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산하 AAA팀 솔트레이크 비즈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 | <colcolor=#ffffff> 투수 |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000000> 6 토레스 · 12 세이그 · 14 케리 · 24 대럴-힉스 · 34 하딩 · # 펠리페 · # 브리세노 · # 허드슨 · # 로드리게스 · # 브록돈 · # 곤잘레스 · # 카세레스 |
포수 | 16 험프리스 · 36 멀라인 · # 크라우치 · # 리베로 | |
내야수 | 4 케첩 · 7 앤더슨 · 8 키붐 · 12 화이트 · 13 산체스 · 17 스티븐스 · 28 데이비스 | |
외야수 | 7 월러스 · 28 플린트 · # 테오도시오 | |
'''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솔트레이크 비즈 No. | |
팀 앤더슨 Tim Anderson | |
본명 | 티머시 데번 앤더슨 Timothy Devon Anderson |
출생 | 1993년 6월 23일 ([age(1993-06-23)]세) |
앨라배마 주 터스컬루사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힐크레스트 고등학교 - 이스트 센트럴 커뮤니티 칼리지 |
신체 | 185cm | 84kg |
포지션 | 유격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201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7번, CHW) |
소속팀 |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6~2023) 마이애미 말린스 (2024) |
[clearfix]
1. 개요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산하 마이너 소속 유격수.2. 선수 경력
팀 앤더슨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 팀 앤더슨/선수 경력 | ||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2023년 |
3. 플레이 스타일
타격 포텐이 터진 원인은 앤더슨의 파워, 그리고 타격 메커니즘의 변화에 있다. 유망주 시절부터 30홈런을 기록할 포텐셜이 있다고 평가될 정도로 파워가 있었고, 타격에서 그다지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던 2017년과 2018년에도 각각 17홈런-20홈런을 기록하며 파워 툴을 보여줬다. 다만 컨택이 받쳐주지 못해 빛이 다소 바래고 있었는데, 2019년부터 풀스윙 대신 컨택에 집중해 상황에 따라 적절히 밀어치는 타격 스타일로 바꾸면서 성적이 급상승했다. 무리해서 잡아당기지 않고 적절히 밀어치니 평균적인 타구 질이 좋아졌고, 여기에 앤더슨 본인의 기본적인 파워가 더해지며 평균 타구 속도도 2.5마일이나 상승했다. 즉 타구 질의 비약적인 향상으로 BABIP가 폭등, 타율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던 것. 1할에 가까운 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홈런 숫자는 크게 줄어들지 않았는데, 2019년에 부상으로 수십 경기를 날렸는데도 18홈런을 기록할 정도로 파워를 보여줬고, 선구안과 적극적 타격 성향으로 인해 떨어질 수밖에 없었던 타격 생산성을 극복하는 데 성공하였다.
다만 포텐이 터진 후에도 극단적으로 적극적인 타격 스타일은 여전하다 보니, 고질적인 볼삼비의 약점은 개선되지 않았다. 통산 103볼넷 706삼진으로 BB/K는 고작 0.15에 불과하며, 타격왕을 차지한 2019년에도 15볼넷 109삼진이라는 기가 막힌 볼삼비를 보여준 바 있다. 볼넷이 적은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적극적 타격 성향으로 인해 삼진이 남들보다 많다 보니 발생한 일. 단축시즌인 2020년을 제외하면 꼬박꼬박 세 자릿수 삼진을 적립중이다. 물론 컨택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 2019년부터는 이러한 약점을 다른 장점들로 충분히 상쇄하고 있지만, 하비에르 바에즈의 경우처럼 에이징 커브를 겪고 운동능력이 하락하게 된다면 이 단점이 보다 크게 부각될 수도 있다.
수비의 경우 이전에는 무식하게 툴만으로 수비한다는 느낌이 강했었다. 툴 자체는 어깨도 강하고 수비 범위도 준수할 정도인데,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처럼 글러브질이 불안한 데다가 무리한 플레이를 본인이 즐기는 바람에 실책이 많았었다. 유격수로 한 시즌 1000이닝 이상 소화하기 시작한 2017년 이후 3년간 실책 수가 28-20-26으로, 실책이라는 스탯 자체의 불완전성을 감안하더라도 상당히 많은 수였다. 세이버 지표에서도 그나마 실책이 적었던 2018년을 제외하면 전부 UZR이 음수였다. 그런데 2021년 들어 다소 무리한 플레이를 자제하며 화려한 수비나 범위는 좀 줄었지만, 반대급부로 실책을 단 10개까지 줄이는데 성공했다. 덕분에 2018년 이후 3년만에 팬그래프 수비 지표가 양수를 찍었고 향후 수비의 발전을 기대해 볼 수 있었다.
파워가 강함에도 불구하고 주력이 뛰어나 유망주 시절에는 30-30도 노려봄직하다는 평을 들었으며, 프로 데뷔 후에도 단축시즌인 2020년을 제외하면 매년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중이다. 2019년부터는 부상 방지를 위해 도루 수를 조금 줄이긴 했지만, 그래도 20개 가까이 기록 중. 통산 도루성공률도 78.4%로 준수하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5. 여담
- 농구선수로도 활약중이다.
- 어렸을 적 드럼을 배웠다.
- TA7이라는 브랜드를 만들었고 개인 후원사인 나이키와 협업도 했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5년 ~ | ||||
1965 켄 펠샤 포수 / 전체 17번 | 1966 카를로스 메이 외야수 / 전체 18번 | 1967 댄 헤인스 3루수 / 전체 13번 | 1968 리치 맥키니 유격수 / 전체 14번 | 1969 테드 니콜슨 3루수 / 전체 3번 | |
1970 리 리차드 유격수 / 전체 6번 | 1971 포수 / 전체 1번 | 1972 마이크 온디나 외야수 / 전체 12번 | 1973 스티브 스위셔 포수 / 전체 21번 | 1974 래리 먼로 투수 / 전체 8번 | |
1975 크리스 냅 투수 / 전체 11번 | 1976 스티브 트라웃 투수 / 전체 8번 | 1977 해롤드 베인스 1루수 / 전체 1번 | FA 론 블럼버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 1979 스티브 부셸 유격수 / 전체 9번 | |
1979[1] 리키 세일헤이머 포수 / 전체 19번 | 1980 세실 에스피 외야수 / 전체 8번 | 1981 대릴 보스턴 투수 / 전체 7번 | 1982 론 카코바이스 포수 / 전체 14번 | 1983[2] 조엘 데이비스 투수 / 전체 13번 | |
1983[3] 러스 모란 외야수 / 전체 28번 | FA 플로이드 배니스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 1984[4] 토미 멜렌데즈 투수 / 전체 20번 | 1984 톰 하틀리 외야수 / 전체 26번 | 1985 커트 브라운 포수 / 전체 5번 | |
1986 그래디 홀 투수 / 전체 20번 | 1987 잭 맥도웰 투수 / 전체 5번 | 1988 로빈 벤추라 3루수 / 전체 10번 | 1989 프랭크 토머스 1루수 / 전체 7번 | 1990 알렉스 페르난데스 투수 / 전체 4번 | |
1991 스캇 러프콘 투수 / 전체 25번 | 1992 에디 피어슨 1루수 / 전체 24번 | 1993 스캇 크리스트만 투수 / 전체 17번 | 1994 마크 존슨 포수 / 전체 26번 | 1994[5] 크리스 클레몬스 투수 / 전체 33번 | |
1995 제프 리퍼 3루수 / 전체 25번 | 1996 투수 / 전체 12번 | 1997 제이슨 델라에로 유격수 / 전체 15번 | 1997[6] 카일 케인 투수 / 전체 33번 | 1997[7] 브렛 카라도나 외야수 / 전체 34번 | |
1997[8] 애런 마이엣 투수 / 전체 43번 | 1997[9] 짐 파퀴 투수 / 전체 46번 | 1997[10] 로키 비들 투수 / 전체 51번 | 1998 킵 웰스 투수 / 전체 16번 | 1998[11] 애런 로완드 외야수 / 전체 35번 | |
1999 제이슨 스텀 투수 / 전체 15번 | 1999[12] 맷 긴터 투수 / 전체 22번 | 1999[13] 브라이언 웨스트 투수 / 전체 35번 | 1999[12] 롭 퍼비스 투수 / 전체 45번 | 2000 조 보차드 외야수 / 전체 12번 | |
2001[15] 크리스 호넬 투수 / 전체 16번 | 2001[15] 와이엇 앨런 투수 / 전체 39번 | FA 샌디 알로마 주니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 2002 로이스 링 투수 / 전체 18번 | 2003 브라이언 앤더슨 외야수 / 전체 15번 | |
2004 조시 필즈 3루수 / 전체 18번 | 2004[17] 타일러 럼스덴 투수 / 전체 34번 | 2004[18] 지오 곤잘레스 투수 / 전체 38번 | 2005 랜스 브로드웨이 투수 / 전체 15번 | 2006 카일 맥컬로치 투수 / 전체 29번 | |
2007 애런 포레다 투수 / 전체 25번 | 2008 고든 베컴 유격수 / 전체 8번 | 2009 제러드 미첼 외야수 / 전체 23번 | 2009[19] 조시 페글레이 포수 / 전체 38번 | 2010 크리스 세일 투수 / 전체 13번 | |
2011[20] 키닌 워커 외야수 / 전체 47번 | FA 애덤 던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 2012 코트니 호킨스 외야수 / 전체 13번 | 2012[21] 케온 바넘 1루수 / 전체 48번 | 2013 팀 앤더슨 유격수 / 전체 16번 | |
2014 카를로스 로돈 투수 / 전체 3번 | 2015 카슨 풀머 투수 / 전체 8번 | 2016 잭 콜린스 포수 / 전체 10번 | 2016[22] 잭 버디 투수 / 전체 26번 | 2017 제이크 버거 3루수 / 전체 11번 | |
2018 닉 마드리갈 유격수 / 전체 4번 | 2019 앤드류 본 1루수 / 전체 3번 | 2020 개럿 크로셰 투수 / 전체 11번 | 2021 콜슨 몽고메리 유격수 / 전체 22번 | 2022 노아 슐츠 투수 / 전체 26번 | |
2023 제이콥 곤잘레스 유격수 / 전체 15번 | 2024 헤이건 스미스 투수 / 전체 5번 | ||||
* [1] FA 스티브 스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스티브 켐프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빌 알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4] FA 데니스 렘프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FA 엘리스 버크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6] FA 알렉스 페르난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7] FA 케빈 타파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돈 슬로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대니 탈타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0] 바비 세이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11] FA 데이브 마르티네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FA 로빈 벤추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3] FA 알버트 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15] FA 찰스 존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17] FA 바톨로 콜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FA 톰 고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9] FA 올랜도 카브레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0] FA J.J. 퍼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FA 마크 벌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2] FA 제프 사마자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 | }}}}}}}}} |
팀 앤더슨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21 | 2022 |
| ||||
잰더 보가츠 (보스턴 레드삭스) | → | 팀 앤더슨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잰더 보가츠 (보스턴 레드삭스) |
| ||||
무키 베츠 (보스턴 레드삭스) | → | 팀 앤더슨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DJ 르메이휴 (뉴욕 양키스) |
| ||||
무키 베츠 (보스턴 레드삭스) | → | 팀 앤더슨 (시카고 화이트삭스) 호세 라미레즈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토론토 블루제이스) |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12번 | ||||
코너 길라스피 (2013~2015) | → | <colbgcolor=#c4ced4><colcolor=#000> 팀 앤더슨 (2016) | → | 닉 카프라 (2017~2020) |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7번 | ||||
지미 롤린스 (2016) | → | 팀 앤더슨 (2017~2023) | → | 도미닉 플레처 (2024~) |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7번 | ||||
헤수스 산체스 (2022~2023) | → | 팀 앤더슨 (2024) | → | 헤수스 산체스 (2025~) |
[1] 선구안이 나쁘기로 유명한 하비에르 바에즈보다도 해당 볼넷 수가 적은 경우가 많다. 다만 앤더슨은 컨택 툴이 우수해 배드 볼 히터로 분류되며, 바에즈는 컨택이 그리 좋지 않아 배드 볼 히터라고 보긴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