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01:00:55

창선교 붕괴 사고

창선교에서 넘어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창선교 붕괴 사고
昌善橋崩壞事故
Collpase of Ch'angsŏn Bridge
파일:171CF4204A0E6DF8B4.jpg
발생일 1992년 7월 30일 오후 5시 20분
사고일로부터 [dday(1992-07-30)]일
발생 위치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지족리, 창선면 지족리
창선교
유형 건물 붕괴추락
원인 경진건설의 부실공사
해수염분으로 인한 콘크리트 부식
인명피해 사망 2명
부상 2명
결과 부산지방국토관리청장의 직위해제
신 창선교 개통
1. 개요2. 사고 원인3. 피해4. 조치5. 기타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92년 7월 30일 오후 5시경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남해도)과 창선면(창선도)을 잇는 해협에 위치한 창선교가 붕괴된 사고. 해당 구간은 3번 국도의 일부를 이루는 구간이다.

2. 사고 원인

1차 조사 결과 사고는 붕괴된 교각의 기반이 바닷물의 염분 때문에 조금씩 부식되면서 콘크리트부식, 탈락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당시 건설교통부(現 국토교통부)는 전문적인 구조분석기관에 의뢰해 붕괴된 교각의 해저부분에서 채취한 콘크리트 조각을 분석해 정확한 사고 원인을 밝혀내는 한편 나머지 교각들에 대해서도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하였다.

진단 결과 사고 원인은 영세업체 및 미경험업체에 의한 시공과 유속(V=2.76m/sec)이 심한 수중에 우물통 기초의 위치를 부정확하게 시공함으로써 편심을 야기시켰으며 우물통 기초의 심도가 낮았고 해수 중에 있는 염분성분 때문에 콘크리트가 중성화되면서 교량의 기초가 부식되었기 때문이었다.

3. 피해

이 사고로 도보로 다리를 건너던 행인 70세 정모 씨와 44세 서모 씨가 바다에 빠져 숨졌다. 또한 교량 상판이 추락하며 해상 케이블을 절단하여 통화선도 끊겼다. 이에 창선도 주민들은 한동안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당시에는 창선삼천포대교가 개통되지 않았기 때문에 창선교만이 유일한 육로교통수단이었다.[1] 그나마 사람이 자주 다니는 시간대는 아니라서 사상자가 그리 많지 않았다는 게 다행이었다.

4. 조치

사고 이후 신창선교를 건설하기로 계획하였다. 신규 건설 기간 중 주민들의 교통 통행과 편의를 위하여 자주식 대형 바지선을 상시 비치하여 차량을 포함한 인원, 화물수송에 대비하였다. 경상남도는 창선면의 1만여 주민들이 유람선, 도선으로 육지와 통행하고 있었으나 승선인원이 30명 내외였던 것 때문에 불편을 겪자 대한민국 해군 상륙정인 LGM 8선을 추가 투입하였다.

국방부에 지원을 건의하여 2억 5천만 원을 들여 차량 10대, 승객 50명을 운송할 수 있는 40톤 규모 페리선을 건조하였고 유류, 생필품, 가스 등은 도선을 이용해 하루 2차례 공급되었다.

5. 기타

오래 전 일이고 외딴 곳의 다리여서 창선교를 창선대교와 혼동할 수 있는데 창선대교는 이 사건이 발생하고도 한참 나중인 2003년 4월 28일에 개통된 창선삼천포대교의 일부를 이루는 다리다. 창선교와 창선대교는 위치도 다른데 창선교는 창선도 남쪽과 남해도를 연결하는 다리고 창선대교는 창선도 북쪽과 삼천포를 연결하는 다리다. 국가기록원의 보고서에도 창선교 붕괴 사고로 기록되어 있다.

도서낙도에서 벌어진 사고인 데다 발생 시간대도 통행이 활발한 시간이 아니었기 때문에 사상자 수가 적어 임팩트가 깊은 사고는 아니었으며 당시 개최 중이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들이 연일 선전하여 많은 국민들의 관심이 올림픽에 쏠렸던 것도 한몫했다. 이 때문에 경남 로컬 언론사[2]에서는 꽤 크게 다루었지만 이를 제외하면 중앙언론에서 그다지 조명되지도 않아서 국민들이 잘 기억하지 못하는 사건고다. MBC 뉴스데스크에 보도된 사고 소식. 지방국인 진주문화방송의 뉴스 리포트를 다음날 서울 본사에 올려 전국 송신한 것이다.

그러니 이 사고가 2년 2개월여 뒤에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날 성수대교 붕괴 사고의 전조라고는 생각하지도 못했다. 심지어 이 사고가 벌어진 바로 다음날 구 행주대교 옆에 건설중이던 신행주대교의 상판이 붕괴하는 사고가 잇따라 일어났다. 부실공사 공화국의 전조는 이미 이 때부터 경고를 보내고 있었다.

6. 둘러보기

문서가 있는 대한민국의 붕괴 사고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10년대 이전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P (1970) · 창선교 붕괴 사고P (1992) · 우암 상가아파트 붕괴사고PD (1993) · 성수대교 붕괴 사고P (1994) ·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P (1995) · 홍제동 방화 사건D (2001) · 평택 타워크레인 붕괴 사고PC (2003)
2010년대
남·북항대교 영도연결도로 붕괴 사고C (2013) ·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사고PD (2014) · 아산 오피스텔 붕괴사고P (2014) · 판교테크노밸리 축제 환풍구 붕괴 사고P (2014) · 동래읍성 인생문 성벽 붕괴사고P (2015) · 남양주 지하철 공사현장 붕괴사고C (2016) · 정선 한덕철광 발파 사고C (2018) · 용산 4층 건물 붕괴사고P (2018) · 서울상도유치원 붕괴 사고C (2018) · 광주 나이트클럽 붕괴 사고P (2019) · 서울 서초구 잠원동 철거건물 붕괴사고C (2019)
2020년대
부전-마산 복선전철 터널 붕괴 사고C (2020) ·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철거건물 붕괴 사고C (2021) ·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PC (2022) · 삼표산업 채석장 붕괴 매몰 사고C (2022) · 봉화 광산 붕괴 사고C (2022) · 안성 물류창고 신축현장 붕괴사고C (2022) · 분당 정자교 붕괴 사고P (2023) ·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 붕괴사고PC (2023)
P: 부실 공사 및 관리 미흡/ C: 공사중 붕괴/ D: 재해로 인한 붕괴/ ?: 원인 조사중/불명}}}}}}}}}


[1] 당시 창선도-삼천포 사이 3번 국도 구간은 카페리가 운행했다.[2] 당시 창원(마산)과 진주의 KBS, MBC 지방국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