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7:21:48

케프리


파일:호루스의 눈.svg
이집트의 신
 
{{{#FFFFFF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90000, #A23925 20%, #A23925 80%, #79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엔네아드(Ennead)
아툼 (, 케프리)
테프누트
게브 누트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
하토르 (세크메트, 바스테트)
호루스
아누비스
토트 마아트 세스헤트 프타
아문 무트 콘수 아무네트
아포피스 암무트 타와레트
네이트 세베크 사티스 아누케트
크눔 헤케트 멘히트 넵프누트
세르케트 우라에우스 아톤
메제드 마프데트 베누 웨프와웨트
바넵데데트 베스 세커 메렛세게르
네크베트 하피
바제트 네페르툼 넴티 아나트
임호텝
}}}}}}}}}}}}}}} ||

1. 개요2. 이집트 신화에서3. 여기서 이름을 딴 것들

1. 개요

Khepri[1]
파일:케프리.svg 파일:라(이집트 신화).svg 파일:아툼.svg
케프리 아툼

이집트 신화의 신인 [2]를 달리 이르는 말. 태양신이자 창조신이기도 한 라는 '정오의 태양'을 지칭하는 말이고, 동틀 무렵의 태양은 '케프리', 질 무렵의 태양은 '아툼'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이름인 케프리의 의미는 '풍뎅이' 혹은 '무엇인가 되는 사람'임을 뜻한다고 한다. 위에 있는 이미지을 보면 딱정벌레[3] 얼굴을 하고 있으나, 간혹 스카프의 머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케프리가 관장하는 영역이자 분야는 재생(혹은 환생, 부활)[4], 창조, 일출, 태양 혹은 천체의 운행과 움직임, 보호, 존재, 확장, 복원이라고 하며, 이 때문인지 윤회전생을 반복하는 신이자 영원불멸을 상징하는 신으로 여긴다. 광명과 생명, 그리고 정의도 지배하며, 변화[5], 재생과 창조(혹은 재창조), 재탄생[6]을 관장 및 상징했다고 한다.[7]

케프리라는 이름은 고대 이집트어 ḫprj에 적당히 모음을 붙인 것이다.[8] 이 말에는 발전, 창조, 전환, 삶으로 돌아오다는 뜻이 있고 케프리라고 하는 의미는 존재하기 시작한 남자, 존재하다, 변신, 출발, 생존, 발전하다라는 뜻을 가졌다.

이집트 유물에서는 주로 쇠똥구리처럼 생긴 것으로 묘사되는데[9], 쇠똥구리가 둥근 걸 굴리고 있기 때문에 마치 태양을 움직이는 것 같다 하여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는 신성한 벌레 스캐럽[10]으로 추앙받았고 그것이 케프리에게도 반영된 것이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배설물 덩어리에서 유충이 나타날 때 쇠똥구리가 했던 것처럼, 케프리 또한 스스로를 창조해낸 신으로 믿었다고 한다.[11] 그리고 밤 시간의의 12신들 중 한명으로 여겨졌으며, 모든 사물세계를 창조했다.

이 케프리가 쇠똥구리와 같은 얼굴을 하고 있는 것은 '만물의 생성재생'을 표현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12], 케프리의 이름 뜻부터가 '생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그 자체로 헬리오폴리스 사람들에게는 '솟아오르는 태양'을 상징했으며[13], 그 자체로 자기자신의 실체에서 태어나 재생하는 부활을 나타내는 신을 뜻하고모든 생명체가 필연적으로 거칠 수 밖에 없는 탄생죽음부활이라는 영원히 지속될 수 밖에 없는 사이를 요약하는 셈이며, 그 자체로 영생의 상징과도 같다.

김정환의 <한국사 오디세이>라는 저서에 따르면 케프리가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없음'이 곧 '있음'으로 변했고, 다른 모든 것들은 그의 행동과 몸에 의해 생겨났으며, 그렇기에 케프리가 있기 전까지는 '없음'뿐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케프리는 , 아툼과 마찬가지로 태양 운행의 세 주요 국면을 상징하는데, 가 정오의 태양으로 그 힘이 정점에 달한 빛이고, 아툼은 지는 태양이자 원초적 창조에 대한 환기이면 케프리는 떠오르는 태양이자 곧 생의 끊임없는 변화에 대한 상징과도 같다고 한다.[14]

케프리는 태양신 의 화신[15]이자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빼놓을 수가 없는 신이었고 네체르라고 하는 신의 힘과 결합을 하고 인류를 돕고, 그 지식과 마법의 비밀, 우주의 지배, 농업, 수학 등 많은 것들을 전달했다고 여겨졌다고 한다. 그러나 케프리 본인은 따로 숭배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러면서 누트이집트 신화 세계관에서 세계의 물질적 측면이면 케프리는 처럼 세계의 정신적 측면을 상징한다고 여겨졌으며, 피라미드 텍스트에서는 가 이 케프리의 모습으로 등장해 세계의 모든 것들과 모든 생명체를 창조했다고 한다. 태양방주 신화에서 나온 바로는 라가 이 케프리의 형상을 하고 있을 때에는 눈앞에 보이는 모든 신들을 모조리 집어삼켰으며, 정오가 되어 의 형상을 하고 있을 때에는 그 힘이 최절정에 달하며, 저녁에는 창조신 아툼의 형상으로 변하는 것과 동시에 그 힘이 점차 줄어들었으며, 해가 저물기 직전에는 케프리의 형상으로 있을 때 집어삼켰던 모든 신들을 다시 뱉어내었는데, 이 신들이 바로 천상계의 별들의 모습으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생명의 변화하는 힘과 존재의 순환적 본성을 구체화한 창조, 재탄생, 태양의 일상적 여행 및 죽음, 부활순환이자 삶이 지닌 변화적이고 순환적인 강력한 힘의 상징이기도 하며, 사후세계를 여행하는 영혼들을 보호 및 안내하는 것으로 여겼다.

케프리의 이름은 새벽과 태양과의 연관성을 반영해[16] 존재함을 의미하고 아툼과 연결되어 있고 태양 여행의 다양한 측면을 드러내며 재생, 재탄생, 생명의 영원한 순환을 의미한다. 이집트 신화에서의 역할은 부활, 재생, 생명의 영원한 순환이라는 주제를 드러내며 생명의 재생과 지속의 중요한 상징인 태양의 재탄생을 매일 구현하고 있다.

매일 태양의 재탄생을 책임지는 아침의 태양신이며 생명의 재생을 상징하는 이 역할은 케프리를 생명, 죽음, 재생의 순환의 중심에 있게 하며 이는 우주와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이집트인의 믿음을 반영하는 지속적인 순환이고 아침의 태양은 새벽과 새로운 시작, 창조는 태양을 하늘로 가져오는 행위와 연관되며 재탄생은 끝없는 생명과 재생의 순환을 상징한다. 태양신으로서는 태양의 힘과 지구에 존재하는 생명을 유지하는데 태양의 중요한 역할을 드러낸다. 그리고 아침 태양신으로서의 역할은 이집트 생활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시작과 끝없는 생명과 재생의 순환을 나타냈다.

또 다른 측면이자 모습인 라와 아툼[17], 그리고 [18]과의 관계는 이집트 신화의 구조 속에서 복잡하게 엮였고 물리적 태양에 그치지 않고 생명과 우주의 개념적 갱신을 나타내고 태양, 생명, 우주의 영적 재탄생을 상징했다. 아침의 태양을 형상화한 케프리는 신에 그치지 않고 밤과 낮의 끝없는 순환을 통해 이집트인들을 인도하는 등불인 재탄생과 갱신의 상징으로 숭배되었다.

현대에선 재탄생과 갱신의 구현을 계속 강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며 현대 문학과 미디어에선 부활, 갱신, 태양과 생명의 끝없는 순환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는 이야기와 엮여 있다.

매일 아침 태양의 끊임없는 재탄생을 상징하고 모두가 성취할 수 있는 영적이고 개인적 변화를 구현하며 매일 태양의 갱신에 관여했고 단순히 생명(+탄생 및 출산)과 죽음의 끊임없는 순환 뿐만이 아닌 자연의 순환에도 영향을 미쳤고 떠오르는 태양신으로 숭배될 뿐만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삶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사후세계에서 회복과 부활을 상징했고 이러한 점으로 아툼[19]과 새로운 생명을 상징하는 것 외에도 사자(死者)의 신 오시리스와 연결되어 저승에서의 재탄생을 상징했고 태양의 출현과 이에 따른 변형력을 나타냈고 갱신, 재생, 변형의 개념을 구체화했고 창조신, 태양신, 부활의 신, 수호신이라는 4가지 역할을 맡았다.

일출과 새로운 시작을 상징했고 고대 이집트 문화에서 케프리의 중요성은 매일 일출하는 것으로서 상징되는 변화, 새로운 시작, 매일의 갱신을 나타내는 것에 있었다.

지구에 있는 모든 생명체에게 발산되는 강력한 별과 우주의 에너지를 충실히 필터링하고 전달하고 시간의 균형과 시대의 전환을 잡는 법을 알고 있었다.

2. 이집트 신화에서

케프리는 추가된 라의 인격이다. 라는 땅의 신 게브에게서 동쪽에서 출발하여(탄생) 서쪽의 하늘의 신 누트에게 가는 것(죽음)이 하루인데, 여기서 누트에게서 다시 게브에게로 갈 때를 케프리라고 여겼다.

제대로 등장한 것은 라가 이시스의 침으로 만든 뱀에게 물렸을 때 라는 계속 자신의 숨겨진 이름을 숨겼는데, 진짜 이름을 밝히기 전에 케프리가 한 번 언급된 게 전부이다.

3. 여기서 이름을 딴 것들


[1] 존재 속으로 들어오는 자, 존재하다, 무엇이 되었다, 변화하다, 나타나다, 존재하게 된다, 생겨나다, 발전하다, 창조하다는 의미를 가졌다.[2] 말로써 우주와 모든 생명체를 창조한 창조신이자 생명, 빛, 창조와 갱신의 영원한 순환을 상징하고 우주에 빛과 질서를 가져온 신으로 해가 뜨고 지는 것은 라의 영원한 탄생, 죽음, 재탄생의 순환으로 여겼다.(이러한 순환은 우주에서 생명의 지속적인 갱신과 기본적인 존재 원리를 반영한 것이다.) 그의 말은 법이나 다름없고 그(라)의 의지는 필멸자와 불멸자의 운명을 결정했다. 태양신으로써의 빛나는 빛과 온기로 세계를 밝혔고 말과 의지를 통해 우주를 존재하도록 하고 계획에 따라 우주를 형성했다. 농작물의 성장, 동물의 번식력, 자연계의 풍요를 감독하는 생명의 비옥함과 순환과 관련성이 있었고 세계의 질서와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혼돈과 어둠의 세력과 싸웠고 우주의 파괴를 막기 위해 매일 밤마다 지하세계에 있는 아포피스와 싸웠다.[3] 고대 이집트에서 딱정벌레는 신의 표현, 우주의 올바른 기능을 위한 필수 요소, 우주의 시작, 변신, 갱신, 태양의 영원한 주기, 환생, 생명, 창조와 보호, 재탄생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여겨졌다.[4] 바로 전에 서술한 이 부활, 그리고 지하세계의 연관성으로 인해 때때로 오시리스의 아테트 왕관을 썼고 생명을 새롭게 하는 능력도 있기에는 매일 아침마다 태양을 회복시켰다.[5] 현대 미디어와 문화에서도 케프리를 재탄생과 변화, 새로운 시작의 주체로 묘사하고 있고 갱신의 힘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변화의 주기를 나타냈고 창조물들이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변화를 가져왔다.[6]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케프리의 형상은 삶고 죽음, 그리고 재탄생의 순환을 나타냈다.[7] 태양이 지닌 창조적이고 변형적인 힘을 상징했다고 한다.[8] 고대 이집트어는 모음 표기를 하지 않았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고대 이집트 신의 이름들은 그리스인들이 이를 감안하지 않고 읽은 것이다. 역사학자들이 원래 발음을 알아내는 방법으로는 고대 이집트어의 후계언어인 콥트어를 통해 원래 발음을 추정하거나 다른 민족의 기록을 통해서 알아내는 방법이 있다.[9] 혹은 딱정벌레 그 자체였다고도 하는데, 당시 고대 이집트인들은 딱정벌레를 케프리의 화신으로 여겼으며, 스카라베의 형상을 한 부적은 신의 힘에 의한 보호를 발생하고 지니고 있는 이의 재탄생을 보장한다고 믿었다고 한다.[10] 그러면서 스캐럽 자체는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강력한 상징물 중 하나로 여기고 변신, 탄생, 부활[20], 태양, 보호, 변화, 불멸(케프리와 관련된 특징으로 여겨졌다고 한다.)을 상징했다고 한다. 그렇기에, 케프리는 창조, 부활,보호를 나타낸다고 여겨졌다으며, 거기에 부활회복(사후세계에서)을 상징했기에, 케프리는 새로운 생명을 상징하는 태양신 아툼과 연결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후세계에서의 재탄생을 나타내기 위해 명계의 신인 오시리스와 연결되어졌으며, 이러한 연관성(혹은 연결성)으로 인해 기원전 50년경까지 신왕국 기간 동안 사자의 서와 암두아트에서 주요 역할을 맡았다고 한다.[11] 게다가, 쇠똥구리 자체가 죽은 동물들의 몸뚱이에 알을 낳는 습성이 있다보니, 케프리 또한 갱신과 부활과 관련된 존재로 연결되었고, 무(無)에서 온 존재이자 신으로 생각되었다.[12] 그러면서 변화하는 것으로도 여겨졌다고 한다.[13] 즉, 케프리는 스스로 생겨나서 저절로 부활하고 떠오르는 태양을 뜻하는 셈이다.[14] 그렇기에 케프리는 생성변화를 상징한다고 할 수가 있다.[15] 태양신 라의 여려 측면 중 하나로 여겨졌다고 한다.[16] 새벽의 의인화에 해당되었다.[17] 라의 저녁 모습. 이집트 신화 세계관(혹은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그(아툼)의 살과 영혼으로 이루어져 있고 모든 것들은 아툼의 육체에서 파생되었고(우주와 그 안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창조했다) 그(아툼)가 지닌 생명력의 일부였다. 이는 신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어디에나 존재하는 신성으로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모든 것을 성취하고 완성시키나 우주가 끝날 때 그동안 만들어 놓았던 모든 것들을 파괴하고 원시의 뱀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존재다.(그래서 아툼은 우주의 궁극적 운명을 책임졌고 세계를 파괴할 때 갱신과 재탄생을 가져왔다. 이러한 창조와 파괴의 순환에 대한 개념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우주와 생명의 지속적인 순환에 대한 그들의 이해를 반영하는 의미를 지녔다.) 혼돈으로부터 나온 질서와 창조의 시작이고 그(아툼)의 자손인 슈와 테프누트는 우주의 구조와 균형을 가져오고 규칙과 우주의 자연적 질서에 의해 지배되는 생명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세계를 위한 발판을 마련한 거와 같다. 스스로 창조해 나타난 신이라는 것은 곧 창조와 삶에 있어서 의도와 의지력을 강조했다. 모든 것의 시작점이고 많은 것을 알고 거대한 힘을 지녔고 모든 요소를 관리하고 세계(우주)를 운영했고 세계와 사후세계의 기능을 시작하고 감독했다. 우주를 시작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했고 우주의 과정을 시작하고 유지했다. 생명, 죽음, 순환적 갱신을 나타냈고 다시 돌아오는 모든 것에 관한 많은 역할을 가졌다. 시작과 끝, 존재하는 모든 것을 상징하는 우주의 완성자이고 뱀은 아툼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변화를 일으키고 현상을 뒤흔드는 힘을 지닌 존재임을 나타냈고 모든 것들을 포괄했다. 혼돈에서 나오는 창조의 주요 물질이었다. 창조 이전과 이후의 신으로 단순한 태양신에 그치지 않고 지구와 지하세게와 연결되어 있었고 지는 해와 어둠의 신이기도 했다. 끊임없는 변화, 즉 시작과 끝의 상징이었고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있어 가는 곳마다 평화와 평온을 가져다주는 신성한 존재였고 창조적이고 파괴적인 힘이었고 탄생과 죽음, 창조와 파괴, 일출과 일몰 등 삶과 존재의 순환적 성격을 나타낸 흥미롭고도 수수께끼와 같은 많은 특성을 지닌 다방면의 신이었고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생명과 존재의 순환적 면모를 제시했다. 아툼의 자기 창조 원리는 고대 이집트에서 말하는 순환적 재생의 개념과도 연관되었다. 이러한 원리는 언젠가 세계는 혼돈인 에 빠지고 아툼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태어날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으로서 영원히 스스로 재생되는 생명의 본질을 의미했고 이러한 독특한 아툼의 자기창조와 자율적 생성은 다른 신들과 구별시켰다. 석양, 환생, 창조의 신이었기에 그를 향한 숭배에서 내세에 대한 희망은 필수적이었다. 간혹 사자로 묘사되곤 했는데 이는 생명의 순환인 창조와 파괴의 강렬한 힘을 반영한 것이다.[18] 혼돈으로부터 생명의 창조를 상징한다.[19] 신의 내면에 내재한 창조력, 창조에 내재된 원초적 생명력, 뱀과의 연관성(뱀은 재생과 순환적 재생의 상징이었다)과 신의 본성, 창조는 신 안의 통합과 하나이고 존재의 모든 측면과의 상호 연결성, 후손들(아툼의 후손들은 우주의 다양한 요소들을 상징했다.)과의 상호 작용으로 우주 질서를 확립하고 각 신은 우주의 균형과 조화에 기여, 신적 위계 질서에서의 원동기, 창조와 죽음 그리고 재탄생의 순환성, 신적 질서를 유지하는 상호 연결된 관계, 갱신과 재탄생과 관련된 신의 힘, 창조와 갱신의 연속적 순환을 상징했다. 힘과 생명을 나타내는 셉터와 앙크를 들고 있고 모든 통치를 상징하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이중관을 착용했고 창조의 기원을 구현하고 존재만으로 이집트 신화에서 생명과 질서의 시작을 알리는 세계의 탄생을 의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