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00:49:00

최정/선수 경력/2025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최정/선수 경력|최정/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ce0e2d> 파일:최정 팔로스루.png 관련 문서
최정
Choi Jeon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ce0e2d> 선수 경력 <colbgcolor=#ffffff,#1f2023>아마추어 경력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10년 (2010 아시안게임) · 2011년 · 2012년 · 2013년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14년 (FA 1기)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FA 2기) · 2019년 (2019 WBSC 프리미어 12)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24년
평가 플레이 스타일 · 통산 홈런 일지
기타 최신맥주 · 분류 · 사진 · 선수 경력 틀
파일:최정 싸인.png
}}}}}}}}} ||

최정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최정/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09년 2010년 2013년 2019년 2023년


1. 개요2. 시즌 전3. 페넌트 레이스
3.1. 3월3.2. 4월3.3. 5월3.4. 6월3.5. 7월3.6. 8월3.7. 9~10월
4. 시즌 총평5. 시즌 후6. 2025년 홈런 일지

1. 개요

SSG 랜더스 내야수 최정2025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시즌 전

2024년 11월 6일, SSG와 4년 110억원[1]의 FA 계약을 체결했다. #
  • 통산 2293경기를 출장해 이 부문 2위를 차지하고 있고 강민호의 KBO 통산 최다 경기 출장 경기수 2369경기까지 76경기만을 남겨두고 있으나 강민호가 현역으로 뛰고 있기에 시즌 내에 1위 등극은 사실상 힘든 상황이다.
  • 통산 7892타수로 이 부문 2위를 차지하고 있고 박용택의 KBO 통산 최다 타수인 8139타수까지는 247타수만을 남겨두고 있다. 큰 이변이 없는 한 시즌 내에 달성이 유력하다.
  • KBO 리그 최초의 통산 500홈런까지 홈런 5개를 남겨두고 있다. 시즌 초반에 달성이 유력하다.
  • 통산 1561타점으로 이 부문 2위를 차지하고 있고 최형우의 KBO 통산 최다 타점인 1651타점까지는 90타점을 남겨두고 있으나 최형우가 현역으로 뛰고 있기에 시즌 내에 1위 등극은 사실상 힘든 상황이다.[2]

2025년 1월 23일부터 진행되는 미국 플로리다 1차 스프링캠프 참가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기사에 따르면 이숭용 감독이 이번 스프링 캠프부터 고참들에게 캠프 참여 선택권을 줬으며 최정을 포함한 김성현, 이지영, 김민식, 한유섬, 오태곤은 플로리다 캠프에 참여하지 않고 일본 가고시마로 가 자체 훈련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지에 능통한 와타나베 마사토 2군 수비코치와 스즈키 후미히로 2군 배터리코치가 이들의 훈련에 동행하며 자체 훈련 후 2군 선수들이 대거 합류해 단체 훈련으로 이어갈 전망이다.

2.1. 시범경기

8일 대구 삼성전에서 3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2타수 무안타 1사구 1삼진을 기록했다. 6회 말에 안상현으로 교체되었다.

9일 대구 삼성전에서 3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무안타 1볼넷 2삼진을 기록했다.

10일 문학 한화전에서 2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무안타로 침묵했다. 7회 초에 대수비 안상현으로 교체되었다.

11일 문학 한화전에서 2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4타수 무안타 1삼진으로 침묵했다. 9회 초에 대수비 안상현으로 교체되었다.

13일 문학 키움전에서 8회 말에 조형우의 대타로 출장하여 1타수 1안타(1홈런) 1득점 2타점을 기록했다.

14일 문학 키움전에서 3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2안타 1홈런 2득점 2타점 1삼진을 기록했다.

15일 문학 LG전에서 3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1안타를 기록했다. 6회 초에 대수비 안상현으로 교체되었다.

3. 페넌트 레이스

3.1. 3월

개막 2일을 앞둔 상황에서 3월 17일 광주에서 예정이였던 기아와의 경기를 앞두고 훈련도중 오른쪽 햄스트링에 불편함이 있어 검진을 받는다고 한다. 사실상 개막전 엔트리 합류에서 빠질 것으로 보이고, 그대로 엔트리에서 빠졌다. #

18일, 19일 병원에서 1차 정밀 검진을 받았다. 검진 결과 우측 햄스트링 부분 손상(그레이드 1) 진단이 나왔다.

부상 상태가 나빠지면 한달 정도 못 나올 것으로 보인다는 예상이 있다. 나이가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회복세도 더딘 듯 하다.

3.2. 4월

4월 월간 성적
<rowcolor=#000>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rowcolor=#000> 볼넷 사구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월 31일~4월 1일 2차 검진을 받았다. 90% 회복 소견이 나왔으나 완전히 회복됐다는 진단이 나오지 않았다.

부상으로 빠진 사이에 KBO 리그 역대 최다 루타 기록을 최형우에게 내주게 되었다.

10일 3차 검진 결과 근육 부위는 완전히 회복은 되었지만, 엉덩이 부위에 일부 자극과 통증이 남아있다고 한다. 4월 복귀는 불투명해졌다.

한화 이글스의 역대급 물타선 임팩트에 가려졌지만, 최정이 빠진 SSG 랜더스 타선은 다득점을 기록한 경기가 3월 30일 8점이었고 그 악명 높은 한화보다도 평균 득점이 낮을 정도로 더 심각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기예르모 에레디아최지훈, 박성한이 그나마 사람 구실하면서 오태곤의 클러치로 점수를 짜내며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고 있기에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최정 의존도가 높은 타선의 문제에 대해 답답한 상황이다. 투수들의 힘으로 당장은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점수를 못내거나 접전 끝에 동점을 허용하여 연장전을 가는 경우가 잦아서 투수들의 체력 부담이 크기에, 이 추세라면 늘 그렇듯 6~7월에는 추락이 거의 확정적이라서 팬들은 최정의 복귀를 굉장히 간절하게 여기고 있고 이제 나이 문제로 건강 우려가 높은 최정인데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최정 의존도에 감코진을 성토하고 있다.

15일 4차 정밀 검진을 받았는데도 3차 검진 때와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아직 통증도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처음에는 시즌 개막 후 얼마 안 가 복귀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부상으로 이탈한지 한 달이 넘어가면서 최정 본인 또한 적지 않은 실망감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

16일 문학에서 열린 한화와의 시리즈 2차전이 끝난 현재, 결국 SSG는 팀 wRC+와 야수 WAR에서 꼴찌로 추락하게 되었다. 작년 SSG의 타선을 이끌던 최정과 에레디아가 부상으로 낙마하고 추신수까지 은퇴한 시점에서 공격력 저하는 불가피해졌지만, 지난 시즌과 비교했을 때 어린 선수들이 극심한 부진에 빠져 결국 타격이 되는 타자가 박성한 한 명뿐이다 보니 부정적인 사슬이 끊길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스프링캠프 이원화에 동참한 선수들의 부진과 장기 계약 직후 이탈로 인하여 팬들 사이에서 조금씩 비판 여론도 부상하고 있다. 다만 근본적인 원인은 SSG와 전혀 맞지 않는 강병식 타격코치의 지도 방식과 더불어, 최정의 이탈에 대비하여 확실한 해결사를 키워내지 못하고 있는 프런트 문제가 더 크다.

22일 5차 검진을 받았고 마침내 완치 판정을 받았다. 점진적으로 강도를 높여 훈련을 진행하면서 수비 훈련 및 복귀 일정을 조율할 예정이다.

3.3. 5월

5월 월간 성적
<rowcolor=#000>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rowcolor=#000> 볼넷 사구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4. 6월

6월 월간 성적
<rowcolor=#000>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rowcolor=#000> 볼넷 사구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5. 7월

7월 월간 성적
<rowcolor=#000>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rowcolor=#000> 볼넷 사구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6. 8월

8월 월간 성적
<rowcolor=#000>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rowcolor=#000> 볼넷 사구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3.7. 9~10월

9~10월 월간 성적
<rowcolor=#000>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rowcolor=#000> 볼넷 사구 삼진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4. 시즌 총평

5. 시즌 후

6. 2025년 홈런 일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최정/통산 홈런 일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정/통산 홈런 일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정/통산 홈런 일지#2025 시즌|2025 시즌]][[최정/통산 홈런 일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계약금 30억원 / 연봉 총액 80억원[2] 물론 최형우의 나이를 생각하면 최정이 부상없이 롱런할수 있다면 은퇴 전에 따라잡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