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서 베르사유 조약에 서명하는 독일 대표단. |
협상국의 4대 정상들 왼쪽부터 영국의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프랑스의 조르주 클레망소, 그리고 미국의 우드로 윌슨 |
[clearfix]
1. 개요
Paris Peace Conference 1919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전후 국제 질서 및 전쟁 관련 각종 사후 처리를 위해 승전국인 협상국과 패전국인 동맹국 사이에 이루어진 국제 회의.
1차 대전의 종식과 함께 국제 질서를 협의하기 위하여 이루어졌으나, 세계평화라는 거창한 표의와는 달리 실상은 수많은 이권 다툼만 있었으며, 사실상 협상국이 세계를 자기 입맛대로 바꾼 회의였다. 열강을 제외한 식민지와 소국의 권리는 무시되었고, 강화 회의의 주도자들이었던 주요 4개국과 지도자들간 갈등은 타협의 끝에 "화해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징벌적이었고, 독일의 회복을 막기에는 지나치게 관대한"[1] 베르사유 조약이라는 모호한 결과물과 동유럽의 혼란, 그리고 새로운 전쟁을 불러왔다. 인종차별 문제, 팔레스타인 문제, 조선, 베트남 등 식민지의 독립 문제 등이 죄다 무시 또는 악화되었으며, 회의에서 다루어진 영토와 민족의 구별은 오히려 다민족국가의 대량 추방 또는 단일민족국가의 소수민족 학살로 이어졌다. 또한 열강의 이익만을 반영한 회의 결과에 분노한 식민지 국가의 민족주의 인사들은 열강과의 협상을 포기하고 사회주의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바로 이 회의에서 영어가 프랑스어와 더불어 외교 국제어의 지위에 오르기 시작한다.[2]
2. 결과
2.1. 패전국
2.1.1. 독일 제국
자세한 내용은 베르사유 조약 문서 참고하십시오.2.1.2. 오스만 제국
1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인 오스만 제국은 아나톨리아 반도 일부 영토만 남기고 공중 분해될 위기에 처했다. 술탄 정부는 멍청하리만치 연합군에 순응했고, 이 회의에서 오스만 제국은 샨르우르파와 가지안테프, 마라쉬를 프랑스에 할양하기로, 이즈미르를 그리스의 위임하에 놓는 것을 허용했다. 아르메니아는 윌슨의 민족 자결권에 의거해 동부 아나톨리아 일부 아르메니아인 거주 지방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으며, 오스만 제국 내에 거주하던 그리스, 아르메니아계 주민들 또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 가지안테프와 마라쉬의 경우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이 "아르메니아가 아니면 무덤!" (Ya Ermenistan, ya mecaristan!)이라는 구호 아래 반란을 일으켜 프랑스 측에 협력하기도 했다. 한편 이 조약 이후 민족의 파수대(Milletler Cemiyeti)라는 조직이 구성되었으며, 튀르크 민족주의자들이 앞으로 벌어질 터키 독립전쟁의 주도권을 쥐는 발단이 되기도 하였다.하지만 민족적으로는 아직까지 튀르크 정체성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이었으며, 당시의 튀르크 민족주의자들은 무슬림의 이름으로 단결했다. 때문에 아타튀르크의 급진적인 세속주의 개혁 이전까지 진보파와 서구 개혁파, 권위주의 우파, 종교 세력, 아랍, 쿠르드 등이 전부 하나로 뭉쳐 반제국주의 테제를 마련할 수 있었다.
2.2. 승전국
2.2.1. 일본 제국
중국 산둥 반도의 일본 점령지[3]와 태평양 제도의 소유권을 주장하였다. 인종 차별 철폐안을 의제로 올려 타 국가들에게 신임을 얻었으나, 진정한 의미에서의 인권 수호가 아닌 일본인에 대한 차별을 금하고, 서방 세력과 동일한 위치에 서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정작 식민지에 대한 법적, 정치적 평등은 무시하였고, 이후 같은 시기에 일어난 3.1 운동을 폭력 진압하여 비난을 받게된다.이 인종 차별 철폐안은 과반수 이상의 찬성을 얻었으나 다수의 식민지 문제를 안고 있던 대영 제국이 강력하게 반발, 이후 보류로 의견을 옮겼고 미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미국 내 인종 문제와, 영국과의 관계로 인해 만장 일치가 아니면 보류해야 한다는 의견을 표명하여 가결되지 못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나서야 진정한 의미로 보편적 인류의 가치를 주장한 '세계 인권 선언(1948년)'이 이루어졌다.
2.2.2. 중화민국
중화민국 북양정부는 외교 총장 루정샹, 공사 구웨이쥔 등을 파견하여 명색이나마 승전국의 대열에 합류한 것을 기회로 다른 열강, 특히 일본을 상대로 한 불평등한 대우를 개선하고 또한 산동 지역에 대한 회복을 꾀했으나, 일본도 승전국이었던데다 국력의 차이 때문에 별 성과를 이루지 못하였고 다른 열강들도 이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여 회의에서 중국이 얻은 성과는 1세기 가까이 중국을 좀먹던 서구 열강의 아편 판매를 금지시키는 것밖에 없었다.실망스러운 결과에 중국 대표단과 중국 당국은 강화조약에 서명할 것인지, 하지 않을 것인지 고민했다고 한다. 중국 대표단은 서명을 거부하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지만 결국 그들도 중국 정부의 명령을 기다릴 수밖에 없었고, 뒤늦게 당국에서도 서명을 거부하라는 지시가 내려왔지만 해당 전문이 너무 늦게 내려와 중국 대표단이 서명장에 가지 못하는 바람에 자동적으로 서명 거부 처리가 되었다.
당시 중국은 쑨원의 호법운동의 결과로 북쪽의 북양정부와 남쪽의 호법정부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이 중화민국 호법정부의 대표단 격으로 참가한 왕징웨이는 파리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바탕으로 강화조약 서명 저지 운동을 이끌어 중국 당국과 대표단의 서명 거부 결정에 일조했다.[4]
2.3. 식민지
2.3.1. 한국
(라이크역사 특별편) 100년 전, 유럽으로 떠난 조상들 |
하란사는 의친왕[5]의 밀지를 받고 파리 강화 회의에 찾아가려고 했으나, 가는 도중에 의문의 독살을 당했다. 김규식 등의 한국(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표단은 문전박대 당했다. 승전국의 식민지란 이유로 서구 열강 중에서 그 어느 누구도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주지 않았으며 결국 열강의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시도는 실패하게 된다.
이 때 당시 입장을 전달하기 위해 당시 영국 총리였던 로이드 조지에게 서한을 보냈는데, 대한민국의 영문 국호가 외교 문서에서 최초로 등장한 사례라고 한다.#
2.3.2. 베트남
베트남의 호치민 또한 프랑스로부터 베트남의 자주독립을 주장하였으나 묵살당했다. 이 과정에서 앞서 언급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표단과 교류하며 협조하기도 했다. 당시 호치민을 밀착 감시하던 파리의 정보 경찰 장(Jean)이라는 인물의 기록에 따르면, "호찌민은 한국인들이 하는 모든 일을 자신의 근거로 삼고 있다. 그는 (일제에) 저항하는 한국인의 계획을 거의 똑같이 따르고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어서 호치민과 임시정부 대표단의 관계가 매우 깊었음을 확인이 가능하다.#3. 외부 링크
||<-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bgcolor=#000> 제1차 세계 대전의 평화 조약 ||
독일 제국 | '''[[오스트리아 제국#s-5| 오스트리아 제국 ]]''' | 헝가리 왕국 | 불가리아 왕국 | |||
'''[[베르사유 조약| 베르사유 조약 ]]''' | '''[[생제르맹 조약| 생제르맹 조약 ]]''' | '''[[트리아농 조약| 트리아농 조약 ]]''' | 뇌이 조약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오스만 제국 | 소비에트 러시아 | 루마니아 왕국 | ||||
세브르 조약 → 로잔 조약i |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ii | 부쿠레슈티 조약ii | }}} | |||
i : 튀르키예 독립 전쟁을 통해 재협상 ii : 협상국의 일원이었으나 단독 평화 협정을 맺음 같이 보기: 파리 강화 회의, 베르사유 조약, 빅4 |
[1] "Too punitive for conciliation, too lenient to keep Germany from recovering." 헨리 키신저의 평이다.[2] 물론 프랑스어를 제치고 중심이 되는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3] 원래는 독일이 차지하고 있었던 지역이었으나 독일의 패전을 빌미로 일본이 점령 중이었다.[4] 물론 왕징웨이 일행이 주도한 서명 저지 운동 하나만으로 중국이 서명을 거부하는 계기가 된 것은 아니고, 5.4 운동 등 여러 정치적 문제로 서명을 미루다 결국 거부까지 가게 된 것이라고 한다.[5] 이 둘은 오하이오 웨슬리언 대학교 동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