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3:20:17

카키색

카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카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AVY 소속 아티스트(래퍼)인 카키에 대한 내용은 Khakii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색|
색깔
]]
[ 펼치기 · 접기 ]
[[흰색|
하양
]][[아이보리|
아이보리
]][[베이지색|
베이지
]][[노란색|
노랑
]][[유황색|
유황색
]][[금색|
금색
]][[귤색|
귤색
]][[골든 옐로우|
골든 옐로우
]][[주황색|
주황
]][[살구색|
살구
]][[코랄#s-1.1|
코랄
]][[다홍색|
다홍
]][[빨간색|
빨강
]][[카민|
카민
]][[크림슨|
크림슨
]][[세리스#s-1|
세리스
]][[오페라색|
오페라
]][[분홍색|
분홍
]][[장미색|
장미색
]][[버건디|
버건디
]][[자주색|
자주색
]][[자홍색|
자홍
]][[연보라|
연보라
]][[보라색|
보라
]][[페리윙클(색)|
페리윙클
]][[남색|
남색
]][[울트라마린|
울트라 마린
]][[코발트 블루|
코발트 블루
]][[프러시안 블루|
프러시안 블루
]][[파란색|
파랑
]][[바다색|
바다
]][[하늘색|
하늘
]][[번루색|
번루
]][[담청색|
담청
]][[청록색|
청록
]][[민트색|
민트
]][[아쿠아마린(동음이의어)#s-1|
아쿠아 마린
]][[춘록색|
춘록
]][[초록색|
초록
]][[연두색|
연두
]][[라임색|
라임
]][[올리브색|
올리브
]][[갈색|
갈색
]][[세피아|
세피아
]][[고동색|
고동색
]][[카키색|
카키
]][[황토색|
황토색
]][[탠|
]][[회적색|
회적
]][[은색|
은색
]][[회색|
회색
]][[스페이스 그레이|
스페이스 그레이
]][[검은색|
검정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rjun_MBT_bump_track_test_2.jpg

1. 개요2. 설명

[clearfix]

1. 개요

Khaki
(#C3B091)
Khaki
(#F0E68C)
Dark Khaki
(#BDB76B)
색상의 한 가지. 또한 이 색의 옷감으로 만든 바지영어로 카키라고 부른다. 케임브리지 영어사전에서는 영국 영어 Khaki는 '황갈색 (yellowish brown) 또는 녹갈색 (greenish-brown)' 으로 설명하며, 미국 영어 Khaki는 '옅은 황갈색' 한 가지만을 언급한다. 한국어에서는 녹갈색도 아닌 올리브색을 카키색이라고 잘못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2. 설명

힌디어 ख़ाकी , 우르두어خاکی , 페르시아어خاکی 등에서 '먼지'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나온 이름으로, 이름 그대로 이나 흙먼지의 색에 가까운 색상.

영국이 인도를 점령한 시절 영국군이 사용한 것으로부터 유래했다. 19세기 중반 북서부 인도에 주둔하던 영국 육군은 현지 용병의 전통 복장, 즉, 표백이 덜되거나 누렇게 변색된 면제 의복이 먼지가 풀풀 날리는 반쯤 사막이나 마찬가지인 건조한 지역의 환경에서 적병(敵兵)의 눈에 덜 띈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를 일부 부대에서 적용하기 시작했다. 때문에 이 당시의 카키색은 표백되지 않은 리넨이나 면 색상에 가까웠다.

19세기 후반이 되면 아프리카인도 등 건조 지역이 많은 식민지 지역주둔군에서 밝은 카키색 군복을 널리 입게 되지만, 여전히 영국 육군의 표준 군복은 붉은색이었다.

그러다가 제1차 보어 전쟁에서 전통적인 붉은색 위주의 군복을 입은 영국 육군이 매복과 기습으로 대항하는 보어인들에게 고전을 면치 못하자, 1899년 제2차 보아전쟁 때에는 대부분의 부대가 카키색 군복을 입었다.[1][2] 이때부터 더 칙칙한 카키색이 군복이 적용되었으며, 1902년부터는 아예 전통적인 붉은색 군복을 몰아내고 카키색 근무복(service dress)를 채용했다. 영국 해군 또한 영국 해병대의 전투복 및 해군 육전대의 하계 육상 전투복 색으로 카키색을 썼는데, 그 외 해군은 동계는 저채도인데다 재염색이 잘 안 먹히는 네이비 블루 피복을 입고, 하계 및 열대 지역에선 흰색 피복을 현지에서 염색해 입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군의 카키색 군복은 참호전에서 아직 화려한 전통적인 색상을 고집하던 다른 유럽 국가들의 군복[3]에 비해 꽤나 위장성이 효과적이었고, 덕분에 전쟁 초반부터 군복의 색상 때문에 고생한 프랑스와 같은 꼴은 안 겪었다. 물론 프랑스도 결국에는 과감히 전통을 버리고 새로운 색상을 채택했는데... 그것이 푸른색이었다(...)[4]. 물론 이번에는 비교적 채도가 낮은 청회색에 가까운 색이었다. 단, 식민지군이나 외인부대에 한정해서는 카키색을 채택하였다(이 프랑스식 카키는 갈색이 강한 영국식 카키보다는 황록색에 더 가까운 밝은 색(올리브색)이었다. 잘 알려졌듯이 독일은 세계대전 이전에 이미 유럽 환경에 적합한 회녹색 군복을 채택하였다.

미군 역시 육해군의 열대 피복 색상으로 카키를 애용했다.

이렇듯 카키나 회색 계열 색상은 위장 무늬가 대대적으로 사용되기 전까진 대부분 국가들에서 군복과 군용 장비의 위장 색상으로 군림했다. 이후에 나온 위장 무늬도 사실 카키나 회색, 녹색 등을 바탕으로 자연적인 느낌의 패턴 무늬를 추가해 뒤섞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사실 카키색은 표백되지 못한 식물성 섬유 의복의 기본색과도 유사하기 대문에 중세에는 대중적인 의복색이기도 했다. 한국에서 입어온 삼배나 모시의 기본색도 카키에 가까우니...

그러나 현대 대한민국 의류 색상 명칭에서는 참으로 난감한 색 분류가 아닐수 없다. 단어의 원래 뜻에 가까운 황록색~황갈색은 물론[5], 순수한 녹색을 제외한 다양한 녹색계열 의복색까지 카키로 분류되는 실정이다. 이는 과거 국방색[6](올리브 드랩)으로 뭉뚱그려져 왔던 밀리터리 계열의 다양한 색상들이 카키색으로 "순화" 되어서 나타난 현상인 듯하다. 뇌록색과 비슷한 감도 있다. 현재 국군 피복에서 제대로 카키색을 사용하는 복장은 대한민국 해군 하근무복 상하의와 개리슨모대한민국 해병대 동/하근무복 셔츠이다.

카키는 치노 팬츠를 가리키는 단어이기도 한데, 치노 팬츠는 군복에서 유래하여 오리지널 치노 팬츠의 색상이 카키색이기 때문이다. 요새는 치노 천으로 만든 바지를 (색과 관계없이) 카키라고 부르는 일도 많아서 더욱 헛갈린다. 단 이는 한국에 한정되는 일이며 영어로는 색깔은 Khaki, 바지는 Khakis로 끝에 복수형 s가 붙기 때문에[7] 헛갈릴 일이 없다.


[1] 하지만 군복의 색상은 바뀌었어도 그밖의 각종 장비들, 탄약가방용 어깨끈이나 잡낭, 수통용 멜빵 등은 여전히 백색의 가죽 또는 직물이었다. 때문에 이러한 장비들을 모두 걸쳐서 완전군장을 할 경우, 어깨띠(멜빵)들이 몸을 가로질러 서로 교차하며 큼지막한 백색의 X자 형태를 이루었기에 여전히 위장성에 문제가 되었다.참고 그래서 병사들 개개인이 보급용 커피를 염료 대용으로 사용하여 염색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홍차를 썼다는 이야기도 있다.[2] 대한민국 육군1996년에 있었던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때 당시까지 사용하던, 야상의 빨간 계급장과 전투복의 노란 계급장이 공비들에게 표적이 되었다. 그래서 이후 계급장이 보라색으로 바뀌었다가 지금의 검은색으로 바뀌었다.[3] 유럽 국가"들"이라고 했지만 사실 프랑스를 제외하면 많은 유럽 국가들이 벌써 위장성을 고려한 저채도 색상을 채용했다. 호주, 캐나다, 미국 등: 카키(영국의 카키와 비슷), 벨기에: 남색 혹은 흑색, 이탈리아: 회색, 러시아: 카키(황색), 독일: 회색 혹은 녹회색, 오스트리아-헝가리: 청회색 또는 회색, 오스만 튀르크: 카키(황색), 덴마크, 스웨덴: 회색 등[4] 참고.하늘용 위장색 색깔이 참 예쁘다.[5] 정작 밝은 카키색은 베이지색과 혼용된다.[6] 구 일본군식 표현이다.[7] 바지는 한 벌이라도 pants, trousers 등으로 복수명사이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