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7 21:09:59

토모에 호타루


파일:external/pic.prepics-cdn.com/48255260.gi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태양계의 세일러 전사
[ruby(츠키노 우사기, ruby=세일러 문/프린세스 세레네티)]
4수호신 외부 태양계 전사
[ruby(미즈노 아미, ruby=세일러 머큐리)] [ruby(히노 레이, ruby=세일러 마스)] [ruby(텐오 하루카, ruby=세일러 우라누스)] [ruby(카이오 미치루, ruby=세일러 넵튠)]
[ruby(키노 마코토, ruby=세일러 쥬피터)] [ruby(아이노 미나코, ruby=세일러 비너스)] [ruby(메이오 세츠나, ruby=세일러 플루토)] [ruby(토모에 호타루, ruby=세일러 새턴)]
30세기의 세일러 전사
[ruby(치비우사, ruby=세일러 치비문/스몰레이디 세레니티)]
세일러 콰르텟
세일러 팔라스 세일러 베스타 세일러 주노 세일러 세레스
금목성의 세일러 전사
[ruby(카큐 프린세스, ruby=세일러 카큐)]
세일러 스타 라이츠
[ruby(세이야 코우, ruby=세일러 스타 파이터)] [ruby(타이키 코우, ruby=세일러 스타 메이커)] [ruby(야텐 코우, ruby=세일러 스타 힐러)]
세일러 전사의 주요 조력자
[ruby(치바 마모루, ruby=턱시도 가면/프린스 엔디미온)] 퀸 세레니티 엘리오스 [ruby( 치비 치비, ruby=세일러 치비치비문)]
마스코트 캐릭터
루나 아르테미스 다이아나
}}} ||
그 외 등장인물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토모에 호타루
土萠 ほたる
Hotaru Tomoe
<nopad> 파일:attachment/토모에 호타루/Sailor_Saturn2.png
<colbgcolor=#3007B6>수호성 토성
생일 1월 6일(염소자리)
탄생석 가넷
나이 12세, 0 ~ 8세(환생 이후)[1]
소속 무한학원 초등부 → 주반 소학교(환생 이후, 원작)
혈액형 AB형
좋아하는 색깔 보라색
좋아하는 과목 세계사
싫어하는 과목 체육
좋아하는 음식 메밀국수
싫어하는 음식 우유
취미 독서, 램프 수집
특기 상처 치료
싫어하는 것 마라톤
장래희망 간호사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미나구치 유코
후지이 유키요(크리스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선[2], 정옥주[3](KBS)
이보희(대원방송)[4]
파일:미국 국기.svg 제니퍼 굴드(Cloverway)
크리스틴 마리 카바노스(Viz 방영판 및 크리스탈)
뮤지컬 배우
[ 펼치기 · 접기 ]
타케다 케이코(1대)(1995-1997,1998)
이마이 치히로(2대)(1997)
산페이 아사미(3대)(1998)
미타 마오(4대)(1999-2000)
토미오카 마리오(5대)(2000-2001)
카키우치 아유미(6대)(2001-2002)
나카무라 루리아(7대)(2002-2003)
이이즈카 유이(8대)(2003-2004)
후나코치 에리코(9대)(2004-2005)
타카하시 카린(10대)(2015-2016)
히나타 미라이[5](11대)(2017)
이데 유우카(12대)(2021-)

1. 개요2. 캐릭터 송3. 작중 행적4. 세일러 새턴
4.1. 변신 장면
4.1.1. 구작 애니메이션 (게임판)4.1.2. 이터널
4.2. 소개4.3. 변신 아이템4.4. 무기4.5. 필살기
4.5.1. 원작 / 애니메이션4.5.2. 게임
4.6. 능력과 강함
5. 미스트리스 96. 인기7. 기타

1. 개요

파일:external/i15.photobucket.com/hotaru3a.jpg파일:f0d475dcffc19a276a7e9ab8c6de8d53 (1).jpg
원작
파일:tumblr_9182f425b562963c0d415f164e94a83d_52509826_500.png파일:hotaru-tomoe-happy.gif
애니메이션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의 등장인물. 원작 만화, 애니, 크리스탈 모두 3기 데스 버스터즈 편(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부터 등장한다.

한국판 이름은 KBS/대원방송 애니메이션에서 코코[6], 코믹스 정발판에서는 보나. 대부분의 등장인물 이름을 번안한 북미판(Cloverway)에서 토모에 호타루만큼은 일본판 그대로 Hotaru Tomoe로 나오지만 영어 화자들 습관에 따라 '토모에'가 아닌 '토우모우(toe-moe)' 비슷하게 발음한다. Viz Media에서 낸 재더빙판에서는 '토모에(toe-moe-eh)'라고 발음한다. 영어판 코믹스 구 단행본에서 Jenny라는 이름을 붙였다가 항의를 받고 재판본에서 Hotaru로 되돌렸던 흑역사가 있다. 2021년에 발매된 완전판에서는 도모에 호타루로 표기되었다.

수호성은 토성으로 침묵과 파멸의 전사[7] 세일러 새턴으로 변신한다.

2. 캐릭터 송

구작 애니의 테마곡은
크리스탈 및 극장판 이터널의 캐릭터 송은
뮤지컬의 캐릭터 송은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모에 호타루/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모에 호타루/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모에 호타루/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세일러 새턴

4.1. 변신 장면

4.1.1. 구작 애니메이션 (게임판)

구작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한 게임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uperS 베리어스 이모션' 에서 나온 변신 장면이다. 본편에서는 변신 장면이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4.1.2. 이터널

다른 세일러 전사에 비해 간결하게 만들어졌다. 게임판을 참고한 듯하다.

4수호신은 리본 형태의 각 속성 에너지를 몸에 두르는 과정이, 외부 태양계 전사는 주변에 원 형태의 결계를 만드는 과정이 반드시 들어가는데 반해, 새턴은 어느 쪽도 나오지 않는다. 연출 미스였을 수도 있지만, 어쩌면 새턴의 이레귤러 적인 위치를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4.2. 소개

파일:Uranus, Neptune, Pluto & Saturn Crystal Power! 1-39 screenshot.png
토성을 수호성으로 삼는 침묵파멸의 전사. 테마색은 보라색.

등장 대사
  • "침묵의 별 토성을 수호성으로 삼는 파멸과 탄생의 전사 세일러 새턴!"(원작 4기/극장판 이터널/구작 애니메이션 세일러 스타즈 단체 등장)[9]
    • KBS : 침묵의 별 토성의 힘을 받아 싸우는 파멸과 탄생의 요정 세일러 새턴![10]
    • 대원방송 : 침묵의 별 토성을 수호하는 파멸과 탄생의 요정 세일러 새턴!
  • "나는 죽음의 심연에서 온 사자. 파멸의 별! 토성을 수호성으로 삼는 침묵의 전사, 세일러 새턴!"[11](원작/크리스탈 3기)

원작, 크리스탈 설정에 따르면 먼 옛날 실버 밀레니엄 왕국이 멸망했을 때 깨어나서 한 번 세상을 파괴했다고 한다. 그 무서움을 안 외행성 3전사는 토모에 호타루가 세일러 전사로 각성하는 걸 막고자 그녀를 없애려고도 생각했다. 세일러 새턴이 눈을 떠서 세상을 파멸시키려는 마스터 파라오 90과 같이 자폭하려고 하였는데 그 상황에서 세일러 문이 가만 있을 리가 없고 역시 '사랑과 정의'의 이름으로 메시아가 되어 지구와 새턴을 구한다. 워낙 극적인 상황에 등장한 전사라서 인지하지는 못하지만, 구작과 원작 모두 태양계의 세일러 전사 주역 10명 중 가장 늦게 각성했다.

3기에서는 12살로 나왔으나 아기가 되었다가 원작에서는 4기에서, 구작 애니에서는 5기에 8살로 성장한다. 위험을 감지하고 힘에 각성하여 급속 성장했다는 뭔가 급조한 것 같은 설정. 원작에서는 프린세스의 위기를 감지하고 사명에 따라 새턴으로 각성하기 위해 급속 성장했다는 설정이며, 구작 애니에서는 세일러 갤럭시아에 의해 네헤레니아가 다시 등장했기 때문인데 그 목적이 외전사들을 슈퍼 변신시켜 스타 시드를 무르익게 만들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등장은 정말 눈물나게 적었다. 그래도 원작인 코믹스, 크리스탈은 좀 나은 편인데 구작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나마 나올 만한 부분인 5기에서도 얼마 등장 안 한다. 하지만 나름 작가의 사랑을 받았던 것 같은데 한 번 나타났다 하면 신비주의 포스에 비중이 엄청 커진다. 예를 들어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세일러 스타즈 초반 외행성 3전사가 새턴 덕분에 업그레이드한 적이 있다. 이와 반비례로 실적은 최하위로 최강의 세일러 전사라면서 최종 보스전에서는 제일 먼저 당한다. 힘을 다 쓰면 행성이 그대로 멸망하고 자기도 쓰러지기 때문에 전력을 다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실 외전사의 일원이라고 하기에는 상당히 미묘하다. 특히 그 설정이 3기에서 상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외부 태양계 3전사(세일러 우라누스, 세일러 넵튠, 세일러 플루토)는 각각 자신의 관할[12]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들의 주 목적은 태양계의 외부에서부터 침략하려는 적을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세일러 새턴의 경우에는 멸망의 순간에 나타나 재생을 위하여 모든 것을 파멸로 이끌어버리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외부 태양계 3전사의 무기는 탈리스만으로 분류되지만, 세일러 새턴의 무기인 '사일런스 글레이브'는 절대로 탈리스만이 아니다. 4기 이후에는 다른 외전사들과 함께 행동하며, 이들에게 인정을 받아서인지 자신도 외전사의 일부가 된다. 이 애매모호한 설정으로 위키나 많은 사이트에서는 내행성 전사들을 4수호신이라고 하는 것과는 달리, 외행성 전사들은 '외부 태양계 3전사와 세일러 새턴'으로서 불리기도 한다.

다만 구애니 설정 한정으로, 일부 팬들은 세일러 새턴은 외행성이 아닌 내행성 전사 쪽이 적합하지 않냐고 주장하기도 한다. 3기만 봐도 알 수 있듯이, 그저 파멸의 전사라는 이유만으로 자기를 죽이려 했던 외행성 전사들과는 다르게, 츠키노 우사기와 4수호신, 그리고 치비우사는 설령 자신이 파멸의 전사라고 해도 늘 좋은 친구로서 함께 다녔으며, 자신을 죽이려 한 외행성 전사들한테도 이건 선 넘었다며 팩폭까지 박는 등, 호타루를 진짜 친구로 대해 주었다.

원작 4기 후반과 신극장판 이터널에서 타이탄 캐슬을 궁전으로 갖는 토성의 세일러 프린세스로 각성한다.

그리고 세일러 문을 뺀 세일러 전사들을 통틀어서 복장이 가장 화려하다.(구 애니메이션에서) 그 하트 크리스탈 브로치와 꽃잎 소매로 되어있는 복장을 말하는 거다. 물론 슈퍼나 이터널 가면 통합되어 거기서 거기지만 어쨌든 세일러 문을 제외하고는 세일러 전사들 복장들 중에서 그렇게 특징이 잡혀진 예는 정말로 없을 정도. 잘 보면 알겠지만, 다른 전사들, 특히 내행성 전사들은 색깔과 귀걸이나 신발을 제외하고는 전부 똑같다.

비록 적게 등장해도 신비주의, 청순가련 로리, 어둠의 소녀 등의 이미지로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시리즈 팬들 사이에서는 상당히 많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세일러 새턴의 설정은 새턴의 어원인 로마 신화의 농경신 사투르누스의 흔적이라고 한다. 무기인 사일런스 글레이브의 생김새가 농경신의 흔적인 낫을 연상시키고 이것이 흡사 사신을 연상하게 했기 때문이다. 또한 초기 설정에서는 수호성이 토성이라는 점에 착안해 전투복의 컬러링이 황토색이었고, 드루이드의 지팡이를 사용하며 마술을 다룬다는 설정이었다가 현재의 설정으로 변경되었다.
  • 변신 대사
    • 새턴 플래닛 파워 메이크 업!(게임)
      파일:external/sailormoonanimation.weebly.com/saturn_sega_transformation.gif
    • 새턴 크리스탈 파워 메이크 업!(원작 4기/극장판 이터널)

4.3. 변신 아이템

  • 새턴 크리스탈(원작 5기)
    사실 아이템같은 것은 아니다. 스타 시드의 일종으로 원작에서는 슈퍼 세일러 새턴(4기), 이터널 세일러 새턴(5기)으로 변신할 수 있게 한다.

4.4. 무기

  • 사일런스 글레이브(Silence Glaive)[13]
    하지만 실제 '글레이브'는 창같이 생긴 검을 말한다. 형태는 글레이브 혹은 서양의 전투용 낫과 가까운 모습이다. 아무런 말 없이 한번 휘둘러주기만 해도 별 하나 정도는 그냥 없앨 수 있는 엄청난 무기지만 이렇게 사용하면 자신도 파멸한다. 그 외에도 다른 새턴의 필살기를 시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 때문에 팬들 중에는 이 무기가 없으면 아무 힘도 사용하지 못하는 거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14]

4.5. 필살기

(♥=구작 애니메이션/★=원작/◆=신작 애니메이션)

4.5.1. 원작 / 애니메이션

  • 사일런스 월(♥, ★, ◆)

    구작 애니메이션


    이터널


    코스모스

    부동성벽(不動城壁)이라고 쓰고 '사일런스 월'이라고 읽는다. 국내판 애니메이션에서의 이름은 새턴 파워(대원방송).[15]

    원작 만화 4기, 구작 애니메이션 5기, 극장판 이터널에서 등장하며, 자신을 적의 치명적인 공격으로부터 막아주는 마법의 벽을 형성한다. 코스모스 기준으로 방어의 탈리스만인 가넷 오브의 힘보다다 강한 방어력을 보여준다. 구작 애니에서는 세일러 스타즈 171화에서 딱 한번 사용했다.
  • 사일런트 월(♥)

    '사일런스 월'과 동일한 능력을 지녔으나 5기부터는 해당 용어로 바뀌었다. 4기까지는 상술된 '사일런스 월'이였다. 국내판 애니메이션에서의 이름은 새턴 파워(KBS/대원방송).

    구작 애니에서 세일러 스타즈 196화, 197화에서 사용했고, 위와 효과는 같으나 대상이 자신에서 아군 지정으로 변경되었다.
  • 사일런스 글레이브 서프라이즈(♥, ★, ◆)

    구작 애니메이션


    이터널


    코스모스

    침묵겸기습(沈黙鎌奇襲)이라고 쓰고 '사일런스 글레이브 서프라이즈'라고 읽는다. 국내판 애니메이션에서는 파멸의 힘이여(KBS/대원방송)라는 대사에 가까운 말을 사용한다.

    원작 4기와 극장판 이터널에서는 일반 공격으로 사용했고, 구작 애니메이션 세일러 스타즈 171화에서 파멸의 힘을 해방하기 위한 기술로서 딱 한번 등장했다. 원작이나 신작 뮤지컬에선 일반 공격기술이 이것만 등장하는 바람에 이 기술만 주구장창 사용한다.

    구 애니에서는 원작의 데스 리본 레볼루션처럼 최후의 수단 포지션으로, 만약 절친이 나서지 않았다면 모든 것이 순식간에 멸망했을지 몰랐을 정도의 위험성까지 가졌다.

    극장판 코스모스에서는 본 캐릭터의 인기와 종말 장치라는 위상 덕분인지, 굉장한 퀄리티의 작화와 연출을 자랑한다. 특히 시작에는 구 애니의 미스트리스 9의 변신 장면을 연상시키는 검은 번개와 반짝이는 아우라와 더불어, 번쩍거리는 링 모양의 광선[16]이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연출이 돋보인다. 그리고 구 애니를 반영한건지, 세일러 갤럭시아한테 성공적으로 명중했다.
  • 데스 리본 레볼루션(★, ◆)

    사세계변혁(死世界変革)이라고 쓰고 '데스 리본 레볼루션'이라고 읽는다. 원작과 크리스탈에서 마스터 파라오 90을 공격하기 위해 사용한 기술. '리본' 부분의 일본어 발음 リボーン(Ribōn)은 reborn을 옮긴 것이지만 끈 리본(リボン)과 표기가 비슷해서인지[17] 세일러문 Another Story에서는 리본 이펙트를 내는 필살기로 묘사된다.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최후의 수단처럼 혼동하는데, 원작에서는 그저 일반 공격 중 하나일 뿐이다. 단지 포스가 엄청난 데다가 사일런스 글레이브를 땅에 긋는 부분이 중간에 애매하게 처리되었기 때문에 그런걸로 보인다. 다만 뮤지컬에선 연출 문제로 이 기술을 파멸의 힘으로 사용했으며, 새턴이 이후에 이 기술을 부활 후에도 다시는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최종기술일 가능성 또한 남아 있다. 그리고 구판 뮤지컬 스타즈에선 세일러 문의 기술과 연계하여 모두를 부활시키는데 일조한 회복 스킬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현재 섭종된 모바일 게임 세일러 문 Drops에서도 구 애니를 반영해 아예 세계의 종말로 화려하게 묘사했다.
  • 갤럭티카 글레이브 서프라이즈(★, ◆)

    위의 사일런스 글레이브 서프라이즈와 같지만 세일러 갤럭시아가 만든 가짜 세일러 새턴이 사용한 기술이다.
  • 갤럭티카 캐논(★, ◆)

    플루토의 가넷 오브와 사일런스 글레이브의 힘을 합친 합동 공격이다. 역시 세일러 갤럭시아가 만든 가짜 세일러 새턴과 가짜 세일러 플루토가 사용한 필살기이다. 극장판 코스모스에서는 이펙트가 확실히 묘사되는데 가넷 오브로 블랙홀을 생성한 뒤 사일런스 글레이브의 검은 번개를 두른 다음 이를 남색빛의 구체로 압축해 적을 향해 투척한다.[18] 대상과 접촉하는 순간 거대한 블랙홀이 일어나며 그대로 구작의 마스터 파라오 90의 소멸 연출과 비슷한 형태로 폭발한다. 치비 치비도 간신히 막을 정도로 전륜한 위력을 자랑한다.[19] 심지어 광구가 돌진할 때도 구작을 반영한 건지 파라오 90가 문 코즈믹 파워를 압도하는 연출과 비슷하다.
  • 갤럭티카 플래닛 어택(★, ◆)

    원작,코스모스에서 갤럭시아의 가짜 내전사들과 외전사들이 세일러문에게 시전한 기술이다.

4.5.2. 게임

  • 데스 드라이브 브레이크
  • 브레스 크러셔
  • 사일런스 버스터

4.6. 능력과 강함

파일:Sailor Saturn Finisher.gif
세일러 새턴이 눈을 뜨면, 이 별은 끝장이야!
세일러 넵튠
거대한 부의 오라가 내 힘을 빼앗아 가고 있어! 오메가 지역에서 잠들어 있던 어마어마한 힘이 파멸을 부르는 빛으로 바꾸었던 말인가?!
마스터 파라오 90
바보같은... 나랑 공멸할 생각인가? 그런 짓이 무슨 의미가 있지? 쓸데 없이 목숨을 버리는 것에 불과하잖아?
네헤레니아
세일러 문을 제외한 태양계 세일러 전사들 중 최강의 전력이자 가장 이질적인 전사로, 마음만 먹으면 세계 멸망도 한 번에 일으킬 수 있는 공포의 종결자.

파멸의 힘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 자신도 파멸한다는 부작용이 있지만 별 하나를 멸망시킬 수 있다. 이 힘 때문에 내전사들보다 특별히 강한 힘을 가지고 있는 외전사들은 물론이고 최종 보스인 마스터 파라오 90[20]이나 네헤레니아조차 두려움에 떨게 만든 존재로서 엄청난 딜 포텐셜, 혹은 그 이상의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외전사들은 과거 새턴의 힘을 한 번 겪은 후 호타루가 세일러 새턴이란 사실을 알고 난 뒤 호타루가 각성하기 전에 처치하려고까지 했다.

5기에서는 아무런 리스크 없이 별을 파괴할 수 있는 유사 우주적 존재세일러 갤럭시아의 등장으로 위상이 다소 깎이긴 했지만 이들의 힘이 단순한 파괴의 힘이라면 새턴은 신세계의 구축을 위해 구세계를 파괴하는 일종의 테라포밍에 가깝다.

본래는 종말장치로서의 역할이 진가인 전사라서 그런지 그 유명한 타이틀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구애니나 반다이판 뮤지컬에선 파멸의 힘 말고는 딜수단이 전무하여 환생 후에는 딜러로서 활약시키기 매우 까다로웠는지, 잡몹전에선 전혀 등장하지도 못했고, 이후 보스전에서도 서포터로서만 활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21] 그나마 원작이나 넬케판 이후 뮤지컬에선 사일런스 글레이브 서프라이즈로 간간이 딜을 넣긴 하지만 특출나게 강한 정도는 아니다.

그러나 새턴은 딜러로서 뿐만 아니라 서포터나 힐러로서도 굉장히 강력한데, 사일런스 월은 갤럭시아의 즉사기마저 차단할 정도의 방어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회복 능력의 경우, 구애니나 원작에선 치비우사나 자신의 상처를 회복시킨 정도에 그쳤지만[22], 반다이판 뮤지컬에선 전투불능 상태가 된 전사들을 손짓 한 번에 회복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죽은 전사들을 부활시키는[23] 엄청난 능력까지 보여주며, 세일러문 Another Story에선 세일러 문이나 치비문과 연계하여 다른 전사들의 회복 관련 연계기술을 웃돋는 위력의 회복 능력을 발휘한다. 이처럼 비너스나 넵튠 이상으로 만능적인 면모를 보여준다.[24]

다만 이런 그녀에게도 한계는 명확한데, 전투 경험도 적을뿐더러 몸이 작아서인지, 육탄전을 보여준 적이 단 한 번도 없어[25] 물리 공격력을 측정할 방도가 없으며,[26] 사일런스 글레이브를 쓰지 못하게 될 경우 쉽게 무력화되는 것이 큰 약점.[27]

5. 미스트리스 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스트리스 9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트리스 9#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트리스 9#|]]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인기

분명 3기에서도 등장 비중이 그다지 높지 않으며 특히 '세일러 새턴'으로서 등장하는 시간은 구작 애니 기준 3기 전체를 통틀어 4분이 채 되지 않는데도 인기가 대단했다. 비중 대비 강렬한 존재감과 높은 인기를 지닌 조역의 산증인 중 하나.
최연소 정도의 어린 나이에 태양계 전사 중 최강으로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가냘픈 이미지에 대비되는 강인한 정신력이라는 외유내강이라는 점이 인기에 한 몫을 한 듯. 가련한 소녀와 귀여운 아이, 간지폭풍 여전사, 냉혹한 악녀[28] 등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는 만큼 매력도 가지각색이라 큰 인기를 끈 듯 싶다.

당시에는 미즈노 아미와 더불어서, 남자아이들과 남덕들에게 특히 인기가 상당한 편이었다. 때문에 뒤늦게나마 S 때 출시 못한 새턴 인형을 SuperS 때 고퀄리티로 출시하거나, 애니가 5기까지 전부 끝난 시점 (1997부터 세일러문 월드 시절인 2002년까지)에서도 팬아트, 일러스트, 레진 피규어, 심지어 한정판으로 뮤지컬 전사복 버젼의 레진 피규어까지 출시해주기도 했다. 근데 정작 애니에선 S 제외하곤 등장을 딱히 안시킨게 큰 실수. 한국에서도 종이인형이나 스티커 등에도 나오는 등, 꽤 좋은 취급은 받았다. 나머지 3명의 외부 태양계 전사들의 인기가 그때 한국에선 딱히 크지 않은 걸 감안하면, 4수호신과 비슷한 취급은 받은 듯하다.

이렇듯 인기도 있고 규격 외의 힘을 자랑해서 그런지 뮤지컬 등지에서도 종종 특별 취급을 받았으며, 구판 뮤지컬 스타즈(+개정판)에선 치비문과 함께 에도 시대로 날아가 무사할 수 있었고, 신판 뮤지컬 르 무브먼트 피네루에선 갤럭시아에게 플루토와 같이 당할 뻔할 때 플루토의 텔레포트 능력을 통해 시공의 문으로 30세기로 날아가 치비문을 지원군으로서 데리고 현대로 내려오기도 하며 갤럭시아에게 당하지 않아서 가짜 세일러 전사로 만들어져 나오지 않았다. 그 외에도 플루토와 함께 신 전설광림에서도 나름 오래 살아남았고 카구야 공주에서는 센터 자리에 외전사 4인방 중 가장 비중이 좋았다.

외모로도, 캐릭터의 호불호를 떠나서 디자인적으로 외모가 예쁘다는 말이 많이 나오는 세일러 넵튠과 박빙이다.[29] 2020년에 NHK에서 진행한 전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대투표에서는 7위와 17위, 미스트리스 9까지 포함하면 49위를 기록했다. 다만 그 대투표의 대부분 참여자들이 여성인 탓에, 과거에 비해 위상이 많이 떨어졌다. 심지어 미스트리스 9은 그 타이거즈 아이나 다른 악당들보다 순위가 낮게 나왔다(...).

7. 기타

  • 태양계의 세일러 전사들 중 유일하게 이름에 '노(野)'도 '오(王)'도 들어가지 않는 전사. 내행성 전사들은 모두 '노'로 끝나는 성을 갖고 있고, 외행성 전사들은 본인들의 행성인 천왕/해왕/명왕을 일본어식으로 발음해서 '오'로 끝나는 성을 가진 반면 호타루만이 자신의 행성인 토성의 '토'에 '모에(萠)'를 붙였다.
  • 마이너한 일설에 의하면 모에의 어원 중 하나라고 한다. 성의 뒷글자인 (萌의 이체자) 때문이다.
  • 극장판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Eternal이 개봉되기 전까지 구작 애니와 크리스탈을 통틀어 세일러 전사들 중 유일하게 제대로 된 변신 뱅크신이 없었지만, 구작 애니의 경우 게임판에서 변신 구호만 외친 후 변신 후 포즈를 취하는 장면으로 이루어진 변신 장면이 나왔었고, 크리스탈에서도 각성 장면과 마무리 포즈 장면은 나왔었다. 유튜브 등지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리터칭한 팬메이드 변신 장면들이 나오곤 한다.
  • 인기가 출중했던 덕분인지, 위에서 설명한대로, Le Movement Final 뮤지컬에서도 프린세스 전사와 비슷한 대우도 받았고, 갤럭시아에게 크리스탈을 빼앗긴 뒤 가짜가 만들어지는 일 없이 프린세스 전사들과 함께 살아남았다.[30] 다만 새턴은 상술했듯이 다른 전사들과는 격이 다르므로 특별 취급을 받아도 이상할 건 없다.
  • 원작 단편에서는 구작 애니에서도 안 보여주던 갭 모에가 있다(...). 치비우사의 새 친구가 생기자 질투하는 모습이 압권. 링크 사실 3기 시절에는 엄마를 잃고 아빠에 의해 개조당해서 힘겹게 살았던 반면 4기부터는 외부 태양계 전사들한테 사랑과 애정을 듬뿍 받으면서 자랐으니 저런 모습을 보여도 이상할 건 없다. 구 애니에서 비중이 없어서 그렇지 비중이 많았다면 개그 캐릭터의 면모를 보였을 것이다. 마침 원작 5기 및 신작 극장판 코스모스에서도 치비우사랑 같이 손잡고 등교할 때 우사기가 잘들 논다고 질투하자 "그럼 우사기도 마모짱이랑 손잡던가."라고 맞받아쳐서 우사기의 속을 긁게(...) 만들었다. 이에 열받은 우사기가 치비우사와 호타루 사이를 일부러 지나가는 걸로 반격했다.
  • 다른 태양계 전사들처럼 프린세스를 좋아하는데 구작 5기 초반 네헤레니아 부활편, 후반에 세일러 갤럭시아 침공으로 수세에 몰린 가운데서도 세일러 스타 파이터에게 "당신, 세일러 문을 좋아해?"[31]라고 물으면서 파이터가 좋아한다고 대답하자[32] "우리들의 프린세스를 믿어줘"[33] 라고 말하며 세일러 문에 대해 절대적인 신뢰를 보여준다.
  • 구작 애니, 크리스탈 그리고 한국 더빙판 모두 호타루 담당 성우가 미스트리스 9 역도 같이 담당했다. 병약하고 가련하면서도 상냥한 10대 초 소녀인 호타루와는 반대로 사악한 포스가 물씬 풍겨지는 성인 여성 모습의 악의 최종 보스 미스트리스 9,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비롭고 포스있는 세일러 새턴 연기를 모두 다 잘 소화해냈다는 평.
  • 구작 애니의 성우들이 워낙 열연을 펼쳤고 싱크로율이 높았기 때문에 크리스탈의 성우들은 호불호가 갈리지만 후지이 유키요전임 성우랑 상당히 흡사한 음색으로 연기했고 오히려 연기력은 미나구치 유코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에 호평이 많다.[34]
  • 일본어사탄(Satan)이 サタン이고 새턴(Saturn)이 サタン으로 표기가 비슷한 탓에 종종 표기 오류가 일어나곤 한다. 폴란드에서 세일러 문 원작 만화 폴란드어 번역판을 출간할 당시 번역 오류로 세일러 새턴이 처음 나올 때 세일러 사탄(...)이라고 하는 사고를 친 적이 있다. 물론 그 다음 화부터는 새턴이라고 한다. 참고. 세일러 문 뮤지컬에서는 아예 SATAN이라고 적는 실수를 한 적도 있다. 링크
  • 현대 마법소녀물의 보라캐 포지션의 기원에 가까운 캐릭터들 중 하나인 만큼 보라캐하면 연상되는 속성이 많다. 신전사[35], 신비롭고 성숙한 분위기, 전투력 보정 등. 다만 이후 나오는 마법소녀물의 보라캐들이 주로 동료들과 나잇대가 같거나 조금 많거나 하는데 비해 이쪽은 대다수의 동료들보다 나이가 어리고[36] 끽해야 나이가 좀 비슷한 동료는 같은 초딩인 치비우사 정도라는 게 특이점.[37]
  • 태양계 세일러 전사 중 구작 방영 당시 개봉한 극장판에는 유일하게 모두 출연하지 못하였다.[38]
  • 레트로가 유행하기 시작하며 1990년대 감성의 애니메이션 이미지나 움짤의 주인공으로 많이 잡히는 캐릭터이기도 하다. #
  • 파일:호타루2.jpg파일:990614C.jpeg.jpg

    이 캐릭터의 팬아트를 주로 그리는, 90~00년대에 주로 활동했던 히노타마(과거 사용하던 명의는 히노 류타로)라는 일러스트레이터의 작품들이 유명하다. 구작 애니메이션과 굉장히 흡사한 그림체를 가지고 있기에 히노타마의 일러스트를 구 애니 공식 일러스트인 줄 알고 퍼다 나르는 경우도 허다하다. #

[1] 완결에서는 14세[2] 비중 있는 준주역 캐릭터로 루나, 세일러 플루토, 샤키도 겸해 맡았다.[3] 160화(일본판 기준 197화) 한정으로 잠시 맡았으며, 유리와 중복이다. 실제로 플루토와 새턴이 함께 있는 경우가 많아 이선 성우가 자문자답을 하기도 했고 최후반부에는 이선 성우가 담당한 배역이 모두 한 자리에 모여있었던 것이 가장 큰 이유로 보인다.[4] 1기에서 세라의 친구 한나 역을 맡았었는데 R부터 이 배역은 후배 성우가 담당해 한동안 출연이 없다가 S에서 코코 역으로 다시 출연하게 되었다. 코코의 여린 목소리를 잘 연기했다는 평이다.[5] 세일러 새턴을 맡은 역대 배우 중 첫 21세기 출생 배우이다.(2002년생)[6] 풀 네임은 코코리나 페르손. KBS판에서 자기소개를 할 때 언급한다.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그냥 '코코 페르손'이라 칭하기도 한다.[7] 새턴이 파멸의 전사라는 설정인 이유는 '새턴'의 일본식 발음이 '사탄'과 비슷하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점성술에서 토성이 상징하는 바가 '묵묵한 이단자가 기존 질서의 파괴를 행한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라는 말도 있다. 점성술 항목 참조.[8] 원작 만화 4기 데드문 편과 극장판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Eternal에서 어린 호타루가 이 시를 읊는 구절이 있다.[9] 파멸 다음엔 다시 새로운 시작(탄생)이 있으니 여러 가지로 의미 있는 말. 본인의 이름도 탄생과 밀접한 뜻을 가지고 있고(모에→싹트다) 역시 새로운 탄생을 겪었으니 정말 본인에게 어울리는 말.[10]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파멸과 탄생의 요정 세일러 새턴'이라고 하기도 한다.[11] 私は死の淵よりの使者!破滅の星!土星を守護にもつ沈黙の戦士!セーラーサターン![12] 우주(=우라누스), 이차원(=넵튠), 시공(=플루토).[13] 원래 새턴에 대응되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은 크로노스인데, 그 크로노스의 무기가 아다만트의 낫 스퀴테이다.[14] 다만 각성 전, 치유 능력을 사용했을 때는 사일런스 글레이브 없이도 시전이 가능했다.[15] KBS의 경우 네 뜻대론 되지않아!라는, 대사에 가까운 말을 사용한다.[16] 이는 아마 토성의 고리를 형성화한 것으로 추측한다.[17] 2011년에 코단샤에서 직접 발간한 세일러 문 만화 신장판 영어 번역본에서는 Ribbon이라고 번역했다.[18] 심홍색 고리가 3개 달린 행성형 구체로 묘사되는데 보기에 따라서는 원자와 비슷하게 생겼다. 아울러 구작의 월드 셰이킹이나 코스모스의 스페이스 타뷸런스와 비슷하게 돌진하는 모습도 나오는데 새턴과 플루토의 합체기인데다 갤럭시아의 버프까지 들어간 영향인지 앞의 두 필살기와는 달리 상당히 무겁고 위협적으로 묘사된다.[19] 갤럭티카 캐논이 날아올 때 치비 치비가 당황하고 공격을 막을 때 힘들어하며 보호막이 금이 갔을 정도고 간신히 막은 뒤 튕겨나갈 정도였다.[20] 참고로 마스터 파라오 90은 데스 팬텀을 소멸시켰을 때보다 훨씬 강해진 슈퍼 세일러 문과 슈퍼 치비 문, 그리고 4수호신 전원이 힙을 합쳤는데도 불구하고 이들의 에너지를 모조리 흡수하여 영역을 넓혀나갔다. 이렇듯 상성 문제도 있었지만 새턴의 파멸의 힘은 이런 마스터 파라오 90을 소멸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지를 갖고 움직이는 행성을 정화시킬 수 있는 당시 모녀의 정화력보다 월등히 강하다고 볼 수 있다.[21] 그나마 네헤레니아전에선 파멸의 힘을 발동시키려 했으나, 자신의 제일 소중한 절친인 치비문 때문에 무산.[22] 몇 몇 사람들은 이 능력을 미스트리스 9의 능력으로 잘못 알고 있는데, 원작 4기에서 각성 전 호타루 역시 깨진 접시 조각 때문에 팔이 다치자 이 능력을 쓴고로 새턴으로서의 능력이 맞다.[23] 심지어 '꿈의 전사 영원히' 본판에선 새턴이 각성하지 않아 턱시도 가면은 살아 돌아오지 못한 채로 이야기가 끝난다.[24] 은 공격과 회복 둘 다 가능하지만 방어 능력이 없고(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초음파 공격은 실용성이 매우 떨어지며, 대신 기본적으로 다른 전사들과 비교하여 생존력은 타의추종을 불허한다.) 우라누스는 순수 공격형, 마스가 의외로 새턴과 비슷하게 회복 능력과 방어 능력 둘 다 있지만 회복 능력의 경우 문이나 새턴만큼의 포텐셜이 없고(상처 치료나 죽은 사람을 부활시키는 능력은 없고 그저 상태이상 회복 정도에 불과), 쥬피터딜탱형, 비너스넵튠은 밸런스형에 회복능력이 없고, 플루토는 공격과 방어 둘 다 가능하지만 회복 능력 부재, 머큐리는 순수 방어형, 치비문은 최약체인지라 새턴 만큼의 만능 전사는 없을 정도.[25] 출연이 잦은 뮤지컬에서도 격투 능력 묘사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26] 다만 쥬피터나 우라누스, 더 나아가 비너스 같은 전사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변신 전에도 신체 능력은 물론이고 격투 능력이 뛰어난 전사들은 변신 후에는 더욱 강해지는 한 편, 문이나 머큐리 같이 신체 능력이 뒤떨어지는 전사들은 일반인보다 더 나은 수준까지만 강화되는 걸 보면 새턴도 저들과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다. 더불어 설정집에서조차 세일러 전사로 변신하면 2층 높이까지 올라갈 수 있을 정도의 신체 능력을 얻고 정신적인 변화가 생기는 정도지 체력이나 지력까지 향상되진 않는다고 기재되었다.[27] 네헤레니아와 갤럭시아는 새턴이 방심했을 때 그녀 본인보단 사일런스 글레이브를 노렸을 정도였다. 거기다 사일런스 글레이브를 잃은 새턴은 그 이후론 아무것도 못한 채 갇히거나 죽음을 맞이했다.[28] 정확히는 호타루 본인의 이미지라기 보다는, 호타루의 육체를 흡수한 존재 겸, 구애니 한정 호타루 자신의 악한 인격인 미스트리스 9이 각성한 상태의 모습일 가능성이 높다. 이 각성버전이 호타루의 성인/중고등 나이 버전이기 때문이다. 만약 호타루가 우사기와 비슷한 나이가 되면, 호타루 인격의 미스트리스 9처럼 성장할지도 모른다.[29] 90년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들임에도 불구하고 2014년 모 여초 커뮤니티에서 실시한 만화 / 애니메이션 여자 캐릭터 비주얼 부문 투표에서 이 둘이 각각 1위와 3위를 차지했으며 세일러문 인기 투표에서는 2위를 하기도 했다.[30] 원작에선 갤럭시아에게 플루토와 같이 크리스탈을 빼앗기고 가짜로 나왔으며, 본래 역할은 세일러 콰르텟이 했다.[31] 대원 더빙판은 "당신은 세일러 문의 친구인가요?"[32] 대원 더빙판은 "어, 친구야." 라고 답한다.[33] 대원 더빙판은 "그럼 다행이네요. 우린 똑같은 희망을 품고 있는 것 같으니까요. 부디 우리의 공주님을 믿어주세요."[34] 여담으로 이 둘은 훗날 게게게의 키타로 6기에서 만났는데 공교롭게도 역할로 호흡을 맞췄다.[35] 등장순번을 따졌을 때를 말하는 것이다.[36] 우사기와 내전사들이 호타루가 등장할 당시 중딩, 하루카와 미치루는 고등학생, 세츠나는 대학생.[37] 허나 그 치비우사도 외관연령은 호타루보다 좀 더 어리다. 원작, 신작, 구 애니 모두 치비우사가 외관 연령이 호타루보다 좀 어려서 키도 더 작다.[38] S 극장판이 나온 시점은 아직 호타루가 등장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이고 호타루에 관한 떡밥을 숨기려면 등장시키기 애매한 감이 없잖아 있었다. SS 극장판의 경우 호타루가 아기로 되돌아가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등장시키는 것이 불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