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Supported Range사람이 '지지'하여 낼 수 있는 음들의 집합을 뜻한다. 여기서 '지지'(Support)란, 횡격막 주위의 근육과 성대 조절을 통해 적절한 양의 공기와 함께 음을 내는 것을 말한다. 즉, 성대를 지나는 공기 흐름을 최적의 범위 내에서 유지하며 낼 수 있는 모든 음들의 영역을 지지음역이라고 하는 것이다. 성대에 지나친 긴장(tension)을 주어 공기가 부족해지면 날카롭고(shrill) 눌린 소리가 나고, 반면 공기가 과해질 경우 호흡이 많이 섞여 음의 투사(projection)가 약해지며 불안정해진다.
2. 설명
과거 보컬을 평가하던 시절엔 그저 고음을 잘 지르는 것이 가창력의 전부인 줄로만 아는 사람이 많았었다. 고음은 대체로 곡의 클라이맥스에 나오므로 잘 두드러지기 때문이다.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음악관은 점차 바뀌기 시작했다. 성대를 적절하게 접촉하면서 소리를 내는 것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때문에 자신의 발성 능력을 무시하고 노래를 부르다 보면 성대가 아닌 자신의 목 근육에 불필요한 힘을 주게 되고, 이 방법은 음질이 좋지 않게 나올 뿐만 아니라 성대에 많은 무리를 주기 때문에 오래 쓰다보면[1] 성대결절 등의 발성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심지어 이것조차 안되면 라이브에서 불안정한 소리가 나온다.
따라서 현재는 단순히 고음역대를 소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대 접촉의 정도와 전체 음역대의 고른 발달이 좀 더 중요시되고 있다.[2] 지지음역은 창법의 변화에 따라 넓어질 수도 있고, 좁아질 수도 있다.[3]
3. 여담
- 해외 커뮤니티에서는 지지음역의 넓이뿐만 아니라, 보컬 민첩성(Vocal Agility) 및 여러 다른 기술을 통합해 가수들의 보컬 등급을 매기기도 한다. 하지만 상술했듯 보컬 역량을 평가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지지음역이나 몇몇 테크닉만으로 보컬 등급이라며 서열을 매기는 건 객관적인 것 같으면서도 사실 꽤나 주관적이다.[4] 따라서 '지지음역 등급' 혹은 '발성 등급'이라고 표현하는 게 좀 더 정확하다.
- 21세기 들어 지지음역이 강조되다 보니 예전 고음병 환자들의 또 다른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지지음역병 환자들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지지음역은 보컬 평가의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아주 일부 요소일 뿐이다. 이런 개념에만 너무 매몰되면 음악을 있는 그대로 듣지 않고, 이 발성은 뛰어나지만 저 발성은 열등하다는 식의 독선적인 태도를 갖게 될 수 있으며[5], 실제로는 대중의 감정을 크게 움직이지 않는 부분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4. 비판
- 윗 문단에서 정의한 소위 '지지음역(Supported Range)'은 사실 학술 용어가 아니며, K-POP의 열렬한 팬이었던 브라질 출신의 한국 유학생 'Matheus Dias Secco(마테우스 디아스 세코)'가 최초로 고안해서 사용한 단어로 추정된다. #
- 마테우스는 나름의 기준으로 K-POP 아티스트와 한국 가수들의 보컬 티어를 평가했던 K-pop Vocal Analysis[6] 홈페이지의 운영자였는데, 해당 웹사이트는 비전문성 논란으로 문을 닫았다.[7] 본인도 원래는 자신의 SNS에 해당 홈페이지의 운영자임을 명시하고 있었지만, 웹사이트가 폐쇄되면서 해당 서술도 사라진 상황이다. KitsuneMale 유튜브
- 실제로 K-pop Vocal Analysis 홈페이지가 활성화되어 있었던 2013년부터[8] 2019년까지[9] 본인에 따르면 마테우스는 비전공자이자 비전문가였다. 2017년에는 한국어 말하기 대회 대상을 수상하며 한국에 가서 K-POP을 전문적으로 배우고 싶다는 수상소감을 밝혔고, 2019년에는 현재 본인이 세종대 실용음악과 3학년이자 보컬 트레이너 지망생이라 밝혔다.
- 한국 유학 생활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뒤 마테우스는 E채널 탑골랩소디에서 뱅크의 '가질 수 없는 너'를 포르투갈어로 재해석했고, KBS 아침마당에 출연해 전인권의 '걱정말아요 그대'를 불렀으며, 2023년 들어서는 MBN 오빠시대에 나와 윤복희의 '여러분'을 열창한 데다가, 세종대학교 중앙음악동아리 늘혬코러스에서 공연 또한 활발히 진행하면서, 2023년 12월에 졸업 공연까지 마쳤다고 한다. 결국 5년이 지난 2024년에서야 보컬 트레이너로 향하는 첫 발걸음을 겨우 뗀 셈이다.
- 심지어 현재도 인스타그램에서 본인을 소개할 때 '프리랜서 모델 / 뮤지컬 배우 / 가수 / 성우 / 방송인'이라고 기술했을 만큼 보컬 트레이너로 활동한 내역이나 현황은 여전히 찾을 수 없다. ahmin3 인스타그램
- 사실 'Strain - Support - Resonance'의 3분법으로는 발성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다.
- 청자마다 뭐가 Strained note고 뭐가 Supported note며 뭐가 Resonant note인지 판단이 각자 다를 만큼 통일된 기준도 없고, 'ㅏ'나 'ㅓ'처럼 입을 크게 벌리는 모음과 'ㅣ'나 'ㅡ'와 같이 입을 작게 벌리는 모음처럼 서로 다른 발음마다 도달 가능한 최대 음역도 모두 다르기에, 소위 지지음역은 모두가 동의할 만한 평가 기준을 만들어낸 이후 모든 음가를 구별해서 분석하지 않는 이상 성립할 수 없는 개념이나 다름없다.
- 실제로 유튜브에서 발성을 다룬다는 채널의 지지음역을 다룬 영상 중 음가를 구분한 영상은 하나도 없는 데다가, 심지어 이와 같은 함량 미달인 영상의 댓글 창에서는 청자들끼리 서로 자신이 옳다면서 병림픽을 벌이는 실정이 그를 방증한다.
- 지지음역을 다루는 유튜브 영상들이 아이돌의 보컬 실력을 줄 세우고 평가하며 지지음역이 실력의 척도인 것처럼 얘기한다. 이는 옳지 않은 지식을 전파하고 나쁜 팬덤 문화를 형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1] 사실 성대의 피지컬은 타고나는 것도 있어서, 같은 양을 쓰더라도 누군 탈이 날 수도 있고, 누군 멀쩡할 수도 있긴 하다. 하지만 발성적으론 교정해야 될 발성이긴 하다.[2] 물론 지지음역은 한 가수의 보컬 역량을 평가하는 요인 중 극히 일부일 뿐이며, 목소리 자체가 충분히 발달되지 않는다면 큰 의미가 없게 된다. 한 사람의 보컬 역량을 파악하는 데는 저음/중음/고음역에서의 음질(Tonal Quality)과 음의 투사(Projection), 프레이징(Phrasing), 음정 정확도(Pitch Accuracy), 호흡 컨트롤(Breath Management), 목소리의 위치(Vocal Placement), 민첩성(Agility), 볼륨 컨트롤(Dynamics), 다른 성구로의 전환(Transition) 그 외 정말 다양한 요인들이 기준이 된다. 여기에 보컬적 기술들이나 특성들-오버드라이브(Overdrive), 트왱(Twang), 스퀼로 공진(Squillo), 긁기(Growl) 등-도 잣대가 될 수 있다. 그냥 쉽게 말해서 음역대 상관없이 듣기 좋고 안정된 소리를 내면 된다. 그리고 사실 프로 가수에겐 발성 못지않게 톤이나 감정 표현 등도 매우 중요하다.[3] 대표적인 사례로 민니는 창법의 스타일로 인해 측정 불가가 나온다고 한다.[4] 어떤 등급표에서는 대중적으로 이미 성공한 유명 가수들이 일부 신인 그룹 멤버보다 보컬 등급 하위라는 황당한 결론이 나오기도 한다.[5] 허스키나 소몰이, 휘슬 등 성대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창법도 보컬 스킬로서 적절히 조절해 가며 쓸 수 있다. 물론 이런 창법들은 충분한 테크닉이 받쳐주는 상태에서 사용해야 목이 덜 상한다.[6] 현재는 폐쇄됨.[7] 심지어 본인만의 기준으로 특정인의 가창력을 1단계부터 7단계까지 분류했던 보컬 티어를 아예 삭제하는 초강수를 두면서까지 웹사이트를 지키려 시도했지만 당연하게도 실패핬으며, 지지음역과 보컬 티어로 인해 빚어진 난맥상의 여진은 심지어 아직까지도 현재 진행형이다.[8] 2013년부터 2014년 초까지는 KPOP Vocals 홈페이지에서 왕성히 활동하다가, 2014년 말부터 상기의 "K-pop Vocal Analysis" 홈페이지로 넘어갔다.[9] 유튜브 업로드 역시 2019년 8월에 끊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