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51:50

비음

콧소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창법의 종류에 대한 내용은 비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nasal consonant
자음의 분류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s-1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조음 위치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성대 진동 여부 유성음 · 무성음
기식 흐름 여부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s-2
}}}}}}}}} ||
1. 조음 방법2. 기식3. 보편성

1. 조음 방법

/ nasal (stop) consonant[1]

로 기식이 일정 부분 나뉘어서 나는 파열음. 콧소리라고도 하며, 기류의 흐름이 가장 강한 발음이다. 일반적으로 비음 하면 이 조음 방법으로서의 비음을 나타낸다.

한국어에서는 ㄴ([n]~[ȵ]), ㅁ([m]), 받침 ㅇ([ŋ])이 속하며, 일본어의 ん[ɴ], 인도 쪽 언어의 [ɳ], 이 소리들은 코를 막고 소리를 내기 곤란한 소리들이다. 코가 막힌 상태에서 비음을 제대로 발음할 수 없을 때 흔히 '코가 맹맹하다'라고 표현하는데, 예를 들어 '맹맹함'이라는 단어는 코를 막고 발음하면 정말로 맹맹한 소리가 난다. 참고로 자음의 경우 이 상태에서 코맹맹이를 피하게끔 발음하면 유성 파열음이 자동적으로 튀어나온다([n]→[d], [m]→[b], [ŋ]→[g]).

원래는 유성음만 정의되어 있었으나, 근래 들어서는 무성 비음(Voiceless Nasals)도 발견되었다. 한국어에 없으며, 아이슬란드어, 웨일스어, 페로어, 미얀마어, 킬딘 사미어, 유픽어 등에 나타난다. 링크. 사실 일상생활에서 무의식적으로 무성 비음이 자주 나오는데, 예시로 화가 날 때 콧김을 내뿜는 게 바로 무성 비음. 일반적으로 비음을 굳이 유성 비음이라고 지칭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은데, 이것은 세계적으로 무성 비음이 꽤나 희귀한 발음이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ㅁ은 대충 m으로 맞추는데, 어두 비음은 비음성이 약해져서 다른 언어 화자들에게는 어두 ㅁ이 b로, 어두 ㄴ이 d로 들리는 일이 잦다고 한다(관련 논문, 관련 기사, 관련 동영상). 이 현상은 영어 화자, 일본어 화자, 중국어 화자 등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고 하는데, 그만큼 한국어가 특이하게도 유성 자음과는 거리가 멀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는 반대로 말하면 한국어 화자들이 외국어를 배울 때에는 비음은 의식적으로 강하게 발음해야 현지인들이 제대로 알아듣는다는 뜻이다.[2] 이때 어두 초성의 ㅁ, ㄴ을 [m͊], [n͊](~ 가운데에 /를 표시한 기호)와 같이 표기하기도 한다.

한자문화권 중 중국 남부에서 쓰이는 민남어(특히 복건 방언)나 일본 한자음 중 한음(漢音)에서는 본래 중고음에서 비음 발음이 났던 한자음이 같은 성격의 유성 파열음으로 발음되는데, , , 의 발음이 각각 [m], [n], [ŋ]이 아닌 [b], [d], [g]로 시작하는 것이 그 예이다. 이것은 비음이 같은 성격의 유성 파열음과 비교적 가까운 관계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하나의 사례이며, 한국어에서 어두 ㄴ, ㅁ이 외국인들에게 [n], [m]이 아닌 [d], [b]로 들리는 현상을 설명해준다.[3] 이와 비슷하게 무성 파열음이 비음의 영향을 받아 유성음화되는 현상도 일어나는데, 일본어의 유성 파열음은 본래 무성 파열음 앞에 온 비음의 영향을 받아 유성음화되어 그것이 정식 음운이 된 사례이며, 일본어를 연구하는 학자들에 따르면 상대 일본어(上代日本語)에서는 유성 파열음 자체는 없었고,[4], 고대 일본어에서는 유성음에 비음이 섞여 불완전하게 발음되었다가 이후[5] 완전한 유성음으로 바뀌었다고 한다.[6]

현재 나무위키에는 자음에 대한 문서들이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가 아닌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들로 연결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기식



로 공기의 흐름이 일정 부분 나뉘어서 나는 소리. 콧소리라고도 하며, 기류의 흐름이 가장 강한 발음이다. 일반적으로 비음 하면 1번 문단의 '비 파열음'을 나타낸다.

그 종류는, 상술한 위의 '비 파열음'과 더불어, 모음에서 코로 기식을 나눠 발현하는 비모음(Nasal Vowel) /ã/, /ɑ̃/, /ɐ̃/, /ẽ/, /ɛ̃/, /ø̃/, /œ̃/, /ĩ/, /ɨ̃/, /õ/, /ɔ̃/, /ũ/, /ʉ̃/ 등과, 비음화된 흡착음 음소인 '비 흡착음', 그리고 비음화된 마찰음 음소인 '비(음화 구강) 마찰음', 그리고 입안에 폐쇄를 만들어 코로 일부 공기를 내보내 마찰하는 '비강 마찰음' 등이 있다.

비모음은 프랑스어, 포르투갈어로망스어군에서 주로 볼 수 있다. 폴란드어, 과라니어 등 일부 타 어군에도 비모음이 있다. 한글로는 표기할 수 없어 ㅇ 받침을 붙일 수밖에 없다.[7][8][9]

3. 보편성

모음파열음은 모든 자연 언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음은 거의 모든 언어에 존재하지만, 극소수의 언어에는 비음이 없다. 비음이 없는 언어로 부건빌 지역의 로토카스어 중부 방언(Central Rotokas)이 있다.


[1] 그러나 보통은 비음, nasal이라고까지만 한다.[2] 흔히 한국인들이 '외국인 느낌'이 난다고 느끼는 발음들이 이런 것들인데, 예를 들어 '네'를 발음할 때 "(은)네에~"처럼 앞에 ㄴ 소리를 강하게 넣거나, '말'을 발음할 때 "(음)마알~"과 같이 앞에 ㅁ 소리를 강하게 넣는 것들이다. 묘하게 서양권 영화나 드라마의 한국 더빙판이 떠오른다면 바로 그 소리다. 한국 성우들이 원판 배우들의 음색을 재연하려다 보니 그들 언어들의 특징인 강한 비음성이 나타나 서양 작품의 한국 더빙판에서 나타나는 고유한 특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외국어를 배우는 한국인 입장에서는 이러한 느낌이 나게끔 의식적으로 (영화 속 인물 연기를 한다고 생각하고) 발음해야 외국어의 비음을 제대로 낼 수 있다는 뜻이다.[3] 실제로는 한자음 표기 이외에는 쓰인 적이 없었지만, 옛이응()이 쓰이던 때에 만약 어두에 옛이응이 쓰였다면 옛이응이 ŋ발음이었으므로 외국인이 들었다면 ŋ이 아닌 g로 들렸을 것이다.[4] #[5] 정확한 시기는 학자들마다 차이가 있다. 헤이안 시대부터 이미 완전한 유성음으로 발음되었다는 설도 있고 당시 조선, 중국, 포르투갈 등에서 일본어를 한글, 한자, 로마자전이(転移)한 기록를 토대로 에도 시대 초기까지도 비음이 섞인 불완전한 형태로 발음되었다는 설도 있다.[6] 헤이안 시대 행에서도 어두(語頭)에 약간이나마 희미한 'd'소리가 날때도 있을것이다.#[7] 현대 표준 본토 프랑스어의 비모음은 발음 기호상 앵(/ɛ̃/), 욍(/œ̃/)이 실제로 들어보면 둘 다 처럼 들리며, 반대로 앙(/ɑ̃/)은 처럼 들리듯 발음 표기와 실제 발음에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있지만, 이는 발음 표기가 정해진 이후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모음 발음이 변하면서 생긴 현상이며, 원칙으로 정한 발음 표기가 실제 발음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한국어에도 많이 있는 보편적인 현상이라 딱히 비모음이나 발음 기호 자체의 문제는 아니다. 발음이 변했다면 왜 그에 맞춰 발음 기호를 고치지 않았느냐 할 수 있는데, 당장 앞서 언급된 예시들부터가 프랑스 본토에 국한된 발음 변화이며,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모든 지역에서 저 발음 기호들을 저렇게 발음하지는 않듯이,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는 국제 언어인 프랑스어의 특성상 특정 지역의 발음 변화만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참작 요인이 있다.[8] 참고로 한국어 종성 ㅇ(/ŋ/)은 비파열음의 일종인 연구개 비음이다.[9] 한편 일본어의 도 이 발음으로 구사된다는 의견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