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000><colcolor=#fff>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 관련 문서 | |
싱글플레이어 | 캠페인 · 등장인물 |
멀티플레이어 | 오퍼레이터 · 맵 · 스코어스트릭 · 특전 명성 |
좀비 모드 | 좀비 모드 · 등장인물 장비류 · 고블껌 · 어그멘트 · 문서 |
장비류 | 장비류 · 총기 개조 · 주무기 · 보조무기 투척 장비 및 특수 능력 |
기타 | 발매 전 정보 · 메달 · 평가 |
1. 개요2. 목록
2.1. 스카웃 펄스 (400/300)2.2. RC-XD (450)2.3. SAM 터렛 (550/500)2.4. UAV (600/550)2.5. 아크 엔젤 런처 (650)2.6. CUAV (700/600)2.7. 보급품 (750/700)2.8. LDBR (800)2.9. 네이팜 공습 (850)2.10. 핸드 캐논 (900)2.11. 감시 터렛 (950)2.12. 헬스톰 (1000)2.13. 워치독 헬기 (1050)2.14. 전략 폭격기 (1100)2.15. 인터셉터 (1150/1050)2.16. A.G.R Mk 1 (1200)2.17. 워 머신 (1300)2.18. HARP (1450/1250)2.19. 공격 헬기 (1600)2.20. 드레드노트 (1700)2.21. 기타
2.21.1. 핵 (30킬)2.21.2. 레드라이트, 그린라이트 (1500)
1. 개요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6의 스코어스트릭을 설명하는 문서.콜드 워에서 바뀌었던 WWII 징발 기초훈련 방식의 스코어스트릭 대신 전통적인 스코어스트릭 방식으로 돌아왔다. 스코어스트릭은 이전작들과 다르게 모던 워페어 리부트 시리즈처럼 한 번 쓰면 전사하기 전까진 다시 재충전할 수 없다. 또한 전작 블랙옵스 시리즈와 다르게 스코어스트릭을 통한 킬로는 다음 스코어스트릭을 위한 점수가 1점도 올라가지 않았다가 시즌 1의 미드 시즌 패치으로 스코어스트릭 킬도 다음 스코어스트릭을 위한 점수에 합산된다. 킬 점수는 스코어스트릭마다 다르다.
스트릭들이 전반적으로 비싸진 편. 단, 내가 직접 적접 사살하지 않아도 킬 어시스트만 해도 100점이 카운팅 된다. 킬들에 자잘자잘하게 추가점수가 붙게 돼서인지 전작과 비교하자면 평균적으로 200점은 올랐으며, 그 흔한 UAV도 기본 600점이라 단순 사살로는 6번을 사살해야 사용할 수 있다. 그만큼 어시스트 6번으로도 똑같이 가능한게 장점.
2. 목록
스코어스트릭 이름 옆에 점수가 두 개 있는 것은 (기본 점수/디스패처 특전 장착 시 점수)이다. 디스패처 특전을 장착하면 비살상 스코어스트릭의 비용이 줄어든다.2.1. 스카웃 펄스 (400/300)
사용자의 미니맵에 근처의 적을 레이더 핑으로 표시합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기본 |
2.2. RC-XD (450)
원격 조종이 가능한 소형 폭발 이동 수단입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5 레벨달성 |
2.3. SAM 터렛 (550/500)
공중 스코어스트릭을 자동으로 타격하는 미사일 터렛을 배치합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33 레벨달성 |
그래도 반응속도는 AI 조종이라 그런지 표적을 찾기만 하면 칼같이 미사일을 쏜다. 후술할 보급품 패키지를 떨궈주는 수송선이 나오면 냅다 쏴서 화물을 이상한데 떨구게 만들 정도.
2.4. UAV (600/550)
공중 정찰 드론입니다. 팀의 미니맵에서 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15 레벨달성 |
11월 5일 패치로 디스패처 특전을 장착했을 때 비용이 500점에서 550점으로 증가하였다.
11월 16일, 잠수함 패치로 어시스트 점수가 15점에서 5점으로 떨어졌다. 이는 패치노트에 적혀져 있지 않은 내용이다. 더 이상 점수벌이 용도로는 써먹을 수 없는 수준이 되었다.
2.5. 아크 엔젤 런처 (650)
원격 조종 로켓을 발사하는 로켓 런처입니다. 탄약 개수 2개.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9 레벨달성 |
미사일 크기가 1인칭 시점에서 보이는 런처보다 크기 때문에 애매하게 좁은곳에서 쏘려다가 자폭하는 웃지못할 상황이 많이 발생한다. 여유 공간을 많이 확보하고 발사하자. 또한, 미사일이 느린만큼 총탄으로도 요격이 쉽다.
2.6. CUAV (700/600)
모든 적의 미니맵을 교란하는 드론을 사용합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17 레벨달성 |
11월 5일 패치로 디스패처 특전을 장착했을 때 비용이 550점에서 600점으로 증가했다.
11월 16일, 잠수함 패치로 어시스트 점수가 15점에서 5점으로 떨어졌다. 이는 패치노트에 적혀져 있지 않은 내용이다. 더 이상 점수벌이 용도로는 써먹을 수 없는 수준이 되었다.
2.7. 보급품 (750/700)
무작위 스코어스트릭이 있는 공중 투하를 호출합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24 레벨달성 |
1월 4일 패치로 스카웃 펄스가 뜨는 확률이 줄어 들었다.
2.8. LDBR (800)
일정 시간 동안 목표 지역에 미사일 폭격을 가합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21 레벨달성 |
1월 4일 패치로 비용이 150점이 줄어드는 파격적인 버프를 받고 자폭피해가 줄어드는 버프를 받았다. 이로인해 주요 거점이나 점령에서 더욱더 공격적인 플레이가 가능해졌다.
2.9. 네이팜 공습 (850)
파일:NapalmStrike_Scorestreak_Background_Menu_BO6.webp | |
폭발성 네이팜으로 폭격을 가합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30 레벨달성 |
2.10. 핸드 캐논 (900)
-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이벤트 해금 |
성능은 문답무용 맞추기만 하면 무조건 한방. 관통 가능한 벽이면 그것도 한 방을 내며, 겹친 적도 다 쓸어버린다. 그런 성능을 끌어내기 위해선 사용자의 에임실력이 받쳐줘야 하기 때문에 운영 난이도는 높은 편. 탄속도 히트스캔급이라 공중 스코어스트릭을 상대로도 맞출 수 있는데, CUAV급 체급만 되도 격추에 4방이나 필요하기 때문에 별 쓸모는 없다.
2.11. 감시 터렛 (950)
전방 범위 내 근처의 적을 감지하고 공격하는 자동 터렛입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12 레벨달성 |
RC-XD 위에 올려 이동식 터렛을 만들 수 있다. 친구가 있다면 시도해 보도록 하자.
1월 4일 패치로 체력과 발사속도가 버프먹었으며 비용도 50점이 감소되었다.
2.12. 헬스톰 (1000)
브레이크 및 부스트 기능이 있는 원거리 미사일과 보조 미사일을 제어합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기본 |
1월 4일 패치로 비용이 하락되었다.
2.13. 워치독 헬기 (1050)
워치독 헬기는 적과 교전하고 적 위치를 핑으로 표시합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기본 |
이런 안습한 모습 때문인지 1월 4일 중간 패치로 버프를 먹었는데, 비용 감소와 함께 가하는 데미지 증가와 명중률 상승 버프를 먹었다.
2.14. 전략 폭격기 (1100)
넓은 목표 지역에 융단 폭격을 가하는 비밀 작전 비행기입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36 레벨달성 |
모던 워페어 2의 스텔스 폭격기 복붙이다보니 살상력이 매우 뛰어나지가 못하다. 맵 끝지점부터 끝지점까지 사거리는 대단한 성능이지만 건물안에 숨어버리면 그만이기에 그렇게 효과적이지 못해서 1~2킬이나 하면 많이 킬한거다. 상대방 입장에선 미니맵에 안보이지만 엄청난 굉음과 함께 등장해서 눈치빠른 플레이어들은 알아서 건물로 숨어들어가기 때문에 킬이 참 힘든 스트릭. 사실 이 스트릭의 제일 큰 단점은 가격으로, 비슷한 폭격 스트릭이지만 꽤 넓은 범위에 폭발까지 시키고 진입까지 방지시키는 네이팜 폭격이 더 가성비면으론 훨씬 훌륭하다.
비용에 비해 너무 성능이 쓰레기였는지 비용이 대폭 감소되는 버프 패치를 받았다.
2.15. 인터셉터 (1150/1050)
전투 지역을 두 번 휩쓸며 적 공중 목표를 제거하는 전투기 제트 편대입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47 레벨달성 |
디스패처 특전을 사용하면 헬스톰과 비용이 동일해지는데 이때 헬스톰을 동시에 들었다면 헬스톰이 워치독 헬기로 자동 장착된다.
11월 5일 패치로 기본 비용이 1250점에서 1150점으로 감소하였다.
2.16. A.G.R Mk 1 (1200)
빠르게 기동이 가능한 원격 조종식 공격 드론 탱크입니다. 기관총 및 유탄발사기로 무장되어 있습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27 레벨달성 |
1월 4일 패치로 이동속도가 버프되었다.
2.17. 워 머신 (1300)
시즌2에서 추가된 스코어스트릭으로 콜옵 전통의 워 머신이 돌아왔다. 이번작에서의 모델은 남아공제 유탄발사기인 PAW-20인데 1999년에 시제품이 나오고 2007년에 양산된게 1990년대 초반부터 나온다.30발을 적재하며 한번 쏠 때마다 3발의 유탄을 쏴서 실질적으로 10번 쏘면 끝이다. 원본 총기가 20mm 직사포탄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어째 화력이 일반 수류탄이나 유탄발사기보다 약한 면이 있어 3발 모두 범위 피해로 명중시킨다해도 죽지 않는다. 그럼에도 사람이 모여있는 곳에 뿌려주면 점수가 우수수 쏟아져내린다.
2.18. HARP (1450/1250)
고고도 정찰기로 미니맵에서 적 위치와 방향을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42 레벨달성 |
아예 공격 자체를 할 수 없거나, 맷집이 단단했던 전작들의 궤도 정찰기, HARP와 다르게 본작의 HARP는 고티어 스코어스트릭 치고는 굉장히 물몸인데, 시그마 2방이면 플레어도 없이 그냥 파괴되었다.
11월 16일 패치로 꽤 단단해졌다. 덤으로 추가 보너스 점수도 너프먹긴 했는데 HARP는 애초에 점수벌이용이 아니기 때문에 큰 타격은 없는편. 그리고 시즌 1중 잠수함 패치로 플레어 1발을 탑재하게 되어 미사일로 격추하려면 3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살생부 이벤트 중에 플레어 뿐만 아니라 내구력 자체에도 한 번 더 잠수함 버프를 받아 프리시즌 당시의 물몸은 생각치도 못할 수준으로 강력해졌다.
2.19. 공격 헬기 (1600)
공격 헬기의 도어 건 터렛을 조종합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45 레벨달성 |
호출시 시점이 헬기의 사격수로 시점이 바뀌면서 미니건을 준비하는 연출이 있으며, 격파당하면 사격수는 균형을 잃어서 마구 회전하는 헬기의 몸체에 겨우 매달려있고, 조종수는 겨우겨우 균형을 유지하려고 하지만 조종수 중 한명이 추가 사격으로 머리를 관통당해 사망하고 이후 폭발해버린다.
딱히 다른 음악이 재생되지 않던 전작들과 달리 모던 워페어 시리즈의 저거넛처럼 사격하는 동안 신나는 락 음악을 들을 수 있다.
2.20. 드레드노트 (1700)
대대적으로 개조된 건십으로 캐논, 로켓포드, 데이지 커터 폭탄 여러 발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 |
<colbgcolor=#000><colcolor=#F86800> 해금 조건 | 54 레벨달성 |
다연장 로켓포, 소구경 기관포, 대구경 기관포로 무장되어 있으며, 무장을 교체하면서 폭격을 쏟아내다가 지속시간이 끝나면 마지막으로 맵 중앙에 데이지 커터 폭탄을 투하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다만 데이지 커터 폭탄은 스트릭이 끝나고 한참 후에 떨어진다.
이번 작에서도 호출시 시점이 건십의 승무원으로 바뀐다. 작전지역에 진입하면서 기기를 조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포격하기 전에 화물칸에 적재된 커다란 데이지 커터 폭탄을 돌아보는 연출이 있으며, 지속시간이 끝나면 승무원이 화물칸 입구로 이동해서 레버를 당겨 데이지 커터를 투하한다. 데이지커터 폭탄은 낙하산이 달려 천천히 비행하다 일정 고도에서 낙하산이 끊기면서 투하된다. 드레드노트가 격추될 경우엔 데이지 커터를 투하하려고 아득바득 이동하지만 결국 데이지 커터의 결박이 헤제되고 기체 천장을 친 뒤, 바닥에 착탄해 건십 내부에서 폭발하는 것으로 끝난다.
1월 4일 패치로 비용 하락 버프를 먹었는데, 아무리 끝판왕 킬스트릭이라지만 너무 비싸서 등장하는 비율이 적은 탓인듯. 덤으로 기체 체력 버프도 먹었다. 버프먹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드레드노트 얻은 유저는 거의 없다
2.21. 기타
2.21.1. 핵 (30킬)
죽지 않고 총기, 수류탄, 근접 공격으로만 30킬을 하면 쓸 수 있는 비밀 킬스트릭. 이전 블랙 옵스 게임들과 달리 타사 시리즈처럼 사용하면 핵을 기폭한 팀이 승리하면서 게임이 끝난다.[2]전작들과 달리 핵이 터지는 순간 시전자를 포함한 전원이 불길에 고통스럽게 타죽는 모션이 추가되었다.
2.21.2. 레드라이트, 그린라이트 (1500)
오징어 게임(시즌 2) 이벤트 기간 동안 활성화되었던 펜타슬론 모드 및 오징어 게임 특집 플레이목록에서만 사용 가능한 스코어스트릭.[1] 캠페인에서는 AH-60L 배틀 호크에 거치된 미니건으로 공격하기도 한다.[2] 깨알 같은 디테일로 비밀번호를 다 누른 다음 핵 호출 버튼을 누르기 전에 약간 망설이는 듯이 뜸을 들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