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의 분류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
조음 위치 |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 |
조음 방향 |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 |
성대 진동 여부 | 유성음 · 무성음 | |
기식 흐름 여부 |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
1. 개요
齒音 / Dental consonant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이다.
잇소리라고도 부르며, 위 치열 사이에 혀 끝을 끼워서 내는 소리다. 치경음과 치음의 중간인 치치경음(Denti-alveolar consonant)이 있는데 치경음 보다 둔탁한 느낌이다.
음소 자체는 많지 않지만, 흔히 '번데기 발음'이라고 불리는 [θ]과 '배꼽 발음'[1] 이라고 불리는 [ð]의 존재감이 매우 크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수많은 원주민 언어가 치음과 치경음과 권설음을 모두 구별한다. 보통 d, t, n를 치음이면 dh, th, nh라 쓰고 권설음이면 rd, rt, rn라고 쓴다.
2. 조음 방법
2.1. 치 비음
[ruby(치 비음, ruby=Dental Nasal)] | |
n̪̊ n̪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비음 |
|
혀 끝을 치열 사이에 끼우고 코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아직 이 음을 표기하는 기호가 없으므로 유성 치경 비음 기호 아래쪽에 Π[2]를 붙인 형태로 사용중이다.
영어에서 tenth나 in the rain처럼 치 마찰음 ([θ]또는 [ð])앞에 유성 치경 비음 [n]이 올 경우 이 음으로 변화한다.
스페인어에서 이 발음이 나타난다.
2.2. 치 파열음
[ruby(치 파열음, ruby=Dental Stop)] | |
t̪ d̪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파열음 |
|
(d̪)
혀 끝을 치열 사이에 끼우고 빵 터트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아직 이 음을 표기하는 기호가 없으므로 치경 파열음 기호 아래쪽에 Π를 붙인 형태로 사용중이다.
일부 영어 화자들이 아래에 설명할 마찰음 대신 이것을 발음하기도 한다.
러시아어의 т, д는 사실 이 발음이다.
힌디어, 네팔어의 त/t̪/, थ/t̪ʰ/, द/d̪/, ध/d̪ʱ/에서 이 소리가 난다.
발음 방법: 혀를 치열 사이에 끼우고 t, d를 발음한다. 또는 만약 치 마찰음(th) 뒤에 t 또는 d가 후행할 경우 이 발음이 변이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것은 설단 치 파열음으로 설첨 치 파열음(t̪̺)이라는 것도 있는데 혀끝을 윗니에 대고 t, d를 발음한다.
2.3. 치 파찰음
[ruby(치 파찰음, ruby=Dental Affricate)] | |
t̪͡θ d̪͡ð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파찰음 |
|
(d̪͡ð)
조음 방법은 혀를 치열 사이에 끼우고 치경 파찰음 비슷한 소리를 낸다.
- 이때 s부분은 치 마찰음처럼 발음해준다. 안 그러면 s가 치 치찰음이 될 수 있으므로 발음이 치찰음화될 수 있다.
- 치 파열음을 치 마찰음 비슷한 소리로 발음한다고 생각해도 된다.
이 음가는 뉴욕의 영어 화자들이 'think'를 발음할 때의 'th' 발음이다.
여담으로 이 음가는 비 치찰 치 파찰음이고, 치찰 치 파찰음은 무성음은 t̪s̪, 유성음은 d̪z̪로 표기한다.
2.4. 치 마찰음
th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소 기호 Th에 대한 내용은 토륨 문서 참고하십시오.[ruby(치 마찰음, ruby=Dental (Non-sibilant) Fricative)] | |
θ ð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마찰음 |
|
(ð)
'θ'는 그리스 문자로 세타(theta)라 부르며[3] 'ð'는 에드(eth, 혹은 edh)란 명칭으로 불린다.
혀 끝을 치열 사이에 살짝 끼우고 그 틈 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는 소리다.
발음 방법: 영어의 th를 발음한다. [ð]는 여기서 성대를 울려 소리내 준다.참고영상
- 영어
한국어에는 없지만 영어의 이중문자 'th'가 이 음이기 때문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이다. 순치 마찰음(/f/, /v/)과 함께 영어 입문자들이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벽으로 작용하지만 발음 원리를 익히면 빠르게 익힐 수 있다. 그런데 영어에서 [t], [d]나 [k], [ɡ]와 같은 발음은 유성음인지 무성음인지 표기로도 확실히 적어주는 것과는 달리 이 발음에 대해서는 유성이든 무성이든 'th'로 적는다. thin, think의 th는 무성음이고, they, though의 th는 유성음이다. 미국식 영어의 경우 상기된 조음법과 동일하나, 영국식 영어 중 용인발음의 경우 치열 사이가 아닌 앞니 뒤에서 조음된다는 차이가 있다.
만약, 영어의 [θ], [ð]의 조음이 익숙지 않다면 편법으로 [f], [v] 로 조음해도 크게 상관은 없다.[4] 영어권 일부 방언, 특히 영국의 코크니 방언[5]에서는 [θ], [ð]를 [f], [v]로 조음한다. 러시아어 또한 그리스 문자 세타(Θ, thêta)를 키릴 문자 체계로 도입할 때 해당 문자의 음소를 /f/로 대체하여 피타(Ѳ, ѳита́ / fitá)로 썼다. 이후 1918년 10월에 철자법 개정을 거쳐 대부분의 피타는 에프(Ф)로 대체되었다. 원래 슬라브어권 언어에는 독립된 자음으로서 [f\] 발음이 아예 없다. [v\]가 무성음화될 때만 변이음으로 등장할 뿐이다. [t\]가 아니라 [θ\]로 받아들인 이유는 도입 당시 그리스어에서도 [θ\]로 발음되었기 때문이다. 홍콩 영어,[6] 아랍어 일부 방언[7]에서도 일부 음소를 이런 식으로 발음한다. 비단 러시아어뿐만 아니라 영어의 본고장인 영국에서도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보면 발음하기 까다로운 소리인 것은 만국 공통인 듯. 영어의 엄청난 존재감에 묻히는 사실인데, 애초에 이 치 마찰음이 포함된 언어 자체가 아주 드물다.
- 외래어 표기와 발음
개화기[8]와 일제강점기 때에는 [θ]를 ᅊ로 표시하기도 했다. (또는 ᄽ로 표기할 수도 있겠다.) 1986년 이전까지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무성 치 마찰음 [θ]든 유성 치 마찰음 [ð]든 모두 ㄷ으로 적도록 규정했다. [θ]로 발음되는 Thatcher(대처)나 MacArthur(맥아더)를 ㄷ으로 적은 것은 그 때문이다. 지금도 유성 치 마찰음[ð]는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ㄷ(치경 파열음, [d])으로 적고 있다. 반면 무성 치 마찰음[θ]은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ㅅ으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이긴 한데... 어째서인지 개개의 단어를 사전에 등재할 적에는 그러한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9]
실제 일상생활에서 언중들이 무성 치 마찰음[θ]을 표기하는 것을 보면 혼란스럽기 짝이 없다. Smith(스미스)처럼 ㅅ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긴 하나, 보통 ㅆ으로 적는 경우가 가장 많고, 앞서 말한 대처나 맥아더처럼 ㄷ으로 표기하던 이전 외래어 표기법이 관습으로 남아 유지되는 경우도 있으며, 심지어 thank you(땡큐)처럼 ㄸ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언중 사이에서 th를 ㅆ로 적는 현상이 생긴 이유는 s를 적을 때 쓰는 ㅅ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한화학회는 메테인에서 ㅌ로 적는 것 이외에 ㅆ로 표기하는 것을 밀고 있다. 상술했듯 언중은 어감이 좋은 것을 선호하므로 ㅌ, ㄸ, ㅅ, ㅆ 중 어감이 좋은 쪽이 언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이 많다. 가령 Thinking의 경우는 '띵킹'으로 ㄸ를, Thanos는 '타노스'로 ㅌ를, Smith같은 것은 '스미스'로 ㅅ를 사용하는 등 어감이 가장 좋은 쪽이 언중에서 자주 채택된다.
의외로 ㅅ발음과 θ발음을 구분 잘 못하게 말하는 사람이 제법 많다.[10] 한국 연예인 노홍철이나, 미국인 프로레슬러 잭 스웨거 등이 그런 사람. 들어보면 ㅅ발음이 약해서 놀림받는 일이 많다. 스페인어 같은 데서는 특정 상황에서 두 음이 서로 교체할 정도로 비슷한 음으로 여기기도 하다. 인터넷 커뮤니티나 무한도전 등의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th를 한글 자음처럼 빌려서 표기하기도 한다. 유성음인 ð의 발음과 표기에 관해서는 the 문서를 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아랍어를 한글로 옮겨적을 때는 대다수의 한국인들이 아랍어에 생소한 점과 국립국어원이 아랍어의 한글 표기 규정을 정하지 않은 문제가 맞물려, 로마자 표기를 오독해 무성 치 마찰음[θ]을 ㅌ으로 옮기는 일이 상당히 자주 일어난다. 관련 사례로 바트당, 후티 등의 예가 있다.
아학편 등에서는 외래어에서 나타나는 [ð]를 표기하기 위하여 ᅂ를 썼다.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의 모든 s와 z가 이 소리가 난다.
- 버마어
버마어 th도 이 소리. 다른 동남아 언어와 다르게 유기음 t는 ht라고 쓰니 주의하자.
- 스페인어
본토 스페인어의 c(e, i 앞), z가 θ 발음이 난다. 중남미에서는 그냥 [s]라고 발음한다. 또한 /d/가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변이음으로 [ð]로 소리나는 현상이 있다.
- 일본어
일본에서는 이 음을 표기할 때, 대부분 θ은 さ행(무성 치경 마찰음, [s]), ð은 ざ행(유성 치경 마찰음, [z])으로 적는다. 일본어에는 원래 이 발음이 없지만 야마나시현의 나라다 마을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し와 す 그리고 じ와 ず를 이렇게 발음한다. (ち와 つ 그리고 ぢ와 づ는 권설음화된다.) 이런 특이한 발음 체계가 성립된 배경은 요츠가나 참고. 아래는 표준 일본어와 나라다 방언의 し와 す 그리고 じ와 ず 발음 비교. 덕분에 2ch등의 커뮤니티에서 일본인들중에 영어발음을 가장 잘 하는 사람이 나라다 마을출신 주민들이라는 농담도 있다.구분 표준 발음 나라다 방언 し [ɕi] [θi] す [sɯ̹] [θɯ̹] じ [d͡ʑi]~[ʑi] [ði] ず [d͡zɯ̹]~[zɯ̹] [ðɯ̹]
- 덴마크어
덴마크어에서는 철자 d가 모음 사이에 끼이거나 단어 끝에 오면 유성 치 마찰음으로 소리나는데, 그 음색이 매우 기묘하다.
- 아랍어
마찰음(ث) ,(ذ), 인두음화된 마찰음(ظ)
ظ는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들도 익히기 어려워하는 아랍어 음가 중에서도 발음이 가장 어렵기로 유명하다.[11] /ð/를 발음하되, 성대를 막아서 Z에 가깝게 소리낸다. 까다로운 건 아랍인들도 마찬가지인지 일부 방언에서는 v로 발음하기도 한다.
- 그리스어
Δ(δ), Θ(θ)가 각각 [ð], [θ] 발음이다. 고대에는 각각 [d], [tʰ] 발음이었지만 현대에 와서 치 마찰음으로 바뀌었다.[12]
2.4.1. 치 치찰음
[ruby(치 치찰음, ruby=Dental Sibilant)] | |
s̻̪/s̟ z̻̪/z̟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치찰음 |
|
2.5. 치 접근음
[ruby(치 접근음, ruby=Dental Apprixomant)] | |
ð̞/ɹ̟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접근음 |
|
혀를 치열 사이에 두고 마찰시키지 않을정도로 내는 소리이다. 치 마찰음 앞에 치경 접근음이 올 때 이 발음이 되기도 한다. 덴마크어의 /ð/는 접근음으로 소리나는데 설측 접근음처럼 들리기도 한다.
ɹ̟̺는 공식 기호가 아니며 쓰기 편하게 하기 위한 기호다.
2.6. 치 탄음
[ruby(치 탄음, ruby=Dental Tap)] | |
ɾ̪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탄음 |
|
우즈베크어에 존재하는 음가다. /ʝɒ̜mˈʁ̟ɨɾ̪/
2.7. 치 전동음
[ruby(치 전동음, ruby=Dental Trill)] | |
r̪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전동음 |
|
조음 방법: 혀를 치열 사이에 끼우고 혀를 떨어준다. 혀가 떨린다면 이때 성대를 울리면 된다. 발음을 연습하겠다면 우선 치경 전동음[r]을 마스터하고 난 뒤에 연습하자.
루마니아어에 음가가 존재한다. ['r̪e̞pe̞d̪e̞] 한국어로 치면 대충 ㄹㄹㄹ레뻬데같은 소리가 난다.
2.8. 설측 치 접근음
[ruby(설측 치 접근음, ruby=Dental Lateral Approximant)] | |
l̪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1c1d1f> 치음 |
조음 방향 | 설측음 |
조음 방법 | 접근음 |
|
'thl'처럼 다른 치음에 설측 치경 접근음이 선/후행하면 변이음으로 나올 것이다.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 마케도니아어와 덴마크어 그리고 토다어 등등의 언어에 존재.
2.9. 설측 치 마찰음
[ruby(설측 치 마찰음, ruby=Dental Lateral Fricative)] | |
ɬ̪ ɮ̪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설측음 |
조음 방법 | 접근음 |
|
(ɮ̪)
'Wahgi'라는 언어에 존재한다.
2.10. 치 내파음
[ruby(치 내파음, ruby=Dental Implosive)] | |
ɗ̪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내파음 |
|
이 음가를 쓰는 언어는 없지만[13], 어쨌든 조음은 된다.
2.11. 치 흡착음
[ruby(치 흡착음, ruby=Dental Click)] | |
ǀ / ʇ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흡착음 |
|
연구개를 닫을때 |
(k̚͜ǀ) (g̚͜ǀ̬) |
구개수를 닫을때 |
(q̚͜ǀ̬) (ɢ̚͜ǀ̬) |
한국어에 음소로는 존재하지는 않지만, 없다고 하기도 애매하다. 사실 흡착음은 혀를 차는 소리이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자주 들을 수 있으며, 보통 의성어 '쯧'으로 표기된다. 때문에 뭔가 상대방에게 하여금 거북함을 주는 소리가 난다. ㅉㅉㅉ로 이 소리를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혀를 차는 소리는 경구개 흡착음이 더 많으며, 이 소리로 혀를 차는 사람은 적다.일단 [ǀ]가 공식적으로 지정된 기호지만, 설측 치경 접근음([l])이나 분절 기호 등 다른 기호와 혼동될 여지가 많기 때문에, 1989년 이전의 공식 기호였던 [ʇ]도 꽤 자주 보인다. 간혹 [/]처럼 기울여서 쓰기도 한다.
발음 방법: 혀가 이에 닿게 혀를 찬다.[14]
대응하는 폐장기류음은 [t̪͡θ]이다.
3. 양치음
Bidental consonant두 이로 조음하는 소리로 주로 언어 병리학에서 다룬다. 편의상 치음 문서에 쓴다.
3.1. 양치 충격음
[ruby(양치 충격음, ruby=Bidental Percussive)] | |
ʭ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치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충격음 |
|
확장형 기호로, 이빨을 딱딱 부딪히는 소리이다. 추워서 턱이 덜덜 떨릴 때나, 음식을 씹다가 이빨이 부딪혀 소리가 나기도 하는 등, 의외로 실생활에서 많이 나는 소리이다. 다만 언어적인 요소로 쓰이는 지는 불확실하다. 한국어의 경우, 고모음인 ㅣ, ㅡ 발음을 할 때 종종 이 소리가 난다. 두 이가 부딪칠 정도로 입을 닫기 때문이다.
자면서 이 소리를 내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한글로는 의성어 '딱딱'으로 표현된다. 흔히 '틀니딱딱' 이라는 말의 '딱딱'도 이 소리를 표현한 것이다.
3.2. 양치 마찰음
[ruby(양치 마찰음, ruby=Bidental Fricative)] | |
h̪͆ ɦ̪͆ | |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양치음 |
조음 방향 | 구분 없음 |
조음 방법 | 마찰음 |
|
(ɦ̪͆)
이 소리는 사실 많은 언어에 분포하는 소리는 아니다. 아디게어의 방언에 존재한다고 한다.
4. 관련 문서
[1] 돼지꼬리발음 이라고도 불린다.[2] 치아를 사용함을 뜻하는 기호.[3] 고전 그리스어에서 세타는 무성 유기 파열음 [th\], 즉 한국어의 'ㅌ' 발음으로 발음했으나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영어의 무성음 th처럼 발음한다.[4] f, v가 아니라 한국인들처럼 ㄸ, ㄷ에 가깝게 발음하는 원어민들도 꽤 있다.[5] 뭔가 조폭들이 쓸 것 같은 말투. 런던 노동자층 말투다.[6] /θ/를 /f/로 발음한다. 단, /ð/는 /v/가 아닌 /d/로 발음한다. 광동어에는 /v/ 음가가 없기 때문이다.[7] 정확히는 ث(타) ,ذ(달), ظ(다/좌)[8] 아학편이 이 시기 때 쓰였으며 치 마찰음(/θ/)을 ᅊ로 표기했다.[9] 대표적으로 멘톨(미: /menθɔːl/, /menθɑːl/, 영: /menθɒl/)의 경우 영어식으로 읽는다면 외래어 표기법으로 보나 언중들의 언어습관으로 보나 멘솔이 맞지만, 멘톨로 써야 한다. 물론 menthol의 영어 발음을 한글로 옮기면 멘솔이 맞긴 한데 이것 마저도 정확히는 멘설 혹은 멘살로 표기해야 정확할 것이다. 다만 이 단어는 독일어에서 왔다. 그러므로 표기법도 독일어 발음인 '멘톨'인 것이다.[10] 이 경우 비(非) 치찰 치경 마찰음[θ̱]이나 치 치찰음[s̪]으로 발음하는 것일 수도 있다.[11] 이 때문에 아랍어의 별명 중 하나가 'ظ의 언어'이다.[12] 현대 그리스어에서 /d/ 발음은 ντ가 맡는다.[13] 극히 드물게 치음 뒤에 치경 내파음이 후행하면 변이음으로 나올 수는 있겠다.[14] 이 때 혀가 이 밖으로 나와야 한다. 안나오면 그건 경구개 흡착음이다. 실제로 치 흡착음과 경구개 흡착음은 미묘한 차이가 있다.[15] 치음을 일반인들에게도 잘 알려지게 한 대표적인 인물들. 노홍철과 권상우 둘 다 'ㅅ' 발음을 잘 못해서 'th'발음이 자주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