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00:32:00

대만총독부

타이완 총독부에서 넘어옴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 통치지 통치기관
<colbgcolor=#de8b94,#742129> 남사할린 파일:가라후토.svg파일:가라후토 화이트.svg 가라후토(樺太)* 가라후토청
한반도 파일:고시치노키리.svg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조선(朝鮮) 조선총독부
타이완 섬 파일:대만총독부휘장.svg 대만(臺灣) 대만총독부
태평양 제도 파일:남양군도 휘장.svg 남양 군도(南洋群島) 남양청
요동 반도 파일:관동주청 휘장.svg파일:관동주청 화이트.svg 관동주(關東州) 관동주청
* 가라후토는 1943년 이후 내지로 편입
괴뢰국 · 군정청 }}}}}}}}}
대만총독부
臺灣總督府
Government-General of Taiwan
파일:대만총독부휘장.svg
1895년 6월 17일 ~ 1949년 6월 1일[1]
설립 이전 해체 이후
복건대만성 중화민국
소재지 <colbgcolor=#fff,#1F2023>다이호쿠 주 다이호쿠 시 (대만총독부 청사)
주요 총독 가쓰라 다로
노기 마레스케
파일:external/danceneko.net/P1030691s.jpg
<colcolor=#fff> 대만총독부 청사 (현 총통부)

1. 개요2. 상세3. 행정 조직4. 행정 구역
4.1. 대북주4.2. 신죽주4.3. 대중주4.4. 대남주4.5. 고웅주4.6. 대동청4.7. 화련항청4.8. 팽호청4.9. 일제 패망 이후
5. 역대 총독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만총독부(臺灣總督府, 신자체: 台湾総督府)는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 제국시모노세키 조약에 의해 청나라로부터 할양받은 타이완 섬에 설치한 통치 기관이다. 다이호쿠 시(오늘날 타이베이)에 위치했으며, 1895년 5월 10일에 설치되어 일제 패망 후 중화민국 국민정부로 타이완섬의 행정권이 이양된 1945년 10월 25일에 해체되었다.[2] 이 기관이 대만을 통치한 시기를 대만일치시기라고 한다.

2. 상세

대만총독부 청사는 1919년에 완공됐으며 현재는 대만총통부 청사, 즉 대만 총통의 집무실로 사용되고 있다.

조선과 다르게 대만에 문관 총독들이 임명되기도 하였다. 반면에 조선은 대만과 다르게 군부가 지정학적, 전략적 중요성을 이유로 사사건건 문민총독 임명에 훼방을 놓아 군인 총독이 부임했다.

조선총독부 청사보다는 예산을 적게 들여서 지어졌다고 한다.

3. 행정 조직

행정 조직은 1940년(쇼와15년) 기준이다.
  • 내부부국(內部部局) / 소속관서(屬所官署)
    • 총독관방(總督官房) / 교통국(交通局)
    • 내무국(內務局) / 총무과(總務課)
    • 문교국(文敎局) / 도로항만과(道路港灣課)
    • 재무국(財務局) / 철도부(鐵道部)
    • 식산국(殖產局) / 체신부(遞信部)
    • 미곡국(米穀局) / 전매국(傳賣局)
    • 경무국(警務局) / 세관(稅關)
    • 법무국(法務局) / 기상대(氣象臺)
    • 외사부(外事部)

4. 행정 구역

파일:Taiwan_Japan.svg.png
주, 청의 영역을 나타낸 행정구역도.

파일:Taiwan_Japan_lv2.svg.png
시, 군, 지청의 영역까지 나타낸 행정구역도, 연한 선이 시, 군, 지청 경계이며, 붉은색은 시, 보라색은 지청이다. 1945년 대만 반환 당시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나타내었다.

점령 초창기부터 몇 번의 변화를 거쳐 최종적으로 1926년(대정 15년)에 다음 5개 주와 3개 청으로 정비되었다. 주와 청 산하에 시(市), 군(郡), 지청(支廳, 팽호청 산하에만 잔존)을 두었고, 군과 지청 아래에 가(), 장(), 번지()-군내 대만 원주민 거주지역을 한데 뭉뚱그려 이름 없이 1개만 설치-를, 시 아래에 일본식으로 정(町)을 두었고, 가와 장 아래에 일본식으로 자(字)를, 번지 아래에 사()를 두었으며, 정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정목(丁目)으로 세분하였다. 시, 가, 장은 일본 본토의 시정촌에 대응하는 행정구역 체계로 기능했다. 조선에서 시정촌제에 대응하는 행정구역 체계로 부읍면(府邑面)제를 실시함과 같다.

년대에 가장 폐합으로 종전 가, 장의 일부를 대자로 전환했다. 메이지 대폐합 때와 비슷하게 되었다.

* 일본어 독음은 1938년(쇼와 13년) 9월에 출간된 『台湾市街庄名の読み方』(대만 시·가·장명을 읽는 방법)[재인용], 대로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표기했다. 일본ㄱ국회도서관에 게재된 지도#로도 확인할 수 있다.
* 인구 및 면적은 대만총독부 1942년(쇼와 17년)말 대만 상주인구·세대 통계 (臺灣常住戶口統計)[재인용] 기준이다.
명칭 면적 (과거) 국적 기준 인구 인구밀도 하위 행정구역 수 비고
(현행 행정구역 등)
표준일본어 대라병음 대끼깐뿐(臺語諺文) 총인구 내지인 인구 대만본성인 인구 조선인 인구 중화민국인 (외성인) 인구 기타 외국인 인구
다이호쿠 주 ([ruby(臺北州,ruby=タイホクシウ)]; 대북주) Tâi-pak Chi 대벅 다이호쿠시 4,594.2371㎢ 1,266,924명 161,306명 1,078,316명 1,161명 26,138명 53명 276명/㎢3시 9군 가 장 및 3곳 번지 타이베이시, 신베이시, 지룽시, 이란현(영유권 주장지역인 댜오위타이 열도를ㄹ 제외) 일대
신치쿠 주 ([ruby(新竹州,ruby=シンチクシウ)]; 신죽주) Sin-tik 신딕 다이추 주 ([ruby(臺中州,ruby=タイチウシウ)]; 대중주) Tai다이난 주 ([ruby(臺南州,ruby=タイナムシウ)]; 대남주) Tai다카오 주 ([ruby(髙雄州,ruby=タカヲシウ)]; 고웅주) K
臺東廳タイドウチヤウ
花蓮港廳クワレンカウチヤウ
澎湖廳ハウコウチヤウ

4.1. 대북주

명칭 소재지 면적 (과거) 국적 기준 인구 인구밀도 하위 행정구역 및 행정구역 수 비고
(현행 행정구역 등)
표준일본어 대라병음 대끼깐뿐(臺語諺文) 총인구 내지인 인구 대만본성인 인구 조선인 인구 중화민국인 (외성인) 인구 기타 외국인 인구
다이호쿠시 ([ruby(臺北市,ruby=タイホクシ)]) Tāi-pak-tshī 대박치 66.9872㎢ 383,650명 112,640명 256,988명 320명 13,672명 30명 5,727명/㎢정, 대자 , 64정 19대자 타이베이시 다안구, 다통구, 완화구, 중산구, 중정구, 쑹산구, 신이구
기이룬시 ([ruby(基隆市,ruby=キイルンシ)]) Kei 46.7624㎢ 107,683명 26,129명 76,220명 617명 4,713명 4명 2,303명/㎢정, 대자 , 28정 11대자 지룽시 안러구 일부, 런아이구, 신이구, 중산구, 중정구
기란시 ([ruby(宜蘭市,ruby=ギランシ)]) Gî-lân-tshī 끼란치 28.0738㎢ 38,909명 2,697명 35,807명 30명 375명 0명 1,386명/㎢정, 대자 , 7정 11대자 |이란현 이란시
시치세이군([ruby(七星郡,ruby=シチセイグン)]; 칠성군) C 대북주 대북시 정,
대북시 중정구 청도동로 10호 중화민국 입법원 청도제2회관 (행복리)
244.1551㎢ 93,887명 2,878명 90,487명 3명 519명 0명 385명/㎢3가 1장 타이베이시 베이터우구, 스린구, 네이후구, 난강구신베이시 汐止구
七星郡汐止街 71.2873㎢ 21,603명 346명 20,986명 0명 271명 0명 303 今汐止區
士林街 64.3359 28,337 647 2 101 0 29,087 452
北投街 54.6747 19,052 1,614 1 57 0 20,734 379
內湖莊 53.8572 22,102 271 0 90 0 22,463 417

七星郡士林街 今士林區
七星郡北投街 今北投區
七星郡內湖庄 今內湖區、南港區

淡水郡 227.4052 54,521 1,291 5 422 10 56,249 247
基隆郡 586.4220 137,300 4,574 22 4,694 9 146,599 250
宜蘭郡 339.4043 72,197 557 0 138 0 72,892 215
羅東郡 868.2658 85,902 3,860 30 442 0 90,239 104
蘇澳郡 901.7178 23,179 2,512 15 98 0 25,804 29
文山郡 809.2988 65,527 1,191 112 245 0 67,075 83
文山郡新店街 今新店區
文山郡深坑庄 今深坑區、文山區
文山郡石碇庄 今石碇區
文山郡坪林庄 今坪林區
文山郡蕃地 今烏來區

海山郡 324.0009 110,583 2,089 0 369 0 113,041 349
海山郡板橋街 今板橋區
海山郡鶯歌街 今樹林區、鶯歌區
海山郡三峽街 今三峽區
海山郡中和庄 今中和區、永和區
海山郡土城庄 今土城區

新莊郡 151.7438 69,605 888 2 451 0 70,946 468
신쇼군([ruby(新莊郡,ruby=シンシヤウグン)]; 신장군) 신쇼 가
1가 3장 今新北市三重、蘆洲、新莊、泰山、五股、林口
新莊郡 新莊街 今新莊區、泰山區
新莊郡鷺洲庄 今三重區、蘆洲區
新莊郡五股庄 今五股區
新莊郡林口庄 今林口區
가이잔군([ruby(海山郡,ruby=カイザングン)]; 해산군)
3가 2장 ||郡役所設於板橋街。今新北市板橋、土城、樹林、三峽、鶯歌、中和、永和
7 文山郡 ぶんさんぐん 1街3庄1蕃地 郡役所設於新店街。今臺北市文山、新北市新店、深坑、石碇、坪林、烏來
8 淡水郡 たんすゐぐん 1街3庄 郡役所設於淡水街。今新北市八里、淡水、三芝、石門
9 基隆郡 きいるんぐん 1街6庄 郡役所設於基隆市。今基隆市七堵、暖暖、安樂部分地區及新北市瑞芳、萬里、金山、貢寮、雙溪、平溪
10 宜蘭郡 ぎらんぐん 4庄 郡役所設於宜蘭市。今宜蘭縣頭城、礁溪、壯圍、員山
11 羅東郡 らとうぐん 1街3庄1蕃地 郡役所設於羅東街。今宜蘭縣羅東、五結、三星、冬山、大同
12 蘇澳郡 すあうぐん 1街1蕃地 郡役所設於蘇澳街。今宜蘭縣蘇澳、南澳

海山郡板橋街 今板橋區
海山郡鶯歌街 今樹林區、鶯歌區
海山郡三峽街 今三峽區
海山郡中和庄 今中和區、永和區
海山郡土城庄 今土城區

淡水郡淡水街 今淡水區
淡水郡八里庄 今八里區
淡水郡三芝庄 今三芝區
淡水郡石門庄 今石門區
基隆郡瑞芳街 今瑞芳區
基隆郡萬里庄 今萬里區
基隆郡金山庄 今金山區
基隆郡七堵庄 今七堵區、暖暖區、安樂區一部分
基隆郡貢寮庄 今貢寮區
基隆郡雙溪庄 今雙溪區
基隆郡平溪庄 今平溪區
宜蘭郡頭圍庄 今頭城鎮
宜蘭郡礁溪庄 今礁溪鄉
宜蘭郡壯圍庄 今壯圍鄉
宜蘭郡員山庄 今員山鄉(不含中華村)
羅東郡羅東街 今羅東鎮
羅東郡五結庄 今五結鄉
羅東郡三星庄 今三星鄉、員山鄉中華村
羅東郡冬山庄 今冬山鄉
羅東郡蕃地 今大同鄉
蘇澳郡蘇澳街 今蘇澳鎮
蘇澳郡蕃地 今南澳鄉

4.2. 신죽주

명칭 소재지 면적 (과거) 국적 기준 인구 인구밀도 하위 행정구역 및 행정구역 수 비고
(현행 행정구역 등)
표준일본어 대라병음 대끼깐뿐(臺語諺文) 총인구 내지인 인구 대만본성인 인구 조선인 인구 중화민국인 (외성인) 인구 기타 외국인 인구

4.3. 대중주

명칭 소재지 면적 (과거) 국적 기준 인구 인구밀도 하위 행정구역 및 행정구역 수 비고
(현행 행정구역 등)
표준일본어 대라병음 대끼깐뿐(臺語諺文) 총인구 내지인 인구 대만본성인 인구 조선인 인구 중화민국인 (외성인) 인구 기타 외국인 인구

4.4. 대남주

명칭 소재지 면적 (과거) 국적 기준 인구 인구밀도 하위 행정구역 및 행정구역 수 비고
(현행 행정구역 등)
표준일본어 대라병음 대끼깐뿐(臺語諺文) 총인구 내지인 인구 대만본성인 인구 조선인 인구 중화민국인 (외성인) 인구 기타 외국인 인구

4.5. 고웅주

명칭 소재지 면적 (과거) 국적 기준 인구 인구밀도 하위 행정구역 및 행정구역 수 비고
(현행 행정구역 등)
표준일본어 대라병음 대끼깐뿐(臺語諺文) 총인구 내지인 인구 대만본성인 인구 조선인 인구 중화민국인 (외성인) 인구 기타 외국인 인구

4.6. 대동청

명칭 소재지 면적 (과거) 국적 기준 인구 인구밀도 하위 행정구역 및 행정구역 수 비고
(현행 행정구역 등)
표준일본어 대라병음 대끼깐뿐(臺語諺文) 총인구 내지인 인구 대만본성인 인구 조선인 인구 중화민국인 (외성인) 인구 기타 외국인 인구

4.7. 화련항청

명칭 소재지 면적 (과거) 국적 기준 인구 인구밀도 하위 행정구역 및 행정구역 수 비고
(현행 행정구역 등)
표준일본어 대라병음 대끼깐뿐(臺語諺文) 총인구 내지인 인구 대만본성인 인구 조선인 인구 중화민국인 (외성인) 인구 기타 외국인 인구

4.8. 팽호청

명칭 소재지 면적 (과거) 국적 기준 인구 인구밀도 하위 행정구역 및 행정구역 수 비고
(현행 행정구역 등)
표준일본어 대라병음 대끼깐뿐(臺語諺文) 총인구 내지인 인구 대만본성인 인구 조선인 인구 중화민국인 (외성인) 인구 기타 외국인 인구

4.9. 일제 패망 이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일본이 패전한 후 행정구역의 자세한 내용은 대만/행정구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만 반환 후 대만 행정구역을 중국 본토식으로 개편하면서 주와 청을 현으로 (다이주 주 → 타이중 현, 가렌코 청 → 화롄 현 등으로) 일괄 개편하고, 11개 주할시를 9개 성할시와 2개 현할시로 개편했다. 국부천대 이후 직후인 1950년까지 유지되다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5시 16현이 되었다.

5. 역대 총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대만총독부|[[파일:대만총독부 휘장 투명.png|height=45]][br]'''{{{#fff 대만총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D1D1D,#e2e2e2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가바야마 스케노리 가쓰라 다로 노기 마레스케 고다마 겐타로 사쿠마 사마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안도 사다요시 아카시 모토지로 덴 겐지로 우치다 가카치 이자와 다키오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가미야마 만노신 가와무라 다케지 이시즈카 에이조 오타 마사히로 미나미 히로시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나카가와 겐조 고바야시 세이조 하세가와 기요시 안도 리키치 }}}}}}}}}}}}}}}
  • 1대 가바야마 스케노리(樺山資紀) 백작, 해군대장 1895년 5월 10일~1896년 6월 2일
  • 2대 가쓰라 다로(桂太郎) 자작, 육군중장 1896년 6월 2일~1896년 10월 14일
  • 3대 노기 마레스케(乃木希典) 남작, 육군중장 1896년 10월 14일~1898년 2월 26일
  • 4대 고다마 겐타로(兒玉源太郎) 자작, 육군중장 1898년 2월 26일~1906년 4월 11일
  • 5대 사쿠마 사마타(佐久間左馬太) 백작, 육군대장 1906년 4월 11일~1915년 5월 1일
  • 6대 안도 사다요시(安東貞美) 남작, 육군대장 1915년 5월 1일~ 1918년 6월 6일
  • 7대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二郎) 남작, 육군대장 1918년 6월 6일~1919년 10월 26일
  • 8대 덴 겐지로(田 健治郎) 남작 1919년 10월 29일~1923년 9월 6일[5]
  • 9대 우치다 가카치(內田嘉吉) 1923년 9월 6일~1924년 9월 1일
  • 10대 이자와 다키오(伊澤多喜男) 1924년 9월 1일~1926년 7월 16일
  • 11대 가미야마 만노신(上山滿之進) 1926년 7월 16일~1928년 6월 19일
  • 12대 가와무라 다케지(川村竹治) 1928년 6월 19일~1929년 7월 30일
  • 13대 이시즈카 에이조(石塚英藏) 1929년 7월 30일~1931년 1월 16일
  • 14대 오타 마사히로(太田政弘) 1931년 1월 16일~1932년 3월 2일
  • 15대 미나미 히로시(南 弘) 1932년 3월 2일~1932년 5월 27일
  • 16대 나카가와 겐조(中川健藏) 1932년 5월 27일~1936년 9월 2일
  • 17대 고바야시 세이조(小林躋造) 예비역 해군대장 1936년 9월 2일~1940년 11월 27일
  • 18대 하세가와 기요시(長谷川 清) 해군대장 1940년 11월 27일~1944년 12월 30일[6]
  • 19대 안도 리키치(安藤利吉) 육군대장 1944년 12월 30일~1945년 10월 25일[7]

존칭 또는 언론에서는 총독보다는 '독헌'(督憲)으로 자주 불리었다.[8]

6. 관련 문서



[1] 총독부 관제를 규정한 칙령이 실효된 시점. 총독부 조직 자체는 1945년 10월 25일에 행정권 이양과 동시에 해체되었고, 행정권 이양 이후로도 한동안 진행된 하부 기관과 말단 행정조직의 접수도 이듬해 2월에 마무리되었다. 다만 총독부 설치 및 관제를 규정한 칙령과 법률 등은 즉시 폐지되지 않고 사문화된 상태로 남아있다가, 1949년에 실효되어 법률상으로도 완전히 폐지되었다.[2] 그래서 일제의 대만 통치가 끝난 것을 기념하는 날인 대만광복절은 일제 패망일이나 항복일이 아니라, 타이완성 행정장관공서가 대만총독부로부터 정식으로 행정권을 이양받은 날인 10월 25일이다.[재인용] 중국어 위키백과에서 재인용[재인용] [5] 첫 문관총독이자 유일한 문관출신 화족총독.[6] 영화감독 짓소지 아키오의 외할아버지다.[7] 일본의 항복 후에도 두 달가량 총독직을 유지하다가 국민혁명군이 타이완섬을 접수하기 위해 진주하자 국민혁명군에 항복하였다. 이후 전범 혐의로 체포되어 중국으로 압송되어 상하이에 수감되었고, 재판을 기다리던 중 음독자살로 생을 마감하였다.[8] 신죽현 신포진에는 이자와 다키오(伊澤多喜男) 총독이 방문한 기념비인 독헌 광림 기념비가 아직도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