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01:35:49

프랑스 총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1000f> 상징 국가 · 국호 · 국기 · 국장 · 국시 · 갈리아 · 마리안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프랑스 왕국(왕정복고 · 7월 왕정) · 프랑스 혁명(바스티유 감옥 습격사건 · 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 · 프랑스 2월 혁명 · 프랑스 제국(보나파르트 왕조 · 프랑스 제1제국 · 프랑스 제2제국 · 프랑스 식민제국) · 프랑스 제1공화국 · 프랑스 제2공화국 · 프랑스 제3공화국(1934년 프랑스 폭동) · 비시 프랑스 · 자유 프랑스 ·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 프랑스 제4공화국 · 프랑스 제5공화국
사회 인구 · 행정구역(일드프랑스)
교통 철도 환경(SNCF · 트랑지리엥 · RER · TGV · TGV 리리아 · OUIGO · 유로스타 · Thalys · 파리 지하철) · 공항 목록(파리 샤를 드골 공항 · 파리 오를리 공항) · 오토루트 · 미요교 · 채널 터널
정치 정치 전반 · 헌법 · 민법 · 행정구역 · 정부 · 행정조직 · 의회(상원 · 하원) · 대통령 · 총리 · 엘리제 궁전 · 뤽상부르 궁전 · 국사원 · 대외안보총국 · 국내안보총국 · 라이시테 · 쇼비니즘
선거 대통령 선거 · 상원의원 선거 · 하원의원 선거 · 지방선거 · 레지옹 선거 · 데파르트망 선거 · 유럽의회 선거
정당 앙 마르슈! · 공화당 · 사회당 · 국민연합
외교 외교 전반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 냉전 · 신냉전 · 한국-프랑스 관계 · 영국-프랑스 관계 · 프랑스-일본 관계 · 미국-프랑스 관계 · 친불
경제 경제 전반 · 영광의 30년 · 프랑스 프랑(폐지) · 유로 · 에어버스
교육 교육 전반 · 바칼로레아 · 그랑제콜
국방 프랑스군 · 역사(대육군) · 프랑스 육군 · 프랑스 해군 · 프랑스 항공우주군 · 프랑스 헌병대 · 프랑스군/계급 · 징병제(폐지)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프랑스군/무기개발사 · 프랑스의 핵개발 · 유로사토리 · 연합합동원정군
문화 문화 전반 · 프랑스 영화 · 프랑스-벨기에 만화(아스테릭스) · 프랑스 요리(지리적 표시제) · 샹송 · 세계유산 · 르몽드 · 프랑스인 캐릭터
지리 라 망슈 해협(칼레 해협) · 알프스산맥(몽블랑 · 샤모니몽블랑 · 에비앙레뱅 · 레만호) · 피레네 산맥
언어 프랑스어 · 지방 언어(가스코뉴어 · 노르만어 · 룩셈부르크어 · 리구리아어 · 바스크어 · 브르타뉴어 · 오일어 · 오크어 · 왈롱어 · 카탈루냐어 · 코르시카어) · 프랑코포니 · 라틴 연합 · DELF/DALF · 불어불문학과
스포츠 프랑스 올림픽 대표팀 · 프랑스 축구 연맹 · 리그 1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미셸 플라티니 · 지네딘 지단) · 프랑스 럭비 연맹 · TOP 14 · 프랑스 럭비 국가대표팀 · 르망 24시
관광 관광 전반 · 그랑드 아르슈 · 노트르담 대성당 · 루브르 · 몽마르트르 · 몽생미셸 · 베르사유 궁전 · 샹젤리제 · 앵발리드 · 에투알 개선문 · 에펠 탑 · 오르세 미술관 · 팡테옹 · 프랑스 국립도서관
치안·사법 사법 전반 · 프랑스 국가경찰 · 프랑스 헌병대 · 프랑스 헌법위원회 · 라상테 교도소 · 프랑스 파기원
기타 프랑스인(아랍계 · 유대계 · 인도계 · 흑인 · 러시아계 · 폴란드계 · 아르메니아계 · 이란계 · 베트남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 우크라이나계 · 한국계 · 아일랜드계 · 벨라루스계) · 공휴일 · 파리 신드롬 · 유럽의 짱깨
프랑스계 프랑스계 캐나다인 · 프랑스계 미국인 · 피에 누아르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브라질인 · 프랑스계 영국인 · 프랑스계 러시아인 · 프랑스계 멕시코인 · 프랑스계 칠레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e2e2 0%, #ffffff 20%, #ffffff 80%, #e2e2e2); color: #000092;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fff"
[[부르봉 왕정복고|
왕정복고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아르망 에마뉘엘 드 비네로 뒤 플레시스 장 조제프 데솔 엘리 디카즈
(제2대) 제5대 제6대 제7대
아르망 에마뉘엘 드 비네로 뒤 플레시스 조제프 드 빌리에 장바티스트 게이 쥘 드 폴리냐크
제8대
카지미르 드 로슈슈아르
[[7월 왕정|
7월 왕정
]]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자크 라피트 카지미르 페리에 장드디외 술트 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위그베르나르 마레 에두아르 모르티에 빅토르 드 브로이 아돌프 티에르
제17대 (제11대) (제16대) (제11대)
마티외 몰레 장드디외 술트 아돌프 티에르 장드디외 술트
제18대 (제17대)
프랑수아 기조 마티외 몰레
[[프랑스 제2공화국|
제2공화국
]]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자크 샤를 뒤퐁 드 뢰르 프랑수아 아라고 루이외젠 카베냐크 오딜롱 바로
제23대 제24대
알퐁스 앙리 도풀 레옹 포셰
[[프랑스 제2제국|
제2제국
]]
제25대 제26대
에밀 올리비에 샤를 쿠쟁몽토방
[[프랑스 제3공화국|
제3공화국
]]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루이 쥘 트로쉬 쥘 아르망 뒤포르 알베르 드브뢰이 에르네스트 쿠르토 드시세
제31대 (제28대) 제32대 (제29대)
루이 뷔페 쥘 아르망 뒤포르 쥘 시몽 알베르 드브뢰이
제33대 (제28대) 제34대 제35대
가에탕 드 로슈부에 쥘 아르망 뒤포르 기욤 워딩턴 샤를 드프레이시네
제36대 제37대 (제35대) 제38대
쥘 페리 레옹 강베타 샤를 드프레이시네 샤를 뒤클레르
제39대 (제36대) 제40대 (제35대)
아르망 팔리에르 쥘 페리 앙리 브리송 샤를 드프레이시네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르네 고블레 모리스 르비에 피에르 티라르 샤를 플로케
(제43대) (제35대) 제45대 제46대
피에르 티라르 샤를 드프레이시네 에밀 루베 알렉상드르 리보
제47대 제48대 (제47대) (제46대)
샤를 뒤피 장 카지미르페리에 샤를 뒤피 알렉상드르 리보
제49대 제50대 (제40대) (제47대)
레옹 부르주아 쥘 멜린 앙리 브리송 샤를 뒤피
제51대 제52대 (제42대) 제53대
피에르 발데크루소 에밀 콩브 모리스 루비에 페르디낭 사리앵
제54대 제55대 제56대 제57대
조르주 클레망소 아리스티드 브리앙 에르네스트 모니 조제프 카요
제58대 (제55대) 제59대 제60대
레몽 푸앵카레 아리스티드 브리앙 루이 바르투 가스통 두메르그
(제46대) 제61대 (제55대) (제46대)
알렉상드르 리보 르네 비비아니 아리스티드 브리앙 알렉상드르 리보
제62대 (제54대) 제63대 제64대
폴 팽르베 조르주 클레망소 알렉상드르 밀랑 조르주 레이그
(제55대) (제58대) 제65대 제66대
아리스티드 브리앙 레몽 푸앵카레 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시알 에두아르 에리오
(제62대) (제55대) (제66대) (제58대)
폴 팽르베 아리스티드 브리앙 에두아르 에리오 레몽 푸앵카레
(제55대) 제67대 제68대 (제67대)
아리스티드 브리앙 앙드레 타르디외 카미유 쇼탕 앙드레 타르디외
제69대 제70대 (제67대) (제66대)
테오도르 스테그 피에르 라발 앙드레 타르디외 에두아르 에리오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68대)
조제프 폴봉쿠르 에두아르 달라디에 알베르 사로 카미유 쇼탕
(제72대) (제60대) 제74대 제75대
에두아르 달라디에 가스통 두메르그 피에르에티엔 플랑댕 페르낭 부아송
(제70대) (제73대) 제76대 (제68대)
피에르 라발 알베르 사로 레옹 블룸 카미유 쇼탕
(제76대) (제72대) 제77대 제78대
레옹 블룸 에두아르 달라디에 폴 레노 필리프 페탱
[[비시 프랑스|
비시 정권
]]
(제70대) (제74대) 제79대 (제70대)
피에르 라발 피에르에티엔 플랑댕 프랑수아 다를랑 피에르 라발
[[프랑스 임시정부|
임시정부
]]
제80대 제81대 제82대 (제76대)
샤를 드골 펠릭스 구앵 조르주 비도 레옹 블룸
[[프랑스 제4공화국|
제4공화국
]]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4대)
폴 라마디에 로베르 슈만 앙드레 마리 로베르 슈만
제86대 (제82대) (제86대) 제87대
앙리 쾨유 조르주 비도 앙리 쾨유 르네 플르뱅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앙리 쾨유 르네 플르뱅 에드가르 포르 앙투안 피네
제90대 제91대 제92대 (제88대)
르네 마예르 조제프 라니엘 피에르 망데스 프랑스 에드가르 포르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기 몰레 모리스 부르제스모누리 펠릭스 가야르 피에르 플림랭
(제80대)
샤를 드골
[[프랑스 제5공화국|
제5공화국
]]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미셸 드브레 조르주 퐁피두 모리스 쿠브 드뮈르빌 자크 샤방델마스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피에르 메스메르 자크 시라크 레몽 바르 피에르 모루아
제105대 (제102대) 제106대 제107대
로랑 파비위스 자크 시라크 미셸 로카르 에디트 크레송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피에르 베레고부아 에두아르 발라뒤르 알랭 쥐페 리오넬 조스팽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장피에르 라파랭 도미니크 드빌팽 프랑수아 피용 장마르크 에로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마뉘엘 발스 베르나르 카즈뇌브 에두아르 필리프 장 카스텍스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엘리자베트 보른 가브리엘 아탈 미셸 바르니에 프랑수아 바이루
}}}}}}}}}

파일:프랑스 정부상징.svg
프랑스 공화국 총리
Premier ministre de la République française
Prime Minister of the French Republic
파일:Bayrou.jpg
<colbgcolor=#ffffff><colcolor=#000092> 현직 <colbgcolor=#ffffff,#1f2023>프랑수아 바이루
취임일 2024년 12월 14일
정당

관저 마티뇽 관저
1. 개요2. 역사3. 임명과 권한4. 총리 목록
4.1. 프랑스 제5공화국
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Premier ministre français

프랑스총리. 현재 프랑스 제5공화국 체제에서 총리는 프랑스 내각을 통솔하며, 각료 임명 제청권, 법안발의권[1], 의회소집권 등의 권한을 가지고 있다. 내각 운영을 총괄하기 때문에 대통령이 독점하는 일부 권한[2]을 제외한 일상적인 국정 업무[3]는 총리가 담당한다. 관저는 오텔 드 마티뇽(Hôtel de Matignon)으로, 이 때문에 총리실을 마티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

프랑스에서 오늘날 총리의 의미인 '정부를 통솔하는 최고 관리'라는 면에서 보면 16세기 프랑스 왕국 시절 수석국무장관(principal ministre d'État)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고 프랑스 제1제국부르봉 왕정복고 시절에도 비슷한 직책이 존재했지만, '의회에서 선출하여 정부를 통솔하는 최고 관리'로서의 총리 직책은 프랑스 제2공화국 시절에 생겼다. 이후 프랑스 제2제국 시절에는 잠시 폐지되었다가 제2제국 말년에 부활했으며, 프랑스 제3공화국 시절에는 국민 직선의 국민의회에서 선출되는 의원 중에서 총리를 선출했는데 (프랑스) 각료평의회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français)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정부수반의 역할을 했다. 이 시절은 내각책임제로 운영되었으므로 프랑스 총리가 사실상의 프랑스 지도자였다.

1940년에 나치 독일에 패배하면서 비시 프랑스에도 각료평의회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français)이라는 명칭의 총리 직책이 있었지만 비민주국가라 그냥 임명직이었고, 자유 프랑스는 망명 정부 처지라 그런지 없었다.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시절에도 없었고, 프랑스 제4공화국 시절에 내각책임제가 부활하여 (프랑스) 국무회의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français)이라는 직책이 생겼다가, 개헌으로 프랑스 제5공화국이 출범하면서 직책 이름이 총리(Premier ministre)로 바뀌고, 이원집정부제로 개편되면서 권한이 줄었다.

제4공화국까지 프랑스 총리는 매우 자주 바뀌었다. 4공화국 시절에는 이탈리아일본보다도 더했는데 총리 평균 임기가 8개월이었다.[4] 현재도 8개월은 아니더라도 2~3년에 한번은 총리가 바뀌기 때문에 여전히 자주 교체되는 편이다. 그나마 장기간 재직한 총리는 조르주 퐁피두, 리오넬 조스팽, 프랑수아 피용이 전부다.

3. 임명과 권한

프랑스 총리는 프랑스 대통령이 임명한다. 지명 대상자는 프랑스 국민이라면 누구든 상관없으나 일반적으로 국민의회(하원) 의원이 임명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국민의회에서 총리가 마음에 안 들면 바로 내각에 불신임을 할 수 있으므로 국민의회 의원 과반수가 반대하는 총리는 임명될 수 없다.[5]

그래서 실질적으로 프랑스 총리는 프랑스 국민의회에서 선출하는 것이나 다름없게 된다. 그리고 사실상 의회에서 임명한 총리가 내정에서 상당한 권한을 가지기에, 프랑스는 대통령과 총리가 동시에 국정 운영[6]에 책임을 지는 이원집정부제 국가이다.

이렇듯 총리 선출은 국민의회의 (실질적으로 원내 과반을 차지한 정당의) 권한이기 때문에 집권 여당이 총선에 대패해서 국회 과반을 차지하지 못하면 야당에서 총리를 임명하는 골 때리는 상황이 연출된다. 이렇게 구성된 정부를 동거정부라고 부른다. 이렇게 되면 대통령이 실권을 상실하기 때문에 곧바로 레임덕이 시작된다. 실제로 프랑수아 미테랑 전 대통령은 총선의 패배로 자크 시라크 당시 총리에게 거의 모든 실권을 양보해야 했다. 그리고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 역시 여당의 총선 참패로 리오넬 조스팽에게 실권을 양보하고 5년 동안 프랑스 대통령 고유 권한인 국방, 외교 업무만 열심히 했다.[7]

이렇게 보면 프랑스 총리의 권한이 막대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동거정부가 구성되면 찾아오는 국정 운영의 혼선을 프랑스도 모르지 않기 때문에 프랑스는 총선을 대선이 끝나고 한달 후 실시한다. 결선투표제를 채택한 프랑스 대선 성격 상 프랑스 대통령은 시작부터 과반 이상의 지지를 받고 시작하기 때문에 대통령을 배출한 정당이 무난히 과반을 차지할 수 있다.[8] 사실상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주는 투표 일정으로 위에서 언급된 미테랑 - 시라크, 시라크 - 조스팽 동거정부 같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9][10] 프랑스 총리 역시 한국의 국무총리처럼 얼굴 마담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11][12]

프랑스 총리는 국사원장을 겸직하기도 하지만 이는 명목상에 불과하고 실질적인 고위인사는 국사원 부원장이다.

4. 총리 목록

4.1. 프랑스 제5공화국

제5공화국 이전은 이곳 참조. 절대 왕정 시대의 수석국무장관까지 나와 있다.
이름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정당 대통령 비고
미셸 드브레
Michel Debré
1959년 1월 8일 1962년 4월 14일 신공화국연합 샤를 드골
(신공화국연합)
조르주 퐁피두
Georges Pompidou
1962년 4월 14일 1968년 7월 10일 프랑스 제19대 대통령
모리스 쿠브 드뮈르빌
Maurice Couve de Murville
1968년 7월 10일 1969년 6월 20일 공화국민주연합 샤를 드골
(공화국민주연합)
자크 샤방델마스
Jacques Chaban-Delmas
1969년 6월 20일 1972년 7월 6일 조르주 퐁피두
(공화국민주연합)
피에르 메스메르
Pierre Messmer
1972년 7월 6일 1974년 5월 27일
자크 시라크
Jacques Chirac
1974년 5월 27일 1976년 8월 26일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프랑스 민주연합)
프랑스 제22대 대통령
레몽 바르
Raymond Barre
1976년 8월 26일 1981년 5월 21일 무소속
피에르 모루아
Pierre Mauroy
1981년 5월 21일 1984년 7월 17일 사회당 프랑수아 미테랑
(사회당)
로랑 파비위스
Laurent Fabius
1984년 7월 17일 1986년 3월 20일
자크 시라크
Jacques Chirac
1986년 3월 20일 1988년 5월 10일 공화국연합 프랑스 제22대 대통령
미셸 로카르
Michel Rocard
1988년 5월 10일 1991년 5월 15일 사회당
에디트 크레송[13]
Édith Cresson
1991년 5월 15일 1992년 4월 2일
피에르 베레고부아
Pierre Bérégovoy
1992년 4월 2일 1993년 3월 29일
에두아르 발라뒤르
Édouard Balladur
1993년 3월 29일 1995년 5월 18일 공화국연합
알랭 쥐페
Alain Juppé
1995년 5월 18일 1997년 6월 3일 자크 시라크
(공화국연합)
리오넬 조스팽
Lionel Jospin
1997년 6월 3일 2002년 5월 6일 사회당
장피에르 라파랭
Jean-Pierre Raffarin
2002년 5월 7일 2005년 5월 31일 대중운동연합 자크 시라크
(대중운동연합)
도미니크 드빌팽
Dominique de Villepin
2005년 5월 31일 2007년 5월 17일
프랑수아 피용
François Fillon
2007년 5월 17일 2012년 5월 15일 니콜라 사르코지
(대중운동연합)
장마르크 에로
Jean-Marc Ayrault
2012년 5월 16일 2014년 4월 1일 사회당 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마뉘엘 발스
Manuel Valls
2014년 3월 31일 2016년 12월 6일
베르나르 카즈뇌브
Bernard Cazeneuve
2016년 12월 6일 2017년 5월 10일
에두아르 필리프
Édouard Philippe
2017년 5월 15일 2020년 7월 3일 무소속 에마뉘엘 마크롱
(앙 마르슈!)
장 카스텍스
Jean Castex
2020년 7월 3일 2022년 5월 15일 앙 마르슈!
엘리자베트 보른
Élisabeth Borne
2022년 5월 16일 2024년 1월 8일 르네상스 에마뉘엘 마크롱
(르네상스)
가브리엘 아탈
Gabriel Attal
2024년 1월 9일 2024년 9월 5일
미셸 바르니에
Michel Barnier
2024년 9월 5일 2024년 12월 4일 공화당
프랑수아 바이루
François Bayrou
2024년 12월 14일 - 민주운동(MoDem)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1000f> 상징 국가 · 국호 · 국기 · 국장 · 국시 · 갈리아 · 마리안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프랑스 왕국(왕정복고 · 7월 왕정) · 프랑스 혁명(바스티유 감옥 습격사건 · 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 · 프랑스 2월 혁명 · 프랑스 제국(보나파르트 왕조 · 프랑스 제1제국 · 프랑스 제2제국 · 프랑스 식민제국) · 프랑스 제1공화국 · 프랑스 제2공화국 · 프랑스 제3공화국(1934년 프랑스 폭동) · 비시 프랑스 · 자유 프랑스 ·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 프랑스 제4공화국 · 프랑스 제5공화국
사회 인구 · 행정구역(일드프랑스)
교통 철도 환경(SNCF · 트랑지리엥 · RER · TGV · TGV 리리아 · OUIGO · 유로스타 · Thalys · 파리 지하철) · 공항 목록(파리 샤를 드골 공항 · 파리 오를리 공항) · 오토루트 · 미요교 · 채널 터널
정치 정치 전반 · 헌법 · 민법 · 행정구역 · 정부 · 행정조직 · 의회(상원 · 하원) · 대통령 · 총리 · 엘리제 궁전 · 뤽상부르 궁전 · 국사원 · 대외안보총국 · 국내안보총국 · 라이시테 · 쇼비니즘
선거 대통령 선거 · 상원의원 선거 · 하원의원 선거 · 지방선거 · 레지옹 선거 · 데파르트망 선거 · 유럽의회 선거
정당 앙 마르슈! · 공화당 · 사회당 · 국민연합
외교 외교 전반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 냉전 · 신냉전 · 한국-프랑스 관계 · 영국-프랑스 관계 · 프랑스-일본 관계 · 미국-프랑스 관계 · 친불
경제 경제 전반 · 영광의 30년 · 프랑스 프랑(폐지) · 유로 · 에어버스
교육 교육 전반 · 바칼로레아 · 그랑제콜
국방 프랑스군 · 역사(대육군) · 프랑스 육군 · 프랑스 해군 · 프랑스 항공우주군 · 프랑스 헌병대 · 프랑스군/계급 · 징병제(폐지)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프랑스군/무기개발사 · 프랑스의 핵개발 · 유로사토리 · 연합합동원정군
문화 문화 전반 · 프랑스 영화 · 프랑스-벨기에 만화(아스테릭스) · 프랑스 요리(지리적 표시제) · 샹송 · 세계유산 · 르몽드 · 프랑스인 캐릭터
지리 라 망슈 해협(칼레 해협) · 알프스산맥(몽블랑 · 샤모니몽블랑 · 에비앙레뱅 · 레만호) · 피레네 산맥
언어 프랑스어 · 지방 언어(가스코뉴어 · 노르만어 · 룩셈부르크어 · 리구리아어 · 바스크어 · 브르타뉴어 · 오일어 · 오크어 · 왈롱어 · 카탈루냐어 · 코르시카어) · 프랑코포니 · 라틴 연합 · DELF/DALF · 불어불문학과
스포츠 프랑스 올림픽 대표팀 · 프랑스 축구 연맹 · 리그 1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미셸 플라티니 · 지네딘 지단) · 프랑스 럭비 연맹 · TOP 14 · 프랑스 럭비 국가대표팀 · 르망 24시
관광 관광 전반 · 그랑드 아르슈 · 노트르담 대성당 · 루브르 · 몽마르트르 · 몽생미셸 · 베르사유 궁전 · 샹젤리제 · 앵발리드 · 에투알 개선문 · 에펠 탑 · 오르세 미술관 · 팡테옹 · 프랑스 국립도서관
치안·사법 사법 전반 · 프랑스 국가경찰 · 프랑스 헌병대 · 프랑스 헌법위원회 · 라상테 교도소 · 프랑스 파기원
기타 프랑스인(아랍계 · 유대계 · 인도계 · 흑인 · 러시아계 · 폴란드계 · 아르메니아계 · 이란계 · 베트남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 우크라이나계 · 한국계 · 아일랜드계 · 벨라루스계) · 공휴일 · 파리 신드롬 · 유럽의 짱깨
프랑스계 프랑스계 캐나다인 · 프랑스계 미국인 · 피에 누아르 · 프랑스계 아르헨티나인 · 프랑스계 브라질인 · 프랑스계 영국인 · 프랑스계 러시아인 · 프랑스계 멕시코인 · 프랑스계 칠레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공산국가의 수상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공산당 (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무소속|
무소속
]]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3차) 줘룽타이 최상목 (직무대행)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샤나나 구스망 (2차) 쏜싸이 씨판돈 나지브 미카티 (3차)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안와르 이브라힘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무소속|
무소속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무소속|
무소속
]]
체링 토브가이 (2차) 박태성 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무소속
]]
[[국가 인민의 힘|
국가 인민의 힘
]]
[[무소속|
무소속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하리니 아마라수리야 무함마드 알바시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무소속|
무소속
]]
[[탈레반|
탈레반
]]
로렌스 웡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압둘 가니 바라다르
(정치 및 외교)
무하마드 야쿠브
(군사 작전)
시라주딘 하카니
(재정 및 군수 물자)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아마드 아와드 빈 무바라크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이슬람 다와당|
이슬람 다와당
]]
[[리쿠드|
리쿠드
]]
압둘라 아리포프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베냐민 네타냐후 (6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나렌드라 모디 (3차) 이시바 시게루 (2차) 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아마나트
]]
[[무소속|
무소속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올자스 벡테노프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아르 나므스|
아르 나므스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아킬베크 자파로프 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태국인당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파타|
파타
]]
패통탄 친나왓 셰바즈 샤리프 (2차) 무함마드 무스타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주소이트 콘스탄틴 딕 스호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요나스 가르 스퇴레 메테 프레데릭센 (2차) 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신단결|
신단결
]]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루마니아)|
사회민주당
]]
에비카 실리냐 미하일 미슈스틴 (2차) 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리투아니아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
[[애국연합|
애국연합
]]
뤼크 프리당 긴타우타스 팔루츠카스 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피에르 다르투 밀로이코 스파이치 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Open VLD|
Open VLD
]]
로버트 아벨라 (2차) 피에트로 파롤린 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무소속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라만 할로우찬카 (2차) 보랴나 크리슈토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무소속|
무소속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위날 위스텔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밀로시 부체비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온건당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울프 크리스테르손 빅토르 로시 페드로 산체스 (3차)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로베르트 피초 (4차) 로베르트 골로프 니콜 파시냔 (3차)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사회민주동맹|
사회민주동맹
]]
[[피너 게일|
피너 게일
]]
[[무소속|
무소속
]]
크리스트륀 프로스타도티르 (2차) 사이먼 해리스 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아이타이라|
아이타이라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에디 라마 (3차) 알렉산드르 안콰브 (2차)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노동당(영국)|
노동당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크리스텐 미할 (1차) 키어 스타머 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무소속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데니스 시미할 조르자 멜로니 이라클리 코바키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자결당|
자결당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페트르 피알라 알빈 쿠르티 (2차)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루이스 몬테네그루 도날트 투스크 (3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민주운동|
민주운동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프랑수아 바이루 페테리 오르포 오르반 빅토르 (5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공산국가의 수상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마크 필립스 디콘 미첼 루스벨트 스케릿 (5차)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미아 모틀리 (2차) 필립 데이비스 조니 브리세뇨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필립 조셉 피에르 랄프 곤살베스 (5차) 테런스 드루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알릭스 디디에 피스-에메 (권한대행) 개스턴 브라운 (3차) 앤드루 홀네스 (3차)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인민민족운동|
인민민족운동
]]
쥐스탱 트뤼도 (3차)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키스 롤리 (2차)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레몽 은동 시마 (임시) 바 우리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무소속|
무소속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사라 쿠공겔롸 (2차) 알리 라민 제인 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압둘 하미드 드베이베 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무소속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노동당(모리셔스)|
노동당
]]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 아지즈 아칸누시 나빈 람굴람 (4차)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공정당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모하메드 울드 빌랄 아드리아누 말레이안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무소속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 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 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차)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무소속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무소속|
무소속
]]
우스만 송코 함자 압디 바레 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나디르 라르바우이 러셀 들라미니 (왕족)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번영당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무소속|
무소속
]]
아비 아머드 로비나 나반자 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 펠릭스 몰루아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개혁당(차드)|
개혁당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알라마예 할리나 조셉 응구테 (2차)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공화연합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로베르 뵈그레 맘베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카심 마잘리와 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 아메드 하차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크리스토퍼 럭슨 샬롯 살와이 (2차)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제러마이아 머넬레 사미우 바이풀루 (권한대행) 펠레티 테오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팡구당|
팡구당
]]
[[인민동맹|
인민동맹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제임스 마라페 시티베니 람부카 (2차) 앤서니 앨버니지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1] 제한적으로 하원의 동의 없이 총리 직권으로 입법하는 것도 가능하다.(헌법 제 49조 3항) 다만 국민의회에서 이에 대항한 내각불신임결의가 통과되면 해당 법안은 무효가 되며, 헌법 특별조항을 발동하는 경우에도 상원에서는 표결로써 동의를 받아야 한다.[2] 외교국방은 관례적으로 국가원수인 대통령의 권한이다. 쉽게 말해서 프랑스 핵가방프랑스 대통령이 관리한다.[3] 교육, 경제, 법무, 문화, 농업, 산업 등[4]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이 프랑스를 방문했을 때 샤를 드골에게 "프랑스는 다른건 다 좋은데 총리가 너무 자주 바뀌어서 기억하기 힘들다"라고 투덜댔다고 한다.[5] 프랑스 총리는 의회해산권이 없고 대통령이 가지고 있다.[6] 프랑스 대통령은 국방, 외교에 대한 국정을 책임지고 프랑스 총리는 경제, 교육 등 국내 국정을 운영[7] 즉, 프랑스의 내각과 국내 정책 운영은 원칙상 총리의 영역이다. 대통령과 총리가 같은 당이라면 당수인 대통령이 실권자로써 대부분의 국정을 장악하지만 총선으로 여소야대가 되어 총리가 야당이 된다면 국회와 지지도를 잡은 총리가 국방, 외교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장악하는 정부수반이 된다.[8] 원외정당으로 출발한 앙 마르슈도 대선 승리 이후 가뿐하게 과반을 차지했다.[9] 사실 이 시기는 대통령 임기는 7년/국회의원 임기는 5년이던 시절이어서 가능했던 현상이다. 대통령이 취임하자 마자 의회를 해산시켜서 5년을 벌더라도 마지막 2년이 붕뜨는 현상이 생기는 것. 결국 좌우가 모두 동거정부를 주고받은 이후, 2000년 프랑스 국민투표를 통해 프랑스 대통령의 임기를 5년으로 축소하고 총선과 1달 단위로 연계시킨 2002년 이후부터는 다시는 동거정부가 등장하지 않았다.[10] 2022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에서 집권당이 과반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는 했는데, 프랑스 국민의회 과반으로 반대해야 총리 임명이 거부되는 것이지 과반이 동의해야 임명되는 것이 아니기에 타 정파에 과반만 내주지 않으면 된다. 즉, 사분오열식 교착의회만 형성되어도 소수내각으로 버틸수는 있다.[11] 그러나 2024년 마크롱 대통령이 연금 개혁 등 연이은 민심과 반대되는 정책들로 인한 지지율 약화와 EU 의원 선거에서 드러난 지지층의 이반으로 의회해산을 결정, 대선과 총선이 다시 2~3년의 격차가 발생되며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임기를 7년에서 5년으로 단축한 이래에 동거정부가 등장할 가능성이 열렸고, 소수정부로 내각을 세웠지만 25년도 예산 통과 과정에서 의회와 갈등을 빚어 내각불신임결의를 통해 내각이 붕괴되는 최악의 사태가 벌어지고 말았다.[12] 과거에는 대통령 임기가 국회의원 임기보다 길었기에 발생됐다면 이번 동거정부의 가능성은 임기는 동일하나 선거기간이 대통령 임기의 중간에 선거가 열리기에 발생되었다. 차후 또 다른 의회해산이 없다면 프랑스가 다시 동거정부의 가능성을 열어둔 상황이다.[13] 프랑스 최초의 여성 총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