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0:09:08

케빈 초보트

파일:K.Csoboth_2023-24.jpg
우이페슈트 FC No. 77
초보트 케빈 [1]
Csoboth Kevin
<colbgcolor=#fff> 출생 2000년 6월 20일 ([age(2000-06-20)]세)
헝가리 페치
국적
[[헝가리|]][[틀:국기|]][[틀:국기|]]
신체 174cm / 체중 68kg
포지션 윙어,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유소년 클럽 페렌츠바로시 TC (2015~2016)
코자르미슬레니 SE (2016~2017)
SL 벤피카 (2016~2017 / 임대)
SL 벤피카 (2017~2019)
소속 클럽 SL 벤피카 B (2019~2021)
페헤르바르 FC (2021~2022)
세게드-차나드 GA (2022 / 임대)
우이페슈트 FC (2022~ )
국가대표 10경기 1골[2] (헝가리 / 2023~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여담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헝가리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SL 벤피카

자국 헝가리에서 축구를 시작했으며, 2016년 포르투갈 명문 SL 벤피카 유소년 팀으로 임대되어 1년간 지내다가 완전 이적했고, 2019년까지 유소년 팀에서 지냈다. 이후 B팀으로 승격해 리가 포르투갈 2에서 뛰었으며, 2021년 1월에 재계약 제의를 받았으나 상위 리그에서 뛰고 싶어했던 초보트는 제안을 거절하고 시즌이 끝난 뒤 5년간 지냈던 벤피카와 작별했다.

2.2. 페헤르바르 FC

벤피카에서 나온 뒤 초보트는 2021년 8월 16일, 자국으로 복귀해 페헤르바르 FC에 입단했다. 그러나 주전 경쟁에서 완벽히 밀리며 전반기 동안 3경기 출전에 그치고 말았다. 그 와중에 3경기 동안 2골 2도움을 기록했는데, 2골 2도움 모두 SC 쇼프론과의 리그컵 1라운드 경기(6-2 승)에서 기록한 공격 포인트였다.

2.2.1. 세게드-차나드 GA (임대)

2022년 2월 14일, 출전 기회를 얻기 위해 2부 리그의 세게드-차나드 GA로 시즌 종료 때까지 임대되었다. 세게드에서는 주전 멤버로서 14경기 5골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임대 생활을 보냈다.

2.3. 우이페슈트 FC

2022년 8월 11일, 우이페슈트 FC로 이적했다.

입단 후 초기에는 5R 퍽시와의 데뷔전에서 5분 출전 후 2경기를 연달아 벤치를 달구면서 새 팀에서도 백업 멤버에 머무르는가 싶었으나 8R 버셔시전에서 첫 선발 출전해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자 주전 레프트윙으로 낙점받아 꾸준히 경기를 출전할 수 있었다. 출전을 거듭할 수록 초보트는 자신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15R부터 20R까지 2골 3어시를 기록하고, 25R 절러에게르세기전에서는 프로 통산 첫 해트트릭을 기록하는 등 우이페슈트 소속으로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면서 비로소 주목을 받을 수 있었다. 이에 힘입어 2023년 5월 18일, 초보트는 구단과 2027년까지 계약을 연장했다.

다음 시즌에는 중간에 잠시 교체 멤버로 밀려난 적도 있었으나 교체 멤버로 밀려난 23R부터 26R 동안 교체로 출전해 1골 3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4경기 연속 무패행진을 이끄는 공헌을 하자 다시 주전 멤버로 올라설 수 있었다. 시즌 성적은 컵대회 포함 35경기 7골 5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24년 6월 현재, 라리가셀타 데 비고와의 이적설이 나고 있다.

3. 국가대표 경력

유소년 시절 떄부터 헝가리 연령대 대표팀을 두루 거쳐왔으며, 2023년 3월 23일 에스토니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후반 31분 대표팀 주장 소보슬러이 대신 교체 투입되면서 A대표팀에 데뷔했다.

2024년 5월 14일, UEFA 유로 2024 26인 최종 명단에 발탁되었다.

3.1. UEFA 유로 2024

3.1.1. 본선

조별리그 A조 최종전 스코틀랜드와의 경기에서 후반 86분 교체 투입되어 후반 추가시간 10분에 극장골을 터뜨리며 헝가리를 탈락 위기에서 구해냈다. 그러나 이후 조 3위를 거둔 네 팀에게 주어지는 16강 진출권에서 밀려 토너먼트 진출이 좌절됐다.[3]

4. 여담

  • 그의 아버지 로베르트 초보트는 1965년생 前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측면 미드필더였다. 선수 시절 자국 리그에서만 뛰었으며, 아들이 태어난 페치의 지역팀인 페치 MFC에서 주로 활약해왔다.

5. 같이 보기

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663A><colcolor=#fff> GK 1 페테르 굴라치
(Péter Gulácsi)
1990년 5월 6일 ([age(1990-05-06)]세) 50 0 파일:독일 국기.svg RB 라이프치히
12 데네시 디부스
(Dénes Dibusz)
1990년 11월 16일 ([age(1990-11-16)]세) 22 0 파일:헝가리 국기.svg 페렌츠바로시 TC
22 페테르 서퍼노시
(Péter Szappanos)
1990년 11월 14일 ([age(1990-11-14)]세) 0 0 파일:헝가리 국기.svg 부다페스트 혼베드 FC
DF 2 아담 렁
(Ádám Lang)
1993년 1월 17일 ([age(1993-01-17)]세) 52 1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AC 오모니아
3 아코시 케치케시
(Ákos Kecskés)
1996년 1월 4일 ([age(1996-01-04)]세) 6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LASK
4 어틸러 설러이
(Attila Szalai)
1998년 1월 20일 ([age(1998-01-20)]세) 28 0 파일:독일 국기.svg SC 프라이부르크
5 어틸러 피올러
(Attila Fiola)
1990년 2월 17일 ([age(1990-02-17)]세) 49 2 파일:헝가리 국기.svg MOL 페헤르바르 FC
6 빌리 오르반
(Willi Orbán)
1992년 11월 3일 ([age(1992-11-03)]세) 34 5 파일:독일 국기.svg RB 라이프치히
7 로익 네고
(Loïc Négo)
1991년 1월 15일 ([age(1991-01-15)]세) 25 2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아브르 AC
11 밀로시 케르케즈
(Milos Kerkez)
2003년 11월 7일 ([age(2003-11-07)]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AFC 본머스
21 엔드레 보트커
(Endre Botka)
1994년 8월 25일 ([age(1994-08-25)]세) 18 1 파일:헝가리 국기.svg 페렌츠바로시 TC
14 벤데구즈 볼러
(Bendegúz Bolla)
1999년 11월 22일 ([age(1999-11-22)]세) 7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SK 라피트 빈
어틸러 모치
(Attila Mocsi)
2000년 5월 29일 ([age(2000-05-29)]세) 0 0 파일:헝가리 국기.svg 절러에게르세기 TE
MF 8 아담 너지
(Ádám Nagy)
1995년 6월 17일 ([age(1995-06-17)]세) 64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사 SC
15 라슬로 클라인하이슬러
(László Kleinheisler)
1994년 4월 8일 ([age(1994-04-08)]세) 43 3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NK 오시예크
10 도미니크 소보슬라이
(Dominik Szoboszlai) 파일:주장 아이콘.svg
2000년 10월 25일 ([age(2000-10-25)]세) 25 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13 언드라시 셰퍼
(András Schäfer)
1994년 12월 29일 ([age(1994-12-29)]세) 29 8 파일:독일 국기.svg 1. FC 우니온 베를린
16 다니엘 가즈다그
(Dániel Gazdag)
1996년 3월 2일 ([age(1996-03-02)]세) 16 4 파일:미국 국기.svg 필라델피아 유니언
17 칼럼 스타일스
(Callum Styles)
2000년 3월 28일 ([age(2000-03-28)]세) 7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선덜랜드 AFC
23 발린트 베체이
(Bálint Vécsei)
1993년 7월 13일 ([age(1993-07-13)]세) 10 1 파일:헝가리 국기.svg 페렌츠바로시 TC
페테르 버라트
(Péter Baráth)
2002년 2월 21일 ([age(2002-02-21)]세) 0 0 파일:헝가리 국기.svg 데브레첸 VSC
FW 케빈 버르거
(Kevin Varga)
1996년 3월 30일 ([age(1996-03-30)]세) 13 1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아폴론 리마솔 FC
9 마틴 아담
(Martin Ádám)
1994년 11월 6일 ([age(1994-11-06)]세) 12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절란 번처
(Zalán Vancsa)
2004년 10월 27일 ([age(2004-10-27)]세) 1 0 파일:벨기에 국기.svg 로멀 SK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2일
}}}}}}}}}}}}}}} ||

1 굴라치 · 2 · 3 벌로그 · 4 설러이 · 5 피올러 · 6 오르반 · 7 네고 · 8 너지 · 9 아담 · 10 소보슬라이
11 케르케즈 · 12 디부스 · 13 셰퍼 · 14 볼러 · 15 클라인하이슬러 · 16 가즈다그 · 17 스타일스 · 18 너지
19 버르거 · 20 셜러이 · 21 보트커 · 22 서퍼노시 · 23 초보트 · 24 다르더이 · 25 호르바트 · 26 카타
파일:UEFA EURO ITA.png 마르코 로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663a;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HUN.png 졸트 라츠코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663a;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HUN.png 이스트반 쾨베스팔비


[1] 헝가리는 우리나라와 같이 성을 먼저 쓴다. 다만 외국에서는 유럽식으로 이름을 먼저 쓴다.[2] 2024년 6월 24일 기준[3] 조별리그 F조 최종전에서 조지아가 로테이션을 가동한 포르투갈을 상대로 2-0으로 승리한 게 치명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