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12:17:04

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colbgcolor=#b20d14> 파일: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Selección de Fútbol de Cataluña
FIFA 코드 CAT
축구 협회 카탈루냐 축구 협회 (FCF)[1]
홈 경기장 스포티파이 캄 노우 (Spotify Camp Nou)
감독 파일:카탈루냐 기.svg 제라르 로페스 (Gerard López)
주장 파일:카탈루냐 기.svg 오리올 로메우 (Oriol Romeu)
공식 웹사이트 파일: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cde02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20d14> A매치 최다 출전 세르히오 가르시아 (Sergio García)
- 16경기 / 9골
A매치 최다 득점 세르히오 가르시아 (Sergio García)
- 16경기 / 9골
첫 국제 경기 출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vs 파일:카탈루냐 기.svg 카탈루냐 0 : 7
(프랑스 파리 / 1912년 2월 21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일:카탈루냐 기.svg 카탈루냐 vs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6 : 0
(스페인 지로나 / 2022년 5월 25일)
최다 점수차 패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vs 파일:카탈루냐 기.svg 카탈루냐 0 : 7
(프랑스 파리 / 1912년 2월 21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vs 파일:카탈루냐 기.svg 카탈루냐 0 : 7
(스페인 바르셀로나 / 1924년 3월 13일)
}}}}}}}}}}}} ||
유니폼 어웨이 서드
<colbgcolor=#222> 상의
하의
파일: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11

파일: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10

파일: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3
양말
파일:아디다스 로고.svg

파일:아디다스 로고.svg

파일:아디다스 로고 화이트.svg

1. 개요2. 역사3. 스페인 대표팀과의 관계4. 카탈루냐 독립 문제5. 전력 및 전적6. 현재 선수 명단7. 관련 문서

카탈루냐 대표팀 역대 베스트 11
FW
보얀 크르키치
FW
세르히오 가르시아
MF
사비 에르난데스
MF
세르지오 부스케츠
MF
세스크 파브레가스
MF
펩 과르디올라
DF
조르디 알바
DF
카를레스 푸욜
DF
제라르 피케
DF
세르지 로베르토
GK
빅토르 발데스

1. 개요

카탈루냐 지역을 대표하는 축구팀. 카탈루냐 축구협회 소속.

카탈루냐가 독립국이 아니므로 당연히 국가대표팀이 아니고, FIFA, IOC 등 국제단체에도 가입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비공식 친선전만 가능하며 당연히 A매치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2. 역사

이 팀의 역사는 190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마드리드 세력에 불만을 갖고 있던 친 바르셀로나 세력들이 독단적으로 카탈루냐 선수들로만 구성된 카탈루냐 대표팀을 창시했고 그 후로도 바르셀로나 초대 스타들이 이 대표팀을 거쳤지만 프랑코 독재 시절 스페인은 지방자치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실상 폐지된 팀 중 하나였다. 그러다가 2000년대 중후반 바르셀로나와 스페인의 최전성기를 이끌었던 주축 사비 에르난데스, 카를레스 푸욜, 제라르 피케, 세르히오 부스케츠, 빅토르 발데스와 같은 황금 세대가 찾아오면서 카탈루냐 대표팀은 다시 한 번 그 위용을 얻게 된다.

3. 스페인 대표팀과의 관계

말할 것도 없이 프랑코 정권 시절을 겪었던 친 바르셀로나 세력들은 마드리드를 증오하다 못해 멸시할 정도로 사이가 틀어졌는데, 그렇기 때문에 그 전에도 한 대표팀이지만 다른 지붕이라 할 정도로 서로 호흡도 잘 맞지 않았고 그 때문에 성적도 좋지 않았다. 그러다가 2000년대 중후반 레알의 주장 카시야스, 카시야스와 바르샤의 주장 푸욜이 서로 합심하여 최고의 팀으로 무장한 스페인이 특유의 티키타카 전술과 만나서 세계 축구사를 뒤흔들어 놓았으며 메이저 대회 3연패를 포함 유수의 영광을 누렸기 때문에 지금은 예전만큼 사이가 나쁘지는 않다고 한다.

4. 카탈루냐 독립 문제

당연하겠지만, 카탈루냐가 독립하지 못하는 이상, 이 대표팀은 FIFA와 UEFA가 주관하는 모든 대회에 참여할 수 없다.

ConIFA에 가입할 순 있지만, 다른 나라들과 수준차이가 현저히 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가입은 안하고 있는 것 같다.

5. 전력 및 전적

FC 바르셀로나 선수들이 주축이 많이 된 만큼 미등록, 비공식 국가대표팀 중에서는 단연 압도적으로 강하며 그 전력은 웬만한 세계 상위권 국대와도 충분히 겨뤄볼 만한 전력이다. 프랑코 사후 1976년에 다시 20여년만에 소집돼서 소련과 1-1로 비겼고, 이후 다시 20년간 소집되지 않다가 97년부터는 정기적으로 소집되어 1년에 1차례씩 타 국가대표와 친선경기를 가지고 있다.

아예 2009년부터는 카탈루냐 인터내셔널 트로피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국가대표팀을 초청하고 있으며 첫 초청팀 아르헨티나를 4-2로 승리했다. 바르셀로나 캄 노우에서 친선전을 치렀고 중계도 되었다. # 당시는 FC 바르셀로나가 말 그대로 최전성기 멤버들이었기 때문에 그 주축들이 뛰고 있는 카탈루냐 대표팀 또한 엄청난 실력임을 영상을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바스크 국가대표 팀과 경기한 하이라이트

2019년 3월 25일이 가장 최근 대표팀 소집일이며 이 때 베네수엘라와 경기를 펼쳐 2-1로 승리했다. 제라르 피케, 알레시 비달, 오리올 로메우, 보얀 크르키치, 마르틴 몬토야, 세르히오 가르시아 등 현재 스페인 대표로 활약하지 않는 선수들 위주로 나섰는데도 상당히 강한 멤버들이었고, 대부분 바르셀로나의 라 마시아 출신이다. 마르크 무니에사 같은 과거의 잊혀진 유망주도 있고, 리키 푸치 같은 바르셀로나의 미래도 선발되어 경기에 나섰다. 카탈루냐 vs 베네수엘라 하이라이트

2025년 5월 29일 코스타리카를 임시 홈구장인 에스타디 올림픽 류이스 콤파니스로 불러들여 2:0 승리를 기록했다.

6. 현재 선수 명단

파일: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color: #B20D14;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rowcolor=#FCED02>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다니엘 카르데나스
(Daniel Cárdenas)
1997년 3월 28일 ([age(1997-03-28)]세) 3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요 바예카노
13 주안 가르시아
(Joan García)
2001년 5월 4일 ([age(2001-05-04)]세) 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DF 2 아드리아 알티미라
(Adrià Altimira)
2001년 3월 28일 ([age(2001-03-28)]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야레알 CF
3 에릭 가르시아
(Eric García)
2001년 1월 9일 ([age(2001-01-09)]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FC 바르셀로나
4 아르나우 마르티네스
(Arnau Martínez)
2003년 4월 25일 ([age(2003-04-25)]세) 7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5 다비드 로페스
(David López)
1989년 10월 9일 ([age(1989-10-09)]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7 알렉스 모레노
(Alex Moreno)
1993년 6월 8일 ([age(1993-06-08)]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15 미카 마르몰
(Mika Mármol)
2001년 7월 1일 ([age(2001-07-01)]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UD 라스팔마스
22 세르지 카르도나
(Sergi Cardona)
1999년 6월 8일 ([age(1999-06-08)]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야레알 CF
MF 6 오리올 로메우파일:주장 아이콘.svg
(Oriol Romeu)
1991년 9월 24일 ([age(1991-09-24)]세) 4 0 -
8 에두 엑스포시토
(Edu Expósito)
1996년 8월 1일 ([age(1996-08-01)]세) 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에스파뇰
10 세르히오 고메스
(Sergio Gómez)
2000년 9월 4일 ([age(2000-09-04)]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소시에다드
11 카를레스 알레냐
(Carles Aleñá)
1998년 1월 5일 ([age(1998-01-05)]세) 3 2 파일:스페인 국기.svg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14 알레시 가르시아
(Aleix García)
1997년 1월 28일 ([age(1997-01-28)]세) 2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16 라몬 테라츠
(Ramon Terrats)
2000년 10월 18일 ([age(2000-10-18)]세) 2 0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에스파뇰
17 조프레 카레라스
(Jofre Carreras)
2001년 6월 17일 ([age(2001-06-17)]세) 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에스파뇰
20 폴 로사노
(Pol Lozano)
1999년 10월 6일 ([age(1999-10-06)]세) 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에스파뇰
FW 9 페란 주트글라
(Ferran Jutglà)
1999년 2월 1일 ([age(1999-02-01)]세) 3 2 파일:스페인 국기.svg RC 셀타 데 비고
18 파우 빅토르
(Pau Víctor)
2001년 11월 28일 ([age(2001-11-28)]세) 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SC 브라가
19 케이타 발데
(Keita Baldé)
1995년 3월 8일 ([age(1999-03-08)]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몬차
21 안토니우 로카
(Antoniu Roca)
2002년 9월 5일 ([age(2002-09-05)]세) 1 1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에스파뇰
일정 친선 경기 2025년 5월 29일(목)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18일
}}}}}}}}} ||

7. 관련 문서


[1] FIFA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