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08:00:43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

키예프급 항공모함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12px-Naval_Jack_of_the_Soviet_Union.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함 <colbgcolor=#fefefe,#191919>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순양전함 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키로프급
순양함 순양함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프로젝트 65형 순양함|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순양함|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84형 순양함|프로젝트 84형]], [[소형 경순양함 계획|소형 경순양함]], [[자이틀리츠(중순양함)|자이틀리츠]]배상, 어드미럴 마카로프배상, 케르치배상
미사일 순양함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프로젝트 1126형 순양함|프로젝트 1126형]], 크레스타급, 카라급, 키로프급, 프로젝트 1165형, [[프로젝트 1080형 순양함|프로젝트 1080형]], 슬라바급, 프로젝트 11960형, 프로젝트 11641형, 프로젝트 1293형
대잠 순양함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구축함 구축함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대잠 구축함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호위함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게파르트급 초계함|프로젝트 11661형]]
초계함 소형 미사일함 (МРК)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사란차급
소형 대잠함 (МПК)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소형 함포함(Мак) 야즈급
경비정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모니터함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함포정 쉬멜급
어뢰정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대잠정 무레야급, S·O-1급
미사일 고속정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항공모함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오렐급]],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울리야놉스크급]]
상륙함 강습상륙함 [[프로젝트 11780형 강습상륙함|프로젝트 11780형]]
대형 상륙함(БДК)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중형 상륙함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소형 상륙함(МДК)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공기부양정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LCU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기뢰함 대양 소해함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기본 소해함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연안 소해정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추적유도함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통합보급함(ККС) 베레지나급
급유함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고속 및 특수급유함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급탄함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위그선 룬급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건조 중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과 러시아의 항공모함 계보 파일:러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함 개조 항공모함 / 건조취소

이즈마일


 
경항공모함 및 정규항공모함 설계 / 건조취소

프로젝트 71형 항공모함


 
프로젝트 71형 기반 발전 설계 / 건조취소

프로젝트 72형 항공모함


 
전함 개조 항공모함 / 건조취소

프로젝트 69AV형 항공모함


 
노획 항공모함

체펠린


 
경사갑판 도입 / 건조취소

프로젝트 85형 항공모함


 

 
85,000톤급 / 개발취소

오렐급 항공모함


 

 

 
오렐급 계승 / 개발취소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


 
파일:소련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소련·러시아 해상병기의 계보 : 항공모함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원자력 잠수함
}}}}}}}}}

파일:26-3656438-novorossijsk.jpg
파일:kiev__1.jpg
Тяжёлые авианесущие крейсеры проекта 1143 «Кречет»

1. 개요2. 제원3. 건조4.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의 각 함명5. 대한민국과의 인연6. 대중매체에서7. 모형화8. 관련 문서9. 관련 항목

1. 개요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은 소련 해군 최초의 고정익 항공기용 항공모함이다 정식 프로젝트명은 "항공순양함 프로젝트 1143 크레쳬트(Кречет, Krechyet, 쇠황조롱이)"이며, "키예프"라는 명칭은 초도함의 함명을 따서 쓰는 NATO식 분류명이다. 최초로 개발 된 항공모함 이후 본 설계를 바탕으로 하여 '항공순양함(Авианесущий крейсер, Aircraft-carrying cruiser)' 또는 '항공 중순양함(тяжёлый авианесущий крейсер, Heavy aircraft-carrying cruiser)'의 형태를 확립하였으며, 이후 소련 해군을 이어 받은 러시아 해군 또한 항공순양함을 이어나가게 된다.

2. 제원

키예프급의 제원
키예프민스크노보로시스크바쿠
기준 배수량 30,535 톤 31,900 톤 33,440 톤
만재 배수량 41,380 톤 43,220 톤 44,490 톤
추진체계 보일러-증기터빈 추진 방식 4축 추진
KVN-98/64형 보일러 8기, TV-12-3형 증기터빈 4기
최대속도 32.5 kts
항속거리 8,590 nmi(18 kts) 7,160 nmi(18 kts) 7,590nmi(18 kts)
승조원 1,435명 1,607명 1,615명
항공요원 430명
길이 273 m 273.1 m
49.2 m 51.3 m 52.9 m
흘수 11.04 m 11.5 m 11.52 m
전자장비 전투 체계 Alleya-2 Alleya-2K Lesorub-434
레이더 MR-600 3차원 레이더
* Mars-Passat 3차원 레이더 개장(4번함)
MR-710 Fregat-M 3차원 레이더
* MR-710M Fregat-M1 3차원 레이더 개장(4번함)
MR-350 Podkat 대수상 레이더 2기(3/4번함)
Volga 항해 레이더
MR-212 Vaygach 항해 레이더
소나 MG-342 Orion 선체 장착 소나
* MGK-355 Polinom 선체 장착 소나 개장(3/4번함)
MGK-335 Platina 예인 소나
전자전 MR-262 Ograda ESM 장비
Koltco ESM 장비
Gurzuf & Gurzuf-1 ESM 장비(3번함)
MP-503 Kantata-M ESM 장비(3번함)
MP-407 Start-2 ESM 장비(4번함)
기타 PK-2 기만 로켓 발사기 2기
무장 함포 AK-726 76mm 2연장포 2문AK-100 100mm 함포 2문
CIWS 30mm AK-630 CIWS 8문
대공 미사일 B-187 SAM 2연장 발사기 2기
V-611(4K60) 미사일 96발)
ZIF-122 SAM 2연장 발사기 2기
(4K33 Osa-M)
(9M33 미사일 40발)
B-187 SAM 2연장 발사기 2기
V-611(4K60) 미사일 96발)
ZS-95 Kinzhal SAM 8연장 VLS 24기
(9M330 미사일 192발)
대잠 미사일 RPK-1 2연장 대잠 미사일 발사기 1기
대함 미사일 SM-241 2연장 발사기 4기
(P-500 대함 미사일)
SM-241 2연장 발사기 6기
(P-500 대함 미사일)
대잠 로켓 RBU-6000 12연장 발사기 2기RBU-12000 10연장 2기
어뢰 PTA-53 533mm 5연장 발사관 2기
함재기 Yak-38/38M 수직이착륙 공격기 및 Ka-25/27 헬리콥터 최대 30기

3. 건조

선체의 제원으로 배수량 42,000 톤, 전장 273 m, 함폭 31 m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 해군의 와스프급 강습상륙함보다 배수량이 약간 더 크다. 동력으로는 8개의 보일러와 4개의 스팀 터빈으로 구동하며, 최고 속력은 32노트이다.

일반적으로 헬기 항공모함이라는 특성 덕분에 서방형의 항공모함과는 상당히 다른 설계사상을 볼 수 있으며, 항공 중순양함 플랫폼을 구성한 이유를 알 수 있다. 소련 해군은 순양함의 주 무장인 P-500 바잘트 대함미사일을 장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수직이착륙기인 Yak-38 포저(Forger) 및 Ka-25 또는 Ka-27/29 헬리콥터를 항공 무장으로 탑재하였다. 이는 함재기에 무장을 달아 직접적인 공격만을 수행하는 '항공모함'이 아닌 함재기를 사용해 무장을 유도하며 공격을 이루는 설계가 중심이 된 '항공 순양함'이기 때문이다.

결국 소련 해군은 이러한 목표에 적합한 항공 중순양함인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을 완성하였지만 함재기의 근본적인 문제와 설계 경험을 반영하여 새로운 항공 중순양함 설계를 진행하였고, 이는 후속 함급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중항공순양함(Тяжёлый авианесущий крейсер Адмирал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Кузнецов)으로 완성되게 된다. 후속 함급인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에서는 항공 무장을 운용하는 부분에 좀 더 초점을 맞추었으나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목표가 서방의 항공모함과는 달라 항공 중순양함 플랫폼으로 운용하였으며, 이는 소련 해군을 이어 받은 러시아 해군이 운용하고 나서야 항공 무장에만 집중하는 설계로 개장을 받게 된다.

4.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의 각 함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Kiev_1987_DN-SN-87-07363r.jpg}}} ||
1번함 키예프
프로젝트 1143.1. 1975년 취역하여 북해함대 배치. 퇴역 후 1993년에 중국에 매각되어 현재 톈진시에 항공모함 테마파크로 개장되었다.
구글지도
파일:1920px-Minsk_aircraft_carrier.jpg}}} ||
2번함 민스크
프로젝트 1143.2. 키예프와 동년에 취역, 태평양 함대에 배치. 3번함 노보르시스크와 함께 1994년에 우리나라의 (주)영유통에 고철로 매각[1], 해체될 예정이었으나 환경단체의 반대로 2년간 해체사업이 표류하다 결국 중국으로 재매각되었다. 키예프처럼 항공모함 테마파크로 한동안 사용되었으나 운영 주체가 2006년에 파산함으로써 폐장되었다. 2020년에 한 해외 유튜버가 난퉁시에 방치된 민스크 내부를 탐험하는 영상을 업로드했다.# 현재까지도 민스크는 다리옆에 조그만한 에서 방치되고있었으나# 이후 2024년 8월 16일 원인 불명의 화재로 인해 선체 일부가 파괴되었다.
  • 3번함 노보로시스크(Новороссийск, Novorossiysk)
파일:kiev class.jpg}}} ||
3번함 노보로시스크
프로젝트 1143.3. 1978년 취역. 당초 북해함대에 배치되었으나 1984년 태평양 함대로 배속전환. 1993년에 발생한 화재로 큰 손상을 입었으나 예산 등의 문제로 수리하지 못하고 방치중 퇴역. 민스크와 함께 한국에 고철로 매각되었고, 민스크와 달리 예정대로 해체되었다.
  • 4번함 바쿠(Баку, Baku)
파일:article_5e1c5c6c04abd2_66009429.jpg}}} ||
4번함 바쿠(어드미럴 고르쉬코프)
프로젝트 1143.4. 1987년 취역. 먼저 취역한 키예프급들과 달리 함체 설계에서 큰 차이가 있어 자료에 따라서는 별개의 함급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함명을 아드미랄 플로타 싸볘츠카바 싸유자 고르시코프[2](Адмирал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Горшков, Admiral Flota Sovetskogo Soyuza Gorshkov)로 변경. 1994년 보일러 폭발사고로 6명의 사상자가 나온 뒤 1995년에 퇴역, 1996년에 인도에 매각이 결정되었다. 세베로드 빈스크에서 러시아에 의해 함수 구조물을 싹 밀어내고 스키 점프대를 설치하는 등의 대대적인 개장공사를 거쳐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인도 해군에 인수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비크라마디티야함 참조.

5. 대한민국과의 인연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 2번함 민스크와 3번 노보로시스크는 대한민국 영유통에서 94년 고철 판매하는 것을 낙찰받아서 가지고 왔다. 가격은 둘 다 합쳐서 70억 남짓이었다.[3] 낙찰 당시부터 중-일 양국의 지대한 관심을 받았고 이를 통해서 함선의 상태를 알게 된 러시아가 원래는 비교적 멀쩡한 상태였던 함선의 내부 기자재를 재활용하지 못하도록 파손시켰다고 한다. 두 척 중 민스크는 환경단체들의 반발로 예정된 해체작업을 하지 못하고 중국으로 98년 재매각되었다.[4] 이를 두고 환경단체들의 반대에 항모 혹은 항모기술을 획득할 좋은 기회를 놓쳤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3번함 노보로시스크는 포항에서 예정대로 해체를 진행했다.[5] 그리고 이 함선은 근본적인 설계 사상이 서방의 항공모함과는 전혀 다르기에 대한민국 해군의 운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보기는 어렵다. 위에서 알 수 있듯, 소련 해군은 매우 강력한 대함 미사일을 운용하는 중순양함의 플랫폼에 이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함재기 운용을 집어넣은 항공 중순양함을 설계하였으며, 미국 해군 등에서 볼 수 있는 함재기의 자체 무장으로만 운용하는 서방의 항공모함과는 전혀 다른 설계로 만들어진 항공모함이다.

하지만 이후 비슷한 컨셉으로 나온 함정이 키예프급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보이는 김영삼 항모인 것으로 보아 노보로시스크를 해체하면서 설계 사상이나 관련 사항은 어떻게든지 흡수했던 것으로 보인다. 1995년 당시의 안기부장인 권영해의 단독 인터뷰에서 노보로시스크를 해체하며 기술분석팀을 투입했으며 파손된 구조물이라도 해체하면서 역설계에 도움되는 정보와 특수강 소재 등의 정보를 얻었다고 한다. 사실 갖가지 기밀급 장비들이 장착된 채로 들여올 수도 있었는데, NHK와 일본의 국가정보원격인 내각정보조사실에서 견제를 미친 듯이 넣어서 고철에 가까운 상태로 들어온 것이다.

6. 대중매체에서

파일:maxresdefault (220224).jpg* Cold Waters에서도 나온다. 팩트 해군의 대마왕이자 최종보스. 무지막지하고 크고 아름다운 크기에다가 혼자서만 대잠헬기 2기를 운용하고[6] 항공 중순양함 주제에 소나, 어뢰까지 달려서 대잠능력도 어마어마하다. 이놈을 저심도에서 만나면...
파일:8z3yz9kaqjh61.jpg* 워 썬더에서도 "New Power"업데이트로 키예프급 4번함 바쿠가 포레스탈급 1번함 CV-59 USS 포레스탈, 오데이셔스급 2번함 HMS 아크 로열(R09)과 함께 AI 항공모함으로 추가되었다. 이제 냉전기 전투기들이 2차대전기 항모에 착함하는 일은 없어졌다!! 강력한 CIWS 방공능력으로 접근하는 적 비행기는 전부 갈아마시지만, 캐터펄트가 없기 때문에 VTOL 기능이 없는 타국 항공기는 스폰했을 때 뜨질 못한다.
파일:20230308_000330.jpg* 모던 워쉽에서 3번함 노보로시스크가 등장한다. 순양함을 개조한것을 반영하여, 어드미럴 쿠즈네초프 보다도 자체무장이 많다. 사실상 동티어의 구축함 수준의 무장이며, 대잠능력, 제공 장악력, 방공 모두 뛰어나다. 다만 항모 특성상 이러한 무장은 어그로를 더 잘 끌 수 있다.

7. 모형화

특이한 외형 덕분인지 인지도에 비해 많이 모형화되었다. 다만 요즘 제품들은 없기 때문에 비크라마디티야 등은 모형화되지 않았다.
  • 1/542
    • 린드버그
  • 1/550
    • 트럼페터
      키예프와 민스크 2척을 모형화하였다. 1990년대 제품이라 품질은 요즘 나오는 1/350 키티호크급 등과 비교하면 아주 많이 떨어진다. 디테일은 영 만족스럽지 못하고 조립성 역시 별로다. 다만 가격이 아주 싸기 때문에 가성비만 놓고 버면 나쁘지 않다.
  • 1/700
    • 아오시마
      워터라인 시리즈로 발매했다. 70년대+아오시마 조합답게 품질은 기대할 수 없다. 키예프와 민스크를 발매하였다.
    • 트럼페터
      2002년 제품으로, 품질 면에서 그리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아오시마보다는 낫다는 평이다. 키예프와 바쿠를 발매하였다.
  • 1/1640
    • IMAI
  • 1/2400
    • GHQ Models

8. 관련 문서

(한국어 위키백과)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
(영어 위키백과)Kiev-class aircraft carrier

9. 관련 항목



[1] 경제난에 의한 러시아군의 어려움이 절정에 달하던 시기라 워낙 많은 함정이 해체나 매각되었다. 북한조차 구형 잠수함 일부를 부품공급용으로 들여왔을 정도.[2] 소비에트 연방 해군 제독 고르시코프[3] 대한민국 육군T-80을 현재 기준 대당 약 30억 원에 도입했는데, 아무리 고철로 만들 물건이라지만 항공 중순양함 두 척을 겨우 전차 두 대 값에 사온 것이다.[4] 환경단체들은 정부가 핵항공모함을 국내에서 해체한다고 난리를 쳤는데, 소련과 러시아는 단 한 번도 원자력 항공모함을 운용한 적도, 생산한 적도 없다.[5] 이 때문에 두 척은 필요가 없던 정부가 민스크는 얼굴 마담으로 이목을 끌고 더 신형함이었던 노보로시스크만 재빠르게 해체했다는 썰이 있다.[6] 이게 왜 위험하냐고 이상해할수 있지만, 콜드 워터스에서는 대잠 초계기 1기만 떠도 엄청나게 위험하다. 대잠헬기는 상대적으로 위협이 적지만, 그래도 일단 뜨면 주기적으로 어뢰를 회피해줘야 해서 짜증나기도 하고 대잠 초계기가 떨구는 어뢰에 비해 탄두중량이 작은 헬리콥터 투하 어뢰도 많이 맞으면 아프다. 사실 현실에서도 잠수함이 대잠헬기에 포착됐다면 도망가는 것 외에는 답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