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왕립학회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7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윌리엄 브롱커 | 조지프 윌리엄슨 | 크리스토퍼 렌 | 존 호킨스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시릴 위체 | 새뮤얼 피프스 | 존 본 | 토머스 허버트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로버트 사우스웰 | 찰스 몬태규 | 존 소머스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8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존 소머스 | 아이작 뉴턴 | 한스 슬로언 | 마틴 폴크스 |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조지 파커 | 제임스 더글러스 | 제임스 버로 | 제임스 웨스트 |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제임스 버로 | 존 프링글 | 조지프 뱅크스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조지프 뱅크스 | 험프리 데이비 | 데이비스 길버트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오거스터스 프레더릭 | 스펜서 콤프턴 | 윌리엄 파슨스 | 존 로츨리 |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에드워드 사빈 | 조지 비델 에어리 | 조지프 돌턴 후커 |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토머스 헨리 헉슬리 | 조지 스토크스 | 윌리엄 톰슨 | |||||
제37대 | 제38대 | ||||||
조지프 리스터 | 윌리엄 허긴스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
윌리엄 허긴스 | 존 윌리엄 스트럿 | 아치볼드 게이키 | 윌리엄 크룩스 |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
조지프 존 톰슨 | 찰스 S. 셰링턴 | 어니스트 러더퍼드 | 프레더릭 G. 홉킨스 |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
윌리엄 헨리 브래그 | 헨리 핼릿 데일 | 로버트 로빈슨 | 에드거 에이드리언 | ||||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제53대 | ||||
시릴 노먼 힌셜우드 | 하워드 플로리 | 패트릭 블래킷 | 앨런 호지킨 | ||||
제54대 | 제55대 | 제56대 | 제57대 | ||||
알렉산더 R. 토드 | 앤드루 헉슬리 | 조지 포터 | 마이클 아티야 | ||||
제58대 | 제59대 | ||||||
에런 클루그 | 로버트 메이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1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제59대 | 제60대 | 제61대 | 제62대 | |
로버트 메이 | 마틴 리스 | 폴 너스 | |||||
<rowcolor=#fff> 제63대 | |||||||
}}}}}}}}}}}} |
<colbgcolor=#ba0c2f><colcolor=#ffffff> PRS 제3대 왕립학회장 크리스토퍼 렌 Christopher Wren | |
| |
이명 | 크리스토퍼 렌 경 Sir Christopher Wren KBE[1] FRS[2] |
출생 | 1632년 10월 30일 |
잉글랜드 왕국 윌트셔 이스트노일 | |
사망 | 1723년 3월 8일 (향년 90세)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런던 | |
학력 | 옥스퍼드 대학교 워담 컬리지 (라틴어, 수학, 자연과학 / B.A., 1650년–1651년) 옥스퍼드 대학교 워담 컬리지 (수학, 자연과학 / M.A., 1651년–1653년) 옥스퍼드 대학교 올 소울즈 컬리지 (생물학, 천문학 / 연구원, 1653년–1657년) |
직업 | 건축가,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교수, 정치인 |
재임 기간 | 제10대 왕실건축작업감독관 |
1669년–1718년 | |
제3대 왕립학회장 | |
1680년–1682년 | |
영국 서민원 의원 | |
1685년–1702년 | |
부모 | 부 대(大) 크리스토퍼 렌 모 메리 콕스 |
배우자 | 페이스 코길 (1669년 결혼, 1675년 사별) 제인 피츠윌리엄 (1677년 결혼, 1680년 사별) |
자녀 | 길버트 렌 (아들, 1672년–1674년) 크리스토퍼 렌 (아들, 1675년–1747년) 제인 렌 (딸, 1677년–1702년) 윌리엄 렌 (아들, 1679년~?) |
종교 | 성공회 (잉글랜드 국교회) |
지역구 | 플림튼에리 (1685년–1687년) 뉴윈저 (1690년, 1689년) 웨이머스 & 멜컴레지스 (1701년–1702년) |
의원 선수 | 4 |
묘지 | 세인트 폴 대성당 |
1. 개요
영국의 건축가,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 교수, 그리고 정치인이다.2. 건축가로서의 업적
그는 영국 르네상스/바로크 건축의 지도자로, 그의 고전주의를 기반으로 독창적인 수법을 섞은 작품은 영국 건축의 규범이 되었다. 그는 런던 대화재 이후 불타버린 런던을 재건하기 위한 총책임자로 선정되었으며, 대표작인 세인트 폴 대성당을 포함하여 런던에 있는 53개의 교회들을 설계한 것으로 유명하다.렌의 건축학적 사상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세인트 폴 대성당 문서 참고.
3. 과학자로서의 업적
렌은 학자로서도 굉장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당대 존경받는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고, 다양한 과학적 분야- 특히나 의학 쪽에 재능을 보였다. 학생 시절 윌리엄 하비의 혈액순환설에 매료된 렌은, 훗날 은사의 조수로 일할 때 개의 혈액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을 했다.[3] 또한 그는 비장 절제술의 대가여서, 갈레노스의 사체액설을 실험적으로 해체하는 데에도 이바지했다.렌은 왕립학회의 창립 회원이기도 하다. 왕립학회가 결성된 때 자체가 그의 1660년 천문학 강의 때였다. 훗날 그는 왕립학회의 회장으로까지 취임하게 된다.
4. 여담
1673년 기사작위를 수여받았다.매우 장수했다.(향년 91세) 현대의 기준으로도 상당히 오래 산 편인데, 이 사람은 바로크 시대 사람이니 말 다 했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