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10:50

일본어/방언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일본어
,
,
,
,
,

일본어의 방언(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홋카이도 방언 도난 방언 · 마츠마에벤
도호쿠벤 츠가루벤 · 난부벤 · 아키타벤 · 쇼나이벤 · 호쿠에츠벤 · 야마가타벤 · 센다이벤 · 후쿠시마벤
간토벤 에도벤 · 이바라키벤 · 도치기벤 · 군마벤 · 사이타마벤 · 보소벤 · 타마벤 · 가나가와벤
도카이벤 시즈오카벤 · 미노벤 · 미카와벤 · 나고야벤 · 히다벤
고신에츠벤 코슈벤 · 신슈벤 · 에치고벤
호쿠리쿠벤 도야마벤 · 카가벤 · 노토벤 · 후쿠이벤
간사이벤 교코토바 · 오사카벤 · 오미벤 · 나라벤 · 키슈벤 · 하리마벤 · 반슈벤
시코쿠벤 사누키벤 · 이요벤 · 하타벤 · 도사벤 · 아와벤
주코쿠벤 오카야마벤 · 히로시마벤 · 빈고벤 · 이즈모벤 · 이와미벤 · 야마구치벤 · 돗토리벤
규슈벤 하카타벤 · 사가벤 · 나가사키벤 · 오이타벤 · 구마모토벤 · 휴가벤 · 사츠마벤 · 모로카타벤
오키나와벤 우치나 야마토구치 · 쿠니가미어 · 오키나와어
도서부벤 하치조 방언 }}}}}}}}}

1. 개요2. 분류3. 종류
3.1. 동일본 방언
3.1.1. 홋카이도 방언3.1.2. 도호쿠 방언3.1.3. 간토 방언3.1.4. 주부 방언
3.2. 서일본 방언
3.2.1. 호쿠리쿠 방언3.2.2. 간사이 방언3.2.3. 주고쿠 방언3.2.4. 운파쿠 방언3.2.5. 시코쿠 방언
3.3. 규슈 방언
3.3.1. 호니치 방언3.3.2. 히치쿠 방언3.3.3. 사츠구 방언
3.4. 기타
4. 일본어족의 언어

[clearfix]

1. 개요

일본 야마가타현의 사투리 쇼나이벤. 3분 28초부터 계속 들어볼 수 있는데 (공통어 해석은 9분 38초부터) 가히 외계어 수준이다. 한국어 화자가 이해하기 쉽게 비유하자면 서울 사람이 아주 심한 동남 방언이나 제주 방언을 듣는 정도와 비슷하다.

일본어방언에 대한 문서.

국립국어원이라는 국가기관에 의해 표준어가 제정되어 있는 한국어와 달리, 일본어에는 '표준 일본어'라는 것이 공식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언중들은 완전히 틀린 문법이나 정서법이 아닌 이상 자유롭게 자신의 방식대로 일본어를 쓰고 말할 수 있다. 다만 정부에서 지정한 표준어가 없을 뿐 표준어에 상응하는 개념 자체는 암묵적으로 통용되며 방송 등 공식적인 상황에서의 권장안도 있는데, 이를 전국공통어(全国共通語) 줄여서 공통어(共通語)라고 한다. 이 공통어는 도쿄야마노테(山の手) 일대, 즉 아카사카, 아자부, 요츠야에도 성 주변 지역의 방언을 토대로 삼았지만, 방언을 배제하는 한국의 표준어와는 달리, 방언도 전국적으로 의미가 통한다면 공통어에 포함된다.[1] NHK 아나운서의 뉴스 억양은 공통어의 정수이자 표본이라고 한다. 또한 한국어에 서울 사투리가 있는 것처럼, 일본어에도 에도벤이라는 게 따로 있다.

2. 분류

일본어의 본토 방언은 크게 동일본 방언과 서일본 방언, 규슈 방언으로 분류되며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동일본 방언에는 홋카이도 방언(北海道方言), 도호쿠 방언(오우 방언奥羽方言), 간토 방언(関東方言), 도카이 토산 방언(주부 방언 中部方言)이 있으며, 서일본 방언에는 호쿠리쿠 방언(北陸方言), 긴키 방언(近畿方言), 주고쿠 방언(中国方言), 파쿠 방언(雲伯方言), 시코쿠 방언(四国方言)이 있고, 규슈 방언에는 호니치 방언(豊日方言), 히치쿠 방언(肥筑方言), 사쓰구 방언(薩隅方言)이 있다.

지방분권적이며 봉건적이었던 일본의 역사 때문에 방언도 다양하다. 간사이벤, 도사벤, 나고야벤, 하카타벤 등이 있다. 도호쿠 지방으로 가면 일본인들도 현지 통역이 필요하다고 할 정도로 표준 일본어와는 한참 먼 방언을 쓰며 일본이 헤이안 시대-중세 시기에 도호쿠 일대를 완전히 정복하기 이전까지는 아이누족과 혈통상으로나 언어적으로 가까운 에조 종족들이 살았기 때문에 음운이나 일부 어휘에서 아이누어의 영향도 받았다. 홋카이도는 19세기 메이지 유신 이후에야 본격적인 개척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방언이 두드러지지 않지만 중세 시대부터 홋카이도 일부 해안에 자리잡고 아이누와 교역을 해오던 일본인들이 쓰는 홋카이도 해안 방언은 도호쿠 방언만큼 난이도가 높다.

예로부터 써오던 류큐의 언어는 본토 일본어와 소통이 힘들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류큐어라는 별개의 언어로 분류한다. 게다가 이 류큐어도 오키나와어, 미야코어 등 여러 개의 방언 혹은 개별 언어로 나뉜다. 하지만 상당수 일본인들은 류큐어를 그냥 알아듣기 힘든 사투리로 취급하는 듯. 다만 비교적 최근에 형성된 오키나와의 사투리인 우치나 야마토구치는 표준 일본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일본어의 방언으로 분류되며, 본토 사람들과도 그럭저럭 소통이 가능하다.

혼슈에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이즈 제도하치조 섬(八丈島) 등에서는 하치조어(八丈語) 혹은 하치조 방언이라는 사투리를 사용한다. 하치조 방언에는 고대 일본어의 모습들이 남아있으며, 류큐어만큼은 아니지만 본토 일본어와 소통이 어렵기도 하고, 현존하는 일본어파 언어와는 다른 계통[2]이기도 하기에 독립된 언어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3. 종류

일본의 47개 도도부현 여성들이 각 지역 방언으로 오우치(우리집) 와이파이라는 게 정말 빨라요. 진짜 편하니까 연결해 봐요.라는 표현을 하는 영상. 지역마다 억양과 강조 표현('정말')이 다른 것을 비교해 들을 수 있다.

3.1. 동일본 방언

3.1.1. 홋카이도 방언

홋카이도 방언 문서 참조.
  • 해안부 방언(海岸部方言) - 해안부 방언 중 어촌에서 쓰이는 말은 하마코토바(浜言葉)라고도 한다.
  • 내륙부 방언(内陸部方言) - 해안부 방언을 제외한 곳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3.1.2. 도호쿠 방언

3.1.3. 간토 방언

일본의 수도 도쿄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 간토의 방언이다. 현대의 간토 지방의 젊은 층에서는 기존의 간토 방언 대신 거의 도쿄말이 우세하다. 한국으로 비유하면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 방언이라고 볼 수 있다.

3.1.4. 주부 방언

3.2. 서일본 방언

3.2.1. 호쿠리쿠 방언

3.2.2. 간사이 방언

전근대 일본의 수도권의 언어로 명실공히 일본에서 가장 인지도 있고 유명한 사투리이다. 간사이벤 항목 참조.

3.2.3. 주고쿠 방언

3.2.4. 운파쿠 방언

3.2.5. 시코쿠 방언

3.3. 규슈 방언

학자에 따라 서일본 방언에 포함하기도 한다.

3.3.1. 호니치 방언

3.3.2. 히치쿠 방언

3.3.3. 사츠구 방언

3.4. 기타

4. 일본어족의 언어

상호 의사 소통성을 기준으로 언어학계에서는 이들 언어를 일본어의 방언이 아닌, 일본어와 구분되는 별개 언어로 간주한다. 그러나 일상적으로는 그저 알아듣기 어려운 일본어의 방언으로 지칭되는 경우가 많다.


[1] 대사전이 아닌 작은 일본어 사전에도 방언 단어가 꽤 많이 수록되어 있다.[2] 상대 일본어는 크게 규슈 상대 일본어, 상대 서부 일본어, 상대 동부 일본어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일본어파 언어 대부분이 상대 서부 일본어로부터 유래한 것과 달리 하치조어는 상대 동부 일본어 유래이다.[3] 어느 정도냐면, 아오모리 출신 일본 유튜버가 "그냥 느끼세요... 저 정도면 일본인도 못 알아듣거든요(...)."라고 실토했다.[4] 에도벤은 서민들과 상인들이 쓰던 말/어휘/억양을 의미하며 이는 무사들의 언어이자 현대 일본국 표준어의 근간인 야마노테 억양과는 달랐다. 영국으로 치면 (노동자 계층의 언어였던) 코크니 악센트와 (왕실 억양이었던) 용인발음이 확연히 차이나는 것과 같다.[5] 야마노테/야마테 지방은 에도성을 둘러싼 무가촌 일대를 이르는 말로, 한국으로 치자면 조선시대 "사대문 안쪽"으로 해석해도 무방하다. 오늘날에는 미나토구 서부, 치요다구 남서부, 신주쿠구 동부, 분쿄구에 해당한다. 도쿄의 노른자 땅이라고 할 수 있는 아오야마, 아카사카, 롯본기, 나가타쵸 등도 여기에 해당된다.[6] 다만 오늘날 일본국 표준어(標準語)의 구체적인 법적 근거는 문부성칙령 이후 구어법(口語法, 1916)과 구어법별기(口語法別記, 1917)에서 찾을 수 있다.[7] 수도권[8] 너의 이름은.미야미즈 미츠하가 쓰는 사투리다.[9] 직역하면 '수도'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9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