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4:02:53

프로듀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사전적 의미에 대한 내용은 프로듀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사전적 의미:
프로듀서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wiki style="color:#FFF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rowcolor=#000000> 파일:하이스쿨 러브온 로고.png
(2014)
파일:스파이 KBS 로고.png
(2015)
파일:오렌지 마말레이드 로고.png
(2015)
파일:프로듀사_logo.png
(2015)
파일:마음의 소리.jpg
(2016~2017)
파일:최고의 한방 로고.png
(2017)
파일:최강 배달꾼 로고.png
(2017)
파일:고백부부 로고(흑).png
(2017)
둘러보기

2014~20172021~2025
}}}}}}}}}}}} ||


파일:프로듀사_logo.png
[ 등장인물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2F2E4><bgcolor=#03a678><color=#ffffff><-4> ||
파일:external/img.kbs.co.kr/cast_cha_1.jpg
파일:external/img.kbs.co.kr/cast_gong_1.jpg
파일:external/img.kbs.co.kr/cast_k_1.jpg
파일:external/img.kbs.co.kr/cast_iu_1.jpg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방영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03a678><width=1000> ||
방영 목록 전체 보기
[ OST ]
||<tablewidth=100%><tablebgcolor=#F2F2E4><tablecolor=#ffffff><width=20%>
파일:프로듀사ost1.jpg
||<width=20%>
파일:프로듀사ost2.jpg
||<width=20%>
파일:프로듀사ost3.jpg
||<width=20%>
파일:프로듀사ost4.jpg
||<width=20%>
파일:프로듀사ost5.jpg
||
[[프로듀사/음악#s-2.1|
Preview 1

달링 (OST Ver.)]]
이승철
2015. 05. 15.
[[프로듀사/음악#s-2.2|
Preview 2

To Be With You]]
김연우
2015. 05. 16.
[[프로듀사/음악#s-2.3|
Preview 3

And...그리고]]
백지영
2015. 05. 22.
[[프로듀사/음악#s-2.4|
Full Track

프로듀사 OST]]
Various Artists
2015. 05. 23.
[[프로듀사/음악#s-2.5|
Special Edition

프로듀사 OST]]
Various Artists
2015. 06. 19.
그 외 삽입곡 및 오리지널 스코어는 음악 문서 참고.
[ 관련 문서 ]
||<tablebgcolor=#03a678><tablewidth=100%><width=10000> 등장인물 ||<width=33.33%><bgcolor=#fe4e4b> 방영 목록 ||<width=33.33%><bgcolor=#03a678> 음악 ||

<colbgcolor=#E9EBE0><colcolor=#010A38> KBS 2TV 금토 드라마
프로듀사
(2015)
The Producer
파일:external/www.hancinema.net/fullsizephoto586965.jpg
언어별 제목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한국어
]] 프로듀사
[[영어|
영어
]] The Producer
[[일본어|
일본어
]] プロデューサー
[[간체자|
중국어
]] 製作人的那些事
장르 드라마
방송 시간 금 · 토 / 오후 09:15 ~ 10:35
방송 기간 2015년 5월 15일~2015년 6월 20일
방송 횟수 12부작
제작사 KBS 드라마 제작국, KBS 예능국, 초록뱀미디어
채널 KBS 2TV
제작진 <colbgcolor=#E9EBE0> 연출 표민수, 서수민
극본 박지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9EBE0><colcolor=#010A38> 제작 박중민
미술 이항
소품 임찬호, 강인묵
의상 송인후, 이은비
분장 박은지, 노지혜
음악 김한조 }}} }}} }}}
출연 차태현, 공효진, 김수현, 아이유
국내
스트리밍

[[Wavve|
Wavve
]]
,
| |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차량 협찬 벤츠, 기아자동차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포스터2.3. 메이킹2.4. 콘텐츠
3. 기획의도4. 등장인물5. 음악6. 방영 목록 및 시청률7. 수상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15년 5월 15일부터 2015년 6월 20일까지 방영된 KBS 금토 드라마.

야근은 일상, 밤샘은 옵션, 눈치와 체력으로 무장한 KBS 예능국 사람들의 순도 100% 리얼 예능드라마를 표방하고 있다. 제목인 프로듀사프로듀서와 선비 사(士)를 합성한 합성어이다.[1]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rowcolor=#010A38> 써머리 예고편

2.2. 포스터

파일:70976825.4.jpg
<rowcolor=#010A38> 메인 포스터

2.3. 메이킹

<rowcolor=#010A38> 분류 제목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NG 모음 [프로듀사 Special] 800번 봐도 모자른 프로듀사 NG잼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4. 콘텐츠

파일:프로듀사_logo.png 콘텐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10A38> 분류 제목 링크
<colbgcolor=#f5f5f5,#2d2f34> 제작발표회 '프로듀사' 제작발표회 하이라이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첫 만남 '프로듀사' 첫 만남 관찰카메라 1편 - 차태현 김수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프로듀사' 첫 만남 관찰카메라 2편 - 공효진 아이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프로듀사' 첫 만남 관찰카메라 3편 - 4인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인터뷰 연예가 중계 - 대박예감! KBS 최초 예능 드라마 <프로듀사>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 }}} ||

3. 기획의도

'너나 가져라' 해서 여의도(汝矣島)라 이름 붙여졌다는 이 섬.
모래와 바람만이 가득해 천인들이 양을 치고 궁녀들의 화장터로 쓰였을 만큼 쓸모없던 이곳은 이제 누구라도 들어오고 싶어 하나 아무나 들어올 수는 없는 도도한 땅이 되었다.
대한민국의 권력이 모이는 곳, 증권가의 거대한 자본이 오가고 온갖 찌라시와 루머가 양산되는 곳.
그리고...
뉴스와 드라마와 쇼로 대한민국의 여가시간을 책임지는 방송국이 있는 곳이 바로 여의도다.
그러니 이제는 누구도 '너나 가져라'고 말할 수 없는 어마무시하게 귀하신 땅인 것이다.

자 이제..
여의도의 중심, 365일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으며 국민의 수신료로 운영되고 있는..
KBS 한국방송... 그곳의 6층, 예능국으로 올라가본다.
그곳에는 <1박 2일> <개그콘서트> <슈퍼맨이 돌 아왔다> <비타민> <연예가중계> <뮤직뱅크> <전국노래자랑>을 만드는 사람들이, 파티션을 사이에 두고 앉아 있는 '사무실'이 있다.
그냥 사무실이다.
교무실이라든가 동사무소라든가 구로동 어느 무역회사와 뭐 그리 큰 차이가 없는..
파티션 있고 복사기 토너 흔들어 써야하고 부장 눈치 보느라 어쩔 수 없이 회식 참석해야 되는...
그냥 사무실.

이곳에서 <1박 2일> 피디는 새로 들어온 조연출에게
"혹한기 야외 촬영 나갈 때 어느 회사 패딩이 가장 가성비가 좋은지"나
"어떻게 하면 까나리 액젓을 아메리카노랑 비슷하게 만들어 멤버들을 왕창 속일 수 있는지"를 어마어마한 영업비밀인 양 전수하며,
<개그콘서트> 피디는 어떤 각도에서 박을 머리에 쳐야 깨지는 소리도 아주 그냥 시원시원하게 나면서 웃기게 얻어맞을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수십 개의 박을 지 머리로 깨고 앉아 있다.

한때는 수재 소리 들어가며 서울대 연고대 나와서 방송국 들어갔다고 축하도 많이 받았는데,
죽자고 영어 공부해서 토익도 980점씩 맞았었는데...
거리 인터뷰 나가 외국인 만나면 버벅대기는 고딩과 매한가지고
독해도 해외 직구할 때나 유용하지 별로 쓸 일도 없다.
중·고등학교 시절 내내 1등을 했던 과목은 '수학'과 '과학'이었건만,
정작 촬영장에서 가장 필요한 건 '눈치'와 '체력'이요,
취업하려고 '논술'과 '상식' 후벼 팠지만 회의실에서 가장 필요한 건
'수려한 말빨'과 '핸드폰 전화번호부'임을 깨닫고 만... 예능국 근무 중인 고학력 바보들.

밤샘회의에 촬영에 편집에 마라톤을 뛰고도 시청률 떨어지면 밥버러지 취급을 받으니
오늘이라도 '너나 가져라' 하고 싶지만.. 그래도 차마 그럴 수 없는 소중한 KBS 출입증.
그거 목에 걸고 오늘도 여의도 18번지 6층으로 출근하는
피디 아닌 직장인들의 사무실 이야기.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듀사/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듀사/음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f2023><-6><tablebordercolor=#E9EBE0><bgcolor=#E9EBE0><color=#010A38> 파일:프로듀사_logo.png OST ||
<rowcolor=#010A38> 파트 표지 발매일 곡명 아티스트 링크
Preview 1 파일:프로듀사ost1.jpg 2015. 05. 15. <colbgcolor=#f5f5f5,#2d2f34> 달링 (OST Ver.) 이승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review 2 파일:프로듀사ost2.jpg 2015. 05. 16. To Be With You 김연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review 3 파일:프로듀사ost3.jpg 2015. 05. 22. And...그리고 백지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합본 파일:프로듀사ost4.jpg 2015. 05. 23. 프로듀사 OST Various Artis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pecial Edition 파일:프로듀사ost5.jpg 2015. 06. 19. 프로듀사 OST Various Artist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방영 목록 및 시청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듀사/방영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모두 AGB 닐슨 기준.
방영일 회차 에피소드 제목 전국 시청률 변동 수도권 시청률 변동
150515 1회 본의 아니게 예능국 10.1% - 10.5% -
150516 2회 본의 아니게 하차통보 10.3% 0.2%▲ 10.7% 0.2%▲
150522 3회 본의 아니게 닭 대신 꿩 10.2% 0.1%▼ 11.4% 0.7%▲
150523 4회 본의 아니게 그런 척... 11.0% 0.8%▲ 11.3% 0.1%▼
150529 5회 본의 아니게 편집: 편집의 이해 11.2% 0.2%▲ 12.0% 0.7%▲
150530 6회 본의 아니게 대형사고: 방송사고의 이해 13.5% 2.3%▲ 14.5% 2.5%▲
150605 7회 언론플레이의 이해 11.7% 1.8%▼ 12.3% 2.2%▼
150606 8회 러브라인의 이해 13.4% 1.7%▲ 13.7% 1.4%▲
150612 9회 결방의 이해 12.6% 0.8%▼ 13.5% 0.2%▼
150613 10회 예고의 이해 14.6% 2.0%▲ 15.4% 1.9%▲
150619 11회 시청률의 이해 13.4% 1.2%▼ 14.5% 0.9%▼
150620 12회 장수 프로그램의 이해 17.7% 4.3%▲ 17.9% 3.4%▲
150626 스페셜 NG의 이해 5.5% 12.2%▼
  • 9화에서는 난공불락이었던 정글의 법칙시청률을 누르고 지상파 1위로 등극했다. #
  • 본작은 8화까지 방영을 마쳤을 때를 기준으로 매 회마다 10% 이상의 시청률을 유지하며 순항했으며, 윤성호 감독에서 표민수 감독으로 연출이 교체된 이후 극이 안정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 본작 이후 KBS에선 3편의 금토드라마가 제작되었으나 시청률 부진으로 종결되면서, 처음이자 마지막 두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한 드라마로 남게 되었다.

7. 수상

<rowcolor=#010A38> 연도 시상식 부문 수상자(작)
2015년 제8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한류스타상 김수현
대상
연출상 표민수, 서수민
한국광고주협회 광고주가 뽑은 좋은 프로그램상 드라마 부문 프로듀사
대한민국 마켓팅 대상 K-Drama 부문 최우수상
제4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대상 김수현
미디어 어워드 지상파방송 콘텐츠 드라마 부문 우수상 프로듀사
대한민국 스타 예술 대상 올해의 드라마 대상
KBS 연기대상 네티즌 인기상 김수현
베스트 커플상 공효진, 김수현
베스트 커플상 공효진, 차태현
미니시리즈 부문 남자 우수연기상 차태현
대상 김수현

8. 기타

  • KBS 예능국과의 협업을 통해, KBS의 1박 2일, 뮤직뱅크 등의 예능 프로그램들이 드라마 내에 주요 소재로 등장하고, 다양한 연예인들이 카메오로 출연했다.
  • 현실에 존재하는 이름들이 많이 등장하지만, 대부분 패러렐 월드라 고증은 거의 없다고 봐야 햔다.
  • 예능 드라마를 표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극이 예능국 PD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구도에서 전형적인 로맨틱 코미디물의 구도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심지어 극중 러브라인이 백승찬을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라준모가 존재감을 잃어가다시피한다는 지적[3]이 쏟아지고 있다. 기획의도는 원래 폼으로 써 놓는 것일 뿐. 3회부터 PD가 바뀌면서 극의 방향이 바뀌었다고 짐작하는 시청자들도 있지만, 일단 원래의 연출자는 1화가 방영되기 훨씬 전인 촬영 초반에 작업 조건을 둘러싼 이견 때문에 프로젝트에 이별을 고한 상태였다는 것이 팩트. 작가가 더 우위에 있는 한국 드라마의 관례상 연출이 바뀐다고 해서 드라마의 방향성이 바뀌는 일은 거의 없다. 애초에 로맨틱 코미디 전문인 작가가 주도한 프로젝트였던 것.
  • 다만 초반 언론 플레이를 할 때에는 편의상, 프로듀사는 지금까지 보지 못한 새로운 예능 드라마를 표방하면서 현실감 있는 이야기 위해 실명거론을 했으며, KBS 예능국장까지 나와 "예능의 진화과정이다"라고 언급했을 만큼 여타 드라마와 다르다는 반응을 적극적으로 피력해왔다. 그러나 1회를 시청한 뒤 많은 네티즌들이 "이해가 안된다", "예능 드라마라고 하는데 예능도 드라마도 이도저도 아닌 것 같다", "보다가 잠이 들었다" 라는 을 보였다.
  • 세간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1, 2회 대부분이 표민수 PD가 촬영한 장면들로 채워진 채 방영됐으며, 촬영 초반 노동 조건에 대한 이견으로 영화감독 윤성호는 일찌감치 자의적으로 하차했다. 윤성호 감독이 연출 및 대본에 기여한 대부분의 분량은 오히려 3화. 벚꽃 배경의 씬이 많이 들어있던 3화 대본의 장면들부터 먼저 찍어야 하는 계절 이슈가 있었다. 이후 표민수 PD가 바통을 이어받았으나, 그렇다고 해서 연출자의 취향에 따라 대본이 바뀐 것은 아니며 애초부터 대본은 로맨틱 코미디물 노선을 노렸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사정을 모른 채 아쉬워하는 기사도 몇개 있다.

  • 다만 주연을 제외한 배우 캐스팅에는 윤성호 감독의 의중이 많이 반영되어 그와 함께 작품을 했던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박혁권, 조한철, 박희본, 이채은, 박종환, 이주승, 나수윤 등은 모두 윤성호 감독이 전작들에 여러 번 출연했던 배우들이다.
  • 극중 백승찬이 탁예진을 좋아하는 데 걸린 시간이 너무 짧다는 비판이 많다. 첫사랑 누나와 같은 직장에서 일하기 위해 PD가 되었는데 그 누나가 회사를 휴직하고 불과 한 회도 되지 않아 예진에게 이끌리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했기 때문. 게다가 예진과 승찬을 응원하는 입장과 승찬과 신디를 응원하는 입장이 매우 팽팽했는데 예진을 좋아하면서도 신디에게 계속 친절하게 대하는 승찬을 어장관리라며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 하지만 이는 각각의 러브라인을 응원하는 사람들의 입장이 과열되며 생긴 일이기도 하다. 사실 승찬은 단 한번도 신디와 예진 사이에서 신디가 먼저였던 적이 없었다. 다쳐서 응급실에 누워있는 신디를 보고도 예진만 찾았으며 예진과 영화 약속이 있었던 날 신디의 와달라는 부탁에 가기는 했지만 예진에게 먼저 갔었고 그 앞에서 예진에게 영화를 못 봐서 아쉬웠다는 말을 대놓고 한다, 뿐만 아니라 승찬의 진심이 가장 잘 드러나는 부분인 짐 들어주기에서도 예진은 말하기도 전에 본인이 잠을 들어주는 반면 신디에게는 가위바위보 조차 져주지 않았다.
  • 이러한 비판과 우려와 각각의 러브라인을 지지하는 시청자들의 의견이 맞물려 한 회 한 회 방송될 때마다 논쟁이 매우 뜨겁다.... 본래 신디 역은 까칠한 톱스타로만 남을 예정이었으나 피디가 바뀌어 신디와의 러브라인이 생겨버리고, 연출에서 너무 승찬과 신디의 러브라인에 힘을 쏟는 것 아니냐는 비판 또한 존재했다.
  • 프로듀사 방영 당시에는 인지도가 낮았으나 이후 활발한 활동을 하는 출연진이 제법 많다. 백승찬의 입사동기 역을 맡았던 배우가 이후 응답하라 1988에서 인기를 얻게 된 류준열이었으며, 1박 2일 팀의 작가 역을 맡았던 고보결은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 도깨비, 고백부부, 마더 등에 출연하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역시나 1박 2일 팀 작가 역을 맡았던 이채은은 몇 편의 영화와 쌈, 마이웨이 등의 드라마에 출연했다. 변 대표 밑에서 일하던 김 실장 역을 맡은 배우 조한철은 영화 간신, 곡성, 럭키, 판도라, 특별시민, 침묵 및 드라마 마더 등의 작품에 출연했으며, 백승찬 PD의 아버지 역을 맡았던 중견배우 김종수는 영화 아수라, 특별시민, 1987, 마약왕 등에 출연하고 있다. 핑키포 멤버 중 한 명이자 신디의 인기를 질투하는 하늘 역을 맡았던 정미미는 소속사를 옮긴 뒤 걸그룹 구구단 멤버로 활동하게 되었으며, 신디의 안티팬 역을 맡았던 설인아섹션TV 연예통신, 런닝맨, 드라마 학교 2017 등 다방면으로 이름 석자를 알리고 있다. 탁예진의 동생 역을 맡았던 김희찬 역시도 치즈인더트랩, 빙구, 학교 2017 등의 드라마에 출연하며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 방영시간에 대한 논란이 있다. 처음에는 70분 가량 방송되었으나 마지막회는 무려 105분 가량 방영되었기 때문. C팀까지 투입하며 무리하게 촬영분량을 늘리고 방영시간을 늘린 것이 시청률의 상승세와 전혀 관계가 없다는 것은 무리가 있어보인다는 주장이 있다. 반면 방영시간을 늘려도 재미가 없다면 오히려 시청률이 하락되었을 것이고 오히려 방영시간을 늘리지 않고 16회로 연장하여 방송을 했더라면 더 시청률이 올랐을 거라는 예측 또한 존재한다. 분명한 건 주연배우들이 모두 드라마 끝난 이후 영화 촬영 및 음반 작업 스케줄이 모두 이미 계획된 시점이라 연장은 어려웠다는 점이고, 그렇기 때문에 대신 방영시간이 늘어난 게 아닐까 조심스레 추측할 수 있다. 한편 KBS 예능국은 지상파 삼사 합의를 깨고 시청률 선점을 위해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편성시간을 늘려 이미 비판을 받은 전례가 있다.
  • PPL 얘기가 나와서 덧붙이면 이 세계관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모바일 메신저로 라인만 쓴다. 그 흔한 카카오톡이 이 세계관에는 없고 SMS도 안쓴다.
  • 김수현과 차태현은 서로를 견제한다. 극중에서도, 현실에서도. 하지만 대미를 장식한 키스신은 두 배우 간의 닭똥집 키스였다.
  • 2015년도 정부 UHD 컨텐츠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원본 소스부터 UHD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작업에 참여한 제작자의 증언에 따르면 나중에 보정을 위해 좀 더 정밀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RAW방식의 녹화를 하지 않았음에도 원본 소스의 용량이 무려 40테라바이트에 이르렀다고 한다.[4] 향후 UHD 활성화시 4K 재방영을 기대해볼 수 있는 부분. LG전자 한정으로 자체 앱을 통해 UHD 시청이 가능하다고 한다. 2015년 연말까지 무료로 볼 수 있었다고 하나 지금도 서비스가 계속되고 있는 듯 하다. LG전자 TV에서 UHD 월드 앱을 깔고 UHD 원본 시청가능.[5] UHD 시험방송에서 8Bit HEVC로 송출되었으며 심지어 일부 자료공유사이트에 유료구매만 가능한 제휴자료로 UHD 화질 파일이 올라가있다! 자신의 기기가 원활하게 HEVC를 풀어줄 수 있다면 약간의 돈을 지불하고 UHD로 감상해보는 것도 좋을듯하다.
  • 촬영 카메라로는 영화용 카메라인 RED Dragon 카메라가 쓰였다. 억대가격의 몸값에다가 8K급 영상도 거뜬히 찍어내는 훌륭한 카메라이다.
  • 극중에 분리수거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데, PET병과 플라스틱 뚜껑을 따로 분리배출하는 것이 정석인 것처럼 묘사된다. 둘다 플라스틱류로 분류되므로, 실제로는 뚜껑을 장착한 채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만 따로 돌아다니면 뚜껑의 사이즈가 매우 작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선별장에서 조그만 뚜껑이 제대로 솎아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유리병과 금속뚜껑은 따로 분리배출해야 한다.
  • 작중 1박 2일은 시즌 4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시즌 5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인데 후에 현실의 1박 2일 역시 시즌 3이 역대급 흑역사가 되어 마무리된 후 시즌 4를 준비하게 되었다. 물론 차태현이 시즌 4에 출연하지 않게 되긴 했지만, 시즌 4가 잘 안풀리면 타개책으로 라준모 PD를 투입할지도 모른다는 농담성 드립이 나오기도 했다.
  • 드라마가 종영하고 7년이나 지난 라디오 스타 730(779)회에 이주승이 게스트로 나와서 밝히길, 담당역할인 FD 역이 귀신인줄 모르고 촬영했다고 한다. 애초에 슛이 들어가도 대부분 김수현과 했고. 본인도 전혀 그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마지막 대본을 받았을 때 알게 됐다고 한다.

9. 둘러보기

박지은 작품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드라마
파일:칼잡이 오수정 로고.png
(2007)
파일:내조의 여왕 로고.png
(2009)
파일:역전의 여왕 로고.png
(2010~2011)
파일:넝쿨째 굴러온 당신 로고.png
(2012)
파일:별에서 온 그대 로고(흑).png파일:별에서 온 그대 로고.png
(2013~2014)
파일:프로듀사_logo.png
(2015)
파일:푸른 바다의 전설 로고.svg
(2016~2017)
파일:사불로고.png파일:사랑의 불시착 Logo.png
(2019~2020)
파일:눈물의 여왕 로고.png파일:눈물의 여왕 로고 화이트.png
(2024)
}}}}}}}}} ||

[1] 의사 등의 소위 말하는 '사짜' 직업처럼 '사' 글자를 붙였다.[2] 당초는 영화감독 윤성호가 연출을 맡기로 했으나, 노동조건과 스탭 구성 등에 관한 의견차로 연출에서 물러나고 표민수 PD로 교체되었다. 윤성호 감독은 드라마가 성사되기 전부터 사전 대본 작업에 참여했었고 주로 1~3화 대본에 기여를 했으며 최종화까지 출연한 배역 대부분의 캐스팅에 관여했었다.[3] 물론 8화의 에필로그를 통해 앞으로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암시하긴 했지만... 결국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4] 아마도 저장공간 비용문제상 그렇게 한 것으로 보인다. RAW로 사진을 찍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똑같은 해상도임에도 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기 때문.[5] 정부 UHD 지원사업 렌더링 협력업체가 LG 계열사였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