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0:08

도호쿠벤

토호쿠벤에서 넘어옴
일본어의 방언(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홋카이도 방언 도난 방언 · 마츠마에벤
도호쿠벤 츠가루벤 · 난부벤 · 아키타벤 · 쇼나이벤 · 호쿠에츠벤 · 야마가타벤 · 센다이벤 · 후쿠시마벤
간토벤 에도벤 · 이바라키벤 · 도치기벤 · 군마벤 · 사이타마벤 · 보소벤 · 타마벤 · 가나가와벤
도카이벤 시즈오카벤 · 미노벤 · 미카와벤 · 나고야벤 · 히다벤
고신에츠벤 코슈벤 · 신슈벤 · 에치고벤
호쿠리쿠벤 도야마벤 · 카가벤 · 노토벤 · 후쿠이벤
간사이벤 교코토바 · 오사카벤 · 오미벤 · 나라벤 · 키슈벤 · 하리마벤 · 반슈벤
시코쿠벤 사누키벤 · 이요벤 · 하타벤 · 도사벤 · 아와벤
주코쿠벤 오카야마벤 · 히로시마벤 · 빈고벤 · 이즈모벤 · 이와미벤 · 야마구치벤 · 돗토리벤
규슈벤 하카타벤 · 사가벤 · 나가사키벤 · 오이타벤 · 구마모토벤 · 휴가벤 · 사츠마벤 · 모로카타벤
오키나와벤 우치나 야마토구치 · 쿠니가미어 · 오키나와어
도서부벤 하치조 방언 }}}}}}}}}

1. 개요2. 역사 및 특징3. 종류
3.1. 북오우방언(北奥羽方言)
3.1.1. 츠가루벤(津軽弁)3.1.2. 난부벤(南部弁)3.1.3. 이외 북오우방언
3.2. 남오우방언(南奥羽方言)
4. 구사자
4.1. 실존 인물4.2. 가상인물
5. 기타

1. 개요

(동북변)

도호쿠 지방에서 쓰이는 방언. 옛 번국명에서 따와서 '오우방언(奥羽方言)'이라고도 불린다. 역사적으로 홋카이도보다는 도호쿠 지방과 연이 많았던 홋카이도 최남단 지방(오시마 종합진흥국 등)의 방언도 도호쿠 본토 방언과 유사성이 많아서 같이 묶이기도 한다.

2. 역사 및 특징

역사적으로 일본의 전통적인 수도는 교토였고, 교토를 위시한 칸사이 지방에서 일본어가 지방으로 동심원 형태로 퍼져가면서 발전해왔다는 이론이 있는데, 여기에 따르면 칸사이벤이 일본어의 제일 최근 형태이고 칸사이 지방에서 가장 먼 거리인 큐슈 남단이나 도호쿠 북단 지방의 일본어가 가장 오래되고 옛 일본어의 형태를 가장 잘 간직한 방언이 된다.[1] 실제로 일부 지방 방언에선 현재 일본어의 50음도로 표기할 수 없는 괴악한 발음들이 남아있어서 글로 받아적는 거부터가 굉장히 난해하다. 또한 아이누어와 음운이나 지명, 일부 어휘에서 유사한 부분이 있는데 언어학자들은 혼슈지역에서 쓰였던 아이누어의 흔적이라고 보고 있다. 실제 도호쿠 지역은 헤이안 시대까지는 에조 및 에미시라고 불러지며 일본과는 별개의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당연히 이 당시에 일본어는 도호쿠에서 쓰이지 않았고, 도호쿠 에미시와 의사소통이 안되어서 통역을 동원했다는 당대의 기록이 존재하기에 아이누어가 도호쿠에서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세기부터 11세기에 걸쳐 아이누 계통의 군장국가들이 일본에게 복속된 이후로도 17세기까지도 아이누어가 도호쿠 일부지역에서 쓰였을 정도였다. 그래서 논문을 보면 도호쿠 지역의 지명이나 도호쿠 방언의 일부 어휘의 경우에는 아이누어로부터 왔다고 되어 있다. 즉, 고대 일본어를 기본으로 하고, 거기에 기존의 도호쿠 원주민들이 쓰던 혼슈 아이누어가 섞인 것이 도호쿠 방언이다. 따라서 기본적인 표현도 굉장히 이질적이어서, 타 지역 일본인들마저 도호쿠 지방 토박이들의 사투리를 도통 못 알아듣고는 한다. 도호쿠 지방 안에서도 사투리를 고수하는 나이든 세대와 각종 미디어의 영향으로 표준어를 받아들이는 어린 세대 사이 소통이 힘든 경우도 적지 않다. 아예 시골 쪽으로 가면 같은 집안의 할아버지 세대와 손자 세대의 대화가 불가능할 정도라고 한다.

도호쿠 방언이라는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여있지만, 지방에 따라 방언의 차이가 큰 편이다. 아래 특성이 두드러지게 드러나거나 거의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도호쿠 방언의 일반적인 특성은 요츠가나(실제로 일본 방언학에서 방언을 구분하는 척도로 사용된 적이 있다.)와도 관련이 있는데, じ와ぢ의 발음이 동일하고, ず와 づ의 발음이 동일하지만 두 쌍의 발음은 다른 표준 일본어와 달리 じ, ず, ぢ, づ 네 개의 발음이 전부 무너져서 같은 발음으로 발음된다. 남오우방언에서는 이 발음이 [d͡zɯ], 한국어의 어중 '즈'에 가까운 발음이고 북오우방언에서는 [d͡ʑi], 한국어의 어중 '지' 발음이다. 이런 이유로 일본 내에서는 도호쿠 방언은 저 네 발음이 구분 안되고 즈즈거리기만 한다고 아예 '즈즈벤(ズーズー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다만 이쪽은 약간 멸칭 뉘앙스가 있으므로 사용상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높은 확률로 단어의 중간이나 끝에 오는 청음이 어중에서 탁음화되고, 반대로 탁음은 어중에서 약한 비음을 동반한다는 점도 특징이다. 참고로 한국에서 쓰이는 냄비, 담배란 낱말의 어원도 '나베', 'タバコ'의 이러한 사투리 발음(남베, 담바고)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억양이 약하(고저 악센트가 평탄하)다. Chakuwiki(차쿠위키)에서는 평양과 서울을 포함해 (동남 방언을 제외한) 일반적인 한국어도호쿠풍의 무악센트 같다고 평가한다. 비슷함을 느낄 수 있는 법은, 일본어 그렇습니까를 뜻하는 '소(우)데스까'와 이와 비슷한 맞나를 말해보면 된다.


또한 이런 영상도 있다.

2.1. 문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호쿠벤/문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종류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5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보통 북오우방언(北奥羽方言)과 남오우방언(南奥羽方言) 두 분류로 나뉘는데, 북오우방언은 도호쿠 지방 중에서도 동해 연안과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이와테, 야마가타 등 북쪽 지방의 방언이고 남오우방언은 태평양 연안과 미야기, 후쿠시마 등 남쪽 지방 방언이다. 물론 어느 정도 언어학적 유사성에 따라 묶여있지만 이 카테고리 안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혼슈 최북단인 츠가루 지방 방언은 표준 일본어와 매우 이질적이라 일본 내에서도 알아듣기 힘든 방언으로 악명이 높다.

쓰가루벤의 인지도 때문에 일반적으로 도호쿠벤이라고 하면 츠가루벤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츠가루벤 이외의 도호쿠벤을 설명할 땐 센다이벤, 난부벤 등 지역 이름을 붙여서 설명해야 한다.

3.1. 북오우방언(北奥羽方言)

3.1.1. 츠가루벤(津軽弁)

도호쿠 지방 중앙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오우산맥 이서 지역인 아오모리 현(혼슈 최북단) 아오모리시와 히로사키시 등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도호쿠 방언 중에서 가장 화자가 제일 많고 기본적인 회화조차 잘 안 통할 정도로 도호쿠 방언 중에서도 알아듣기 힘들기로 정평이 나 있는(...) 방언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츠가루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표준 일본어에서는 비교적 정확히 지켜지는 장음, 탁음 모라가 약화되거나 아예 무시되어서 발음된다.

츠가루 지역을 포함한 북오우 방언은 타 지역 방언에 비해 두드러지는 특징이 몇가지 있는데, 첫번째는 위에서 말했듯이 옛 일본어의 형태를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점이다. 타 지역에서는 다른 표현으로 대체되거나 사멸한 고전 일본어 시기 어휘들이 비교적 원형을 간직한 채로 남아있는 경우가 다수 있다.
츠가루벤 어휘 대응하는 고전 일본어 어휘 의미
我(われ)
汝(なれ)
まいね, まね まな 안된다(だめ)
いとまが 暇(いとま, いつま) 잠깐
ほいど 陪堂(ほいと) 거지, 깍쟁이
うだで うたてし 기분나쁘다, 굉장하다
かでる 糅てる(かてる) 섞다, (다른 집단에) 섞이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일본 역사상 비교적 개척 시기가 늦고 아이누 민족성이 비교적 최근까지 남아있던 지역이기 때문에, 아이누어에서 차용하거나 영향을 받은 어휘가 일부 존재한다. 또한 홋카이도만큼은 아니어도 아이누어에서 유래한 지명도 어느 정도 남아있는 편.
츠가루벤 어휘 대응하는 아이누어 어휘 의미
ちゃぺ ca(p)pe / チャッペ 고양이


프랑스어(...)로 들리는 츠가루벤. 정작 한국어 같다는 의견이 더 많다. 일본어가 어느 정도 된다면 어디까지 알아들을 수 있나 확인해보자.


츠가루벤을 제1언어로서 구사하는 할머니들의 대화. 표준 일본어로 공교육을 받고 자란 세대인 위의 영상의 화자들과 다르게 이쪽은 아예 츠가루벤을 모어로 써오며 자란 세대라 알아듣기 더더욱 힘들다. 이건 중국어 같은데?;;; 다행히도 일본어 자막이 있으니 참고할 것.


아오모리출신 요시 이쿠조의 신곡 「츠가루」.
번역은 유튜브 댓글을 참조하자

3.1.2. 난부벤(南部弁)

난부벤은 도호쿠벤중 츠가루벤 다음으로 화자가 많으며, 하치노헤 시 등 아오모리현 동부 지역을 포함하여 이와테현 북부 일부 지역(니노헤, 카루마이, 쿠지 등)에서도 사용되는 방언이다. 하지만 쓰가루벤의 인지도 때문에 아오모리 지역 현지인조차 자기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 전부 츠가루벤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

난부벤 중에서도 오리츠메산을 경계로 하치노헤시, 하시카미초를 포함한 아오모리현 동남부지역과 이와테현 카루마이마치, 히로노초 지역은 억양이 거친 반면, 산노헤마치, 니노헤시, 하치만타이시 지역은 다소 부드럽다. 때문에 일례로 하치노헤와 카루마이 사람이 서로 평범한 대화를 나누는걸 니노헤 사람은 싸우는걸로 오해를 할 정도다.

同じ青森出身だけとお互いの言葉が全くわからない
월요일부터 밤새기에, 해당 링크의 25초부터 츠가루벤 화자와 난부벤 화자들이 서로 대화를 하면서 차이를 느끼는 장면이 나왔다. 나중에는 아오모리현의 또 다른 방언 중 하나인 시모키타벤도 등장.



난부벤으로 일상대화를 하는 난부지역 어르신들.

3.1.3. 이외 북오우방언

  • 시모키타벤
  • 아키타벤: 아키타현 전역
  • 쇼나이벤: 야마가타현 해안 지방
  • 호쿠에쓰 방언(가에쓰 방언)
  • 오토리 방언
  • 미오모테 방언

3.2. 남오우방언(南奥羽方言)

  • 모리오카벤 - 이와테현 중남부. 북부지방은 사실상 난부벤 구사지방이다.
  • 센다이벤 - 미야기현 전역
  • 야마가타벤 - 야마가타현 내륙 지방
  • 무라야마벤
  • 신조벤
  • 오키타마벤
  • 나카도오리 방언(후쿠시마벤): 후쿠시마현 내륙 나카도리(코리야마, 후쿠시마시를 잇는 저지대) 지방
  • 아이즈벤: 후쿠시마현 서부 산간지방
  • 하마도오리 방언

4. 구사자

4.1. 실존 인물

4.2. 가상인물

5. 기타

도호쿠전력히로사키대학은 도호쿠전력의 사내 콜센터 직원들이 노인들이 구사하는 츠가루벤을 전혀 알아먹지 못해서 AI를 활용한 통역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한 사례가 있다. 또한 히로사키대학의 의대생들은 츠가루벤을 사용하는 환자들의 진료를 위해 츠가루벤을 배운다고 한다.# 이 사례들을 비추어 보면 아직도 츠가루벤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냥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1] 의외로 홋카이도에서 쓰이는 일본어는 실제 일본령으로 편입돼서 본격적으로 개발된 역사가 19세기 중반으로 짧은 편이라 오히려 표준어에 상당히 가깝고, 오키나와 방언은 역사적으로도 그렇고 아예 방언이 아니라 다른 언어로 분류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