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06 11:37:01

쿠바 대통령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from 240deg at 26% 50%, #cf142b 60deg, transparent 60deg), linear-gradient(to bottom, #002a8f 10%, #fff 10%, #fff 90%, #002a8f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f142b> 상징 국기 · 국장 · 바야모 행진곡
역사 역사 전반 · 쿠바 혁명
정치·치안·사법 쿠바 공산당 · 쿠바 대통령 · 쿠바 총리
외교 외교 전반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경제 경제 전반 · 쿠바 페소
국방 쿠바군
문화 문화 전반 · 쿠바 요리 · 관광 ·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 · 쿠바 영화 · 시가 · 스페인어 · 타이노어
인물 아투에이 · 호세 마르티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체 게바라
지리 아바나 · 관타나모(관타나모만) · 쿠바섬
민족 쿠바인 · 쿠바계 미국인 · 타이노인 · 미국계 쿠바인 · 한국계 쿠바인
}}}}}}}}} ||

파일:쿠바국가평의회의장기.svg
쿠바 대통령기

1. 개요2. 특징3. 목록

1. 개요

쿠바국가원수로 공식 명칭은 '쿠바 공화국 대통령(Presidente de la República de Cuba)'이고 약칭은 '대통령(Presidente)'이다.

1959년부터 수상으로 집권한 피델 카스트로가 1976년부터 기존의 수상(Primer ministro)과 대통령(Presidente)의 권한을 합친 지위인 국가이사회 위원장 겸 각료이사회 위원장(Presidente del Consejo de Estado y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을 신설해 재임했다.[1] 쿠바 혁명 후 대통령직이 바로 폐지된 것이 아니라,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토라도를 거쳐 1976년 그 권한이 국가이사회 위원장으로 넘어간 것이다. 이 직위는 2019년 신헌법을 통해 폐지되었고 기존의 국가원수 명칭을 환원하였다.

쿠바의 공용어인 스페인어로 'Presidente'는 자본주의 체제 시절의 대통령직, 공산혁명 후 카스트로 시대의 국가이사회 위원장직(각료이사회 위원장직 겸직), 2019년 신헌법에 따라 신설된 대통령직 셋 다 해당하는 말이다. 스페인어 'Presidente'는 대통령, 주석, 위원장 등에 모두 해당하는 표현이다. 한자문화권의 경우 중국, 북한, 베트남 등의 공산권에는 현 쿠바의 국가원수직을 공산권에서 선호하는 번역어인 국가주석으로 부르고 있지만, 대한민국에서는 대통령과 주석을 혼용하다가 2024년 쿠바와의 수교 이후 외교부에서 택한 명칭인 대통령으로 칭하는 경우가 많다. #

현 쿠바 대통령은 미겔 디아스카넬이다.

2. 특징

쿠바의 입법기관인 인민주권민족회의에서 선거하며, 쿠바군을 통솔하고 내각수상정부각료들을 소집할 권한을 갖는다.

3. 목록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2bd, #0072bd 20%, #0072bd 80%, #0072bd);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토마스 에스트라다 팔마 호세 미겔 고메스 마리오 메노칼 알프레도 이 알폰소
<rowcolor=#ffffff> 제5대 (임시) (임시) 제6대
헤라르도 마차도 알베르토 이 프란치 카를로스 마누엘 케사다 라몬 그라우 산마르틴
<rowcolor=#ffffff> (임시) (임시) (임시) (임시)
카를로스 에비아 마누엘 마르케스 스털링 카를로스 멘디에타 호세 비나헤라스
<rowcolor=#ffffff>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미겔 마리아노 고메스 페데리코 라헤도 브루 풀헨시오 바티스타 라몬 그라우 산마르틴
<rowcolor=#ffffff> 제11대 (임시) (임시) 제12대
카를로스 소카라스 풀헨시오 바티스타 안드레스 도밍고 모랄레스 델 카스티요 풀헨시오 바티스타
<rowcolor=#ffffff> (임시) 제13대 제14대
카를로스 마누엘 피에드라 마누엘 레오 오스발도 토라도 (1976년 대통령직 폐지)
<rowcolor=#fff> 국가이사회 위원장(1976~2019)
<rowcolor=#fff> (2019년 대통령직 재설치)
<rowcolor=#ffffff> 제15대*
미겔 디아스카넬 }}}
* : 2019년 10월 10일까지 국가이사회 위원장
}}}}}}


[1] 우연히도 국가원수와 정부수반 모두 피델 카스트로가 15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