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colcolor=#fff> 최성원 崔聖園 | |
출생 | 1954년 2월 9일 ([age(1954-02-09)]세) |
경기도 부천군 (현 경기도 부천시) | |
본관 | 전주 최씨(全州 崔氏) |
학력 | 휘문중학교 (졸업) 휘문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물리학 / 중퇴) |
가족 | 아버지 최영섭[1], 아들 최지훈[2], 딸 최선영[3] |
데뷔 | 1979년 프로젝트 앨범 '이영재, 이승희, 최성원'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포크 록 가수이자 싱어송라이터, 음반 프로듀서 겸 디렉터. 한국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명. 록 밴드 들국화의 메인 작곡가이자 베이시스트로 활동했으며, 전인권과 함께 밴드의 양대 축이었다.2. 가수활동
2.1. 데뷔
1973년 고려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했을 때부터 이상훈, 이승희, 김현식[4], 정광태 등과 몰려다니며 음주가무를 즐기고 날라리(?) 생활을 하기 시작했다. 주로 다닌 곳은 명동의 르 시랑스, 내시빌, 오비스 캐빈이었다. 대학교 1학년때 양병집의 음반작업에 통기타 반주로 참여했고 이때부터 프로 세션맨으로 활약했다. 뚝섬스튜디오에서 조동진의 후임으로 월급 세션맨을 했고, 이장희가 DJ를 맡고 있던 '0시의 다이얼'에 반년 정도 고정출연을 하기도 했다.대학 재학 중이던 1979년 고려대 동문인 이승희와 함께 프로젝트 앨범 '이영재[5], 이승희, 최성원'에 참여하며 데뷔하였다. 이후 '우리노래전시회'라는 프로젝트 앨범에도 솔로 가수로 참여하였다. 고대 동문이자 친구였던 조덕환[6]은 1978년 대학가요제에 '고인돌(코리아스톤스)'이라는 밴드명으로 참가했지만, 최성원은 거기에 참가하지 않았다. 당시 생각으로 대학가요제는 그저 학예회일 뿐이며, '음악하는 장'은 아니라고 여겼기 때문이라고...
2.2. 들국화
1983년 들국화에 베이시스트로 합류하였다. 이후 잠시 빠졌다가 다시 합류하여 1985년 들국화 1집 앨범작업에 참여하였는데, 이 앨범은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리스트 1위를 차지한 전설적인 명반이 되었다. 최성원은 1집에서 가장 유명하며 아직도 명곡으로 회자되는 '그것만이 내 세상', '더 이상 내게', 1집에서 전인권과 최성원이 유일하게 듀엣으로 부른 노래인 '사랑일 뿐이야', 자신이 메인 보컬이 되어 부른 노래이고 그것만이 내 세상과 함께 아직까지도 회자되는 명곡 '매일 그대와' 등의 노래를 작사, 작곡하였다.이후 1986년 들국화 2집을 발매하였으나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실패하였다. 그래도 최성원이 만든 노래인 '제발'은 히트했으며 '내가 찾는 아이' '오 그대는 아름다운 여인' 등은 2집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었지만, 1집의 카리스마에 비하면 2집은 많이 부족하다는 평가였다.[7] 결국 밴드내 불화[8] 등으로 들국화는 1987년 해체되었다.
이후 들국화는 전인권의 주도로 1995년 재결성되었지만, 당시 최성원은 합류하지 않았고 밴드의 평가도 좋지 않았다.
2.3. 솔로가수
1988년 솔로 1집을 발표했다. 1번 트랙 '제주도의 푸른 밤'은 지금도 많은 후배 가수들[9]이 리메이크하고, 대중들에게 애창되는 명곡이다. 또 '나는 가수다'에서 조규찬이 불렀던 '이별이란 없는 거야'가 2번 트랙으로 담겨 있다. 이 외에도 서정적이고 감성적인 가사가 특징인 '색깔', 도입부의 플룻 소리가 인상 깊은 '오늘은' 등의 명곡들이 있다1990년 '어린 왕자'[10], '솔직할 수 있도록' 등이 수록된 2집을 발매하였다. 사실 이 음반도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명곡들이 상당히 많다. 도입부의 나레이션과 몽환적인 분위기의 '어린 왕자'와 낙관적인 최성원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는 '솔직할 수 있도록' 또한 자신의 어린 시절과 들국화 초기 시절의 추억을 담은 '생각이 나는지', CCM풍이 물씬 풍기는 '행복의 열쇠'와 최성원 특유의 음색과 곡의 멜로디가 잘 어울려져 있으며 손진태의 기타 솔로가 인상적인 '네 눈 앞에만' 등 수록된 모든 곡들이 명곡이다.
2.4. 음반제작 활동
이후 1990년대에는 음반제작으로도 많은 활동을 하였다. 대표적으로 이적과 김진표의 '패닉'을 프로듀싱했으며, 그 밖에 박주연, 테라(장연주) 등을 기획한 기획자이자 제작자로 활동하였다. 그 밖에 이덕진의 '내가 아는 한가지'를 작곡하기도 하였다.2.5. 들국화의 재결성
이후 2012년 드러머 주찬권의 제안으로 최성원도 합류하여 다시 한번 들국화는 재결성하였다. 활발한 콘서트 활동과 음반 제작을 예고하였으나 2013년 주찬권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다시 해체상태에 이르렀다. 하지만 주찬권이 생전 녹음하였던 녹음본들이 남아있었기에 2013년 12월에 신보+리메이크 형식의 4집 '들국화'를 발매했다.3. 기타
- 음색이 미성이나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맑은 미성이 아니고 조금 허스키한 톤이다.
- 가수 이적이 '달팽이'를 만들어 최성원을 찾아가자 최성원은 이적에게 "너 이런 곡 몇개 더 만들어올 수 있겠냐?" 고 했다고 한다.
- 2000년도 초반에는 충북 청주에 있는 주성대학의 실용음악과 강사를 지내기도 했다.
- 제주도에 귀농하여 살고 있다. 제주도에 살면서 KBS 제주2라디오 '제주도의 푸른 밤 최성원입니다.'라는 프로를 맡아 DJ로 활약했다. 2016년 9월을 끝으로 프로그램이 폐지됐다.
- 2015년 밴드 서바이벌 프로그램인 톱밴드3에 출연한 '그래서'라는 밴드는 팀 결성 및 방송 출연에 최성원이 막후 역할을 했다고 한다.
- 들국화 시절 전인권과 정말 사이가 나빴다고 한다. 최성원과 전인권은 비틀즈로 따지면 존 레논과 폴 메카트니라고 할 만큼 애증의 관계. 음악 성향부터 사생활까지 극단적으로 다르며, 각자 음악적 역량도 뛰어나고 주관도 너무 뚜렷한 둘은 들국화 시절 하루가 멀다 하고 싸웠다고 한다. 재미있는 것은 이들을 중재해주던 멤버가 드러머 주찬권이었는데, 이것도 비틀즈 시절의 링고 스타와 판박이. 이후 전인권이 약물중독 등의 방황을 벗어난 후에는 서로 인정하는 사이가 되었다고 한다.
- 1990년대 맥주회사 광고에 아버지와 함께 출연했다.
[1] 그리운 금강산을 작곡한 작곡가 겸 지휘자, 한국가곡작곡가협회 부회장 겸 Seoul Green Orchestra 상임지휘자.[2] 싱어송라이터 겸 기타리스트.[3] 스케이팅 코치, 전 스케이트 선수.[4] 최성원보다 나이가 네살 정도 어렸지만 일찍부터 어울려 다녔다고 한다.[5] 알려진 것과는 달리 고려대 출신이 아니다. <한국 팝의 고고학 1970> 참조.[6] 들국화 1집에 최성원과 함께 참여하였다. 1집에서 '세계로 가는 기차', '축복합니다', '아침이 밝아 올 때까지' 등이 그의 곡이다.[7] 최구희와 손진태의 영입으로 들국화가 완전한 록밴드로 발전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많은 팬들과는 달리 오히려 더욱 말랑말랑해진, 포크와 팝 정도의 사운드 후하게 쳐줘도 포크록에 그치는 사운드가 나와 실망한 팬들이 꽤 많았다.[8] 전인권과 최성원은 하루도 싸우지 않을 날이 없었다고 한다.[9] 성시경, 태연, 소유 등등[10] 1985년 우리노래전시회에서 강인원이 불렀던 곡을 리메이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