▼18.94 | |
관외사전투표 | 54.39% | 43.50% | △10.89 | |
재외투표 | 75.32% | 21.70% | △53.62 |
중구·영도구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박영미 | 조승환 | 격차 |
전체 | 45.8% | 53.2% | 7.4%p경합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 |
국민의힘에선 새누리당 전 대표을 지낸 김무성 상임고문이 7선에 도전한다는 설이 나오기도 했고 그 밖에 친윤 성향 박성근 국무총리비서실장,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후보군으로 꼽힌다.
또한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내다가 2013년 당시 대법원에서 의원직 상실을 당한 이재균 전 국토해양부 차관과 윤석열 정부의 초대 해수부 장관을 지낸 조승환 전 장관 등 여러 후보군들이 거론되었다.
그러나 김용원 인권위 상임위원과 김무성 전 대표는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후 박성근 전 총리비서실장과 조승환 전 해수부장관이 경선을 치러 조승환 전 장관이 공천을 받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 지역구에만 4번 도전했던 김비오 전 청와대 행정관을 비롯해 김철훈 전 영도구청장, 윤종서 전 중구청장, 박영미 현 지역위원장, 김의성 전 청와대 행정관 등이 거론되었다. 김비오 전 행정관과 박영미 지역위원장이 경선을 치렀고 박영미 지역위원장이 승리해 총선에 출마한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조승환 전 해양수산부 장관이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하지만 상대편인 박영미 후보도 43%를 받아서 꽤 선전을 했다.
4. 여담
지리적으로는 일본과 가장 가까운 선거구라고 할 수 있다. 영도구와 일본 나가사키 현 쓰시마 섬까지의 거리가 대락 47.5km로 부산과 대구 간의 거리보다 더 가깝다. 일본 중의원 나가사키현 제2구 선거구와 바다를 사이에 두고 맞닿아 있다.[1] 오히려 신도심으로 성장한 근처의 부산진구 갑이 정치 1번지로 급부상했다.[2] 후반기 국회부의장, 국회의장 권한대행.[3] 전반기 국회의장.[4] 후반기 국회의장.[부산중구] 중앙동, 동광동, 대청동, 보수동, 부평동, 광복동, 남포동, 영주1동, 영주2동[영도] 남항동, 신선동, 영선1동, 영선2동, 봉래1동, 봉래2동, 청학1동, 청학2동, 동삼1동, 동삼2동, 동삼3동[A] 법정동 중앙동1~7가 · 대창동1가. 부산세관, 부산항만공사, 롯데백화점 광복점이 있는 동네.[B] 법정동 동광동1~5가.[C] 법정동 대청동1~4가. 중구청이 있는 동네.[D] 법정동 보수동1~3가. 보수동 책방골목이 있는 동네.[E] 법정동 부평동1~4가. 부평깡통시장이 있는 동네.[F] 법정동 광복동1~3가 · 창선동1~2가 · 신창동1~4가. 국제시장 및 용두산공원이 있는 동네.[G] 법정동 남포동1~6가. 자갈치시장이 있는 동네.[H] 법정동 영주동(일부) · 대창동2가.[I] 법정동 남항동1~3가 · 대평동1~2가 · 대교동1~2가.[J] 법정동 영선동1~2가.[K] 법정동 영선동3~4가. 흰여울문화마을이 있는 동네.[L] 법정동 신선동1~3가.[M] 법정동 봉래동1~3가.[n] 법정동 봉래동4~5가. HJ중공업(구 한진중공업) 본사가 있는 동네.[O] 영도구청이 있는 동네.[p] 국립해양박물관, 고신대학교 및 주거 단지가 있는 동네.[q] 태종대와 국립한국해양대학교가 있는 동네.[R] 아파트 단지들로 구성된 동네.[부산중구] [영도]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45] 황보승희 의원이 김무성의 측근이라면, 김은숙 전 중구청장은 정의화 전 국회의장의 최측근에 속한다.[46] 이언주는 20대 총선 당시 더불어민주당 소속 광명 을 국회의원이었으나, 이후 당을 바꿨고 광명시 을은 민주당 텃밭이라서 재선 가능성이 없으니 자신의 출신지이자 모교가 있는 부산 중구·영도구 지역구에서 3선을 노리는 게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47] 44.3% : 53.0%로 황보승희의 경합 우세로 예측되었다. 개표 결과도 황보승희 후보가 51.86%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부산중구] [영도] [A] [B] [C] [D] [E] [F] [G] [H] [I] [J] [K] [L] [M] [N] 법정동 봉래동4~5가. HJ중공업(구 한진중공업) 본사 및 영도 센트럴 에일린의 뜰이 있는 동네.[O] [P] 국립해양박물관, 고신대학교 및 오션라이프 에일린의 뜰 등 다수의 아파트와 다세대주택이 있는 동네.[a] 박영미 후보의 고향.[Q] 태종대,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및 부산 오션시티 푸르지오 등의 주거 단지가 있는 동네.[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