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5:59:21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

지선버스(대구)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전체 노선 목록버스 회사 목록요금 현황폐선 목록

파일:경신2507.jpg
파일:남도3641.jpg
대구 지선버스의 운행 모습.

1. 개요2. 특성3. 요금4. 목록

1. 개요

2006년 2월 버스 노선 개편에 따라 신설된 버스로 타 광역시도와는 다르게 지선버스가 오지버스와 마을버스의 역할을 모두 전담한다.[1] 특정 생활권과 또다른 생활권, 도시철도, 간선버스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2. 특성

주로 생활권 지역 내를 운행하고 오지 지역 및 대중교통 사각 지대에서 지역 중심까지 운행한다.

번호 체계는 생활권명 + 일련번호이며 순환형 노선일 경우 반시계방향은 (-1)를 붙인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어디든지 대형 차종으로 고집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좁은 골목길이든, 험한 오지든 어디든지 100% 대형을 투입한다. 심지어는 수요가 거의 없어서 하루 평균 승객이 100명 이상을 못 넘기는 노선에도 100% 대형버스이다.

크게 일반지선, 순환지선, 오지지선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지선은 각 생활권 내에서 가까운 도시철도역이나 지역거점을 연결한다. 순환지선은 다른 시내버스가 연결하지 않는 지역을 두루 순환하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나눠져있는 노선이다. 다른 시내버스가 A에서 B, C에서 B를 운행할 때 이 순환버스는 A와 C를 바로 연결하는 식으로 노선이 짜져있어서 생활지역을 서로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 오지지선은 대구 교외의 농촌이나 산촌지역과 도심, 도시철도역 등을 간선도로로 연결하는 노선인데 해당 간선도로에서 급행노선이나 간선노선의 수요를 분담해준다. 오지 지역에서는 가지노선이 많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1시간~3시간 간격의 긴 배차간격으로 구성되나 이 가지노선들이 모두 모이는 본선에서는 15~30분 정도의 배차간격을 가진다.

일반적으로는 오지에서 중앙대로, 동성로, 대구역, 서문시장, 칠성시장 등의 도심 또는 전철과 연계되어 있으나, 달성 지선의 경우는 시내까지 이어지는 노선이 전무하다. 워낙 시내에서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2]

행선판, 노선도 등에 표시되는 고유색상은 컬러풀 대구 로고 색상 중 하나인 노란색이다. 행선판 버전에 따라 주황색이나 갈색 계열이 사용되기도 했다.

간선버스의 탈을 쓴 지선버스가 하나 있다. 바로 북구3번이 있는데 북구, 서구, 중구, 동구 4개구를 밟으므로 일각에서는 간선화해서 308번이나 318번 혹은 813번으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을 정도다. 대부분의 지선 노선은 반월당, 서문시장, 중앙대로, 동성로, 대구역, 칠성시장 등 도심까지 운영하지만 일부 지역의 일부 지선노선인 가창면을 제외한 달성군 지역 모든 지선노선, 달서구 지역 모든 지선노선은 도심에서 거리가 멀거나 도시철도로 커버가 되기 때문에 그렇지 않다.

생활권이 다른 경우에는 지역구 소속이라도 다른 지명을 붙이는 노선도 있는데, 예를 들면 가창2번이 있다. 가창면 지역은 달성군이지만 달성군에서도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동쪽에 있어 오히려 수성구와 가까우므로 따로 노선 방식을 부여한 것이다. 이 같은 방식은 가창, 성서, 칠곡, 팔공[3] 권역에 있다. 그 외에도 2007년 8월 27일 개편으로 달성공단 지선버스가 생긴 적이 있었는데, 대곡역 ~ 달성1차산단 구간을 순환 운행하는 달성공단1번, 달성1차산단 ~ 달성2차산단 구간을 순환 운행하는 달성공단2번 노선이 있었다. 달성공단1번은 남도버스에서 6대를 운행했고 배차간격은 20분이었으며 달성공단2번은 현대교통[4]에서 2대를 운행했고 배차간격은 30분이었다.[5]

중구는 지역명으로 된 지선 버스가 없으며 대신 다른 지역 지선 노선들이 다닌다. 이 지역에 지선 노선이 없는 이유는 도심 지역이라서 상당수의 간선버스가 지나기 때문이다. 이전에는 남구와 서구도 지역명으로된 버스가 없다가 2015년 개편 때 남구와 서구 지역명의 지선버스가 신설되었다. 또 2023년 7월 1일 편입된 군위군은 이미 지선버스 역할을 하는 군위군 마을버스가 있어서 지선버스 신설이 이뤄지지 않았다.

번호 체계 때문인지 서울이나 부산사람이 대구의 지선버스를 처음 보면 마을버스로 오해하기도 한다. 대구의 지선버스는 2006년 개편전 마을버스의 역할까지 흡수했다는 점에서 지선버스와 마을버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역시 개편 전 존재하던 오지노선의 역할도 수행한다는 점에서는 대전의 외곽버스의 성격까지 가지고 있다.

3. 요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700, #006700 20%, #006700 80%, #00670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700><tablebgcolor=#00670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2024년 12월 기준[1]
대구권 광역환승제 지역 버스 요금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구분 현금[6] 교통카드(선·후불)
대구
경산
영천
급행 일반 2,200원 1,950원
청소년 1,300원 1,100원
어린이 800원 650원
노인[2] 2,200원 0원[3]
좌석
일반
(순환·간선·지선 포함)
마을
DRT
일반 1,700원 1,500원
청소년 1,000원 850원
어린이 500원 400원
노인[2] 1,700원 0원[3]
김천
구미
칠곡
성주
구미좌석[5]
KTX리무진[5]
성주좌석[4][5]
일반 2,000원 1,900원
청소년 1,600원 1,300원
어린이 1000원 800원
김천좌석
일반
공단순환
마을
일반 1,500원 1,500원
청소년 1,200원 850원
어린이 800원 400원
고령
청도
일반 1,500원 1,500원
청소년 850원 850원
어린이 400원 400원
[1] 2024년 12월 14일부터 시행한 요금체계
* 만 5세이하 영유아 3인까지 무료 운임
}}}}}}}}}

4. 목록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6af3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행사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심지어 간선버스가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도 하다.[2] 거리도 멀지만 달성 지선은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나 대구테크노폴리스에서 대구수목원으로 나 있는 테크노폴리스 진입도로를 타지 않는 이상 무조건 대곡역을 경유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곡역까지만 운행하는 달성1번, 서부정류장까지 운행하는 달성2번, 설티고개와 옥연지 쪽으로 운행하는 달성5번을 제외하면 모두 현풍시외버스터미널을 시종점으로 삼고 있다. 그렇다고 달성3번, 달성4번, 달성5번, 달성6번, 달성7번, 달성8(-1)번을 대곡역까지 끌어내려고 해도 증차 차량도 없는데다가 다른 노선과 중복될 수밖에 없으므로 필요가 없다.[3] 다만 팔공지선이었어야 할 동구8, 동구9번은 동구지선이 되었다.[4] 원래는 창성여객에서 운행하다가 현대교통과 합병 후 현대교통으로 넘어갔다.[5] 그러나 달성공단1번은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완전히 공기수송이었기 때문에 2008년 6월 5일 개편으로 655번이 논공에서 달성1차산단까지 연장하여 6대 모두 655번과 통합되면서 폐선되었다. 그리고 달성공단2번 역시 공기수송이었으나, 달성2차산단 구간을 운행하는 거의 유일한 노선이라 그대로 유지되었다. 달성7번도 있지만 구지면 내부만 순환하는 오지 노선이였기 때문. 그러다가 2011년 8월 18일 600번이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달성2차산단까지 연장하면서 달성공단2번 1대가 600번에 증차되고 나머지 달성공단2번 1대는 달성1차산단 구간을 폐지하고 노선을 약간 조정해서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응암리를 순환 운행하는 달성3번으로 개편했다.[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