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1구 Wahlkreis 1: Flensburg - Schleswig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01,054명 (2025) | |||||
상위 주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
하위 행정구역 |
| |||||
연방의원 | - | - |
1. 개요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플렌스부르크시 전체와 슐레스비히-플렌스부르크 군(Kreis Schleswig-Flensburg) 전체를 담당한다.1976년에 선거구가 생긴 이후 현재까지 지역구에서 기민련이 7번, 사민당이 5번, 녹색당이 1번 당선되어 팽팽한 경합 선거구로 평가할 수 있다.
2021년 제20대에서는 녹색당 후보로서는 최초로 로베르트 하베크가 지역구에서 당선되었으나, 2025년 제21대에서는 기민련이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1위를 차지했고, 저조한 득표율로 인해 지역구는 공석으로 남게 되었다.
비례대표 득표율을 살펴보면, 사민당은 여전히 고정 지지층이 많은 편이지만 제21대에서는 침체를 면하지 못했다. 좌파당도 저조하다. 눈에 띄는건 AfD로서, 사민당을 제치고 지역구 3위를 차지할 정도로 급부상했다.
세부 지역별 비례대표 득표율을 보면, 플렌스부르크 시내 지역에서는 녹색당 1위, 기민련 2위, 사민당 3위, AfD 4위, 좌파당 5위로 전형적인 도시형 분포를 보인다. 반면 슐레스비히를 비롯한 외곽 지역은 기민련 1위, 사민당 2위, AfD 3위, 녹색당 4위, SSW 5위 등으로 전형적인 보수 표심이다.
2. 역대 의원
- 볼프강 보다르크(Wolfgang Wodarg) (사민당): 1998년 제14대부터 2005년 제16대까지 3선.
- 볼프강 뵈른젠(Wolfgang Börnsen) (기민련): 2009년 제17대 1선.
- 자비네 쥐털린-바크(Sabine Sütterlin-Waack) (기민련): 2013년 제18대 1선.
- 페트라 니콜라이젠(Petra Nicolaisen) (기민련): 2017년 제19대 1선.
- 로베르트 하베크 (녹색당): 2021년 제20대 1선.
- 공석: 2025년 제21대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구 | 2구 | 3구 | 4구 | 5구 |
- | 라이프 보딘 | 마크 헬프리히 | 요한 바데풀 | 루이제 암츠베르크 | |
6구 | 7구 | 8구 | 9구 | 10구 | |
잔드라 카르스텐젠 | 다니엘 쾰블 | 멜라니 베른슈타인 | 제바스티안 슈미트 | 헨리 슈미트 | |
11구 | |||||
팀 클뤼센도르프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4 | 비례 5 | 비례 6 | |
쿠르트 클라인슈미트 | 게레온 볼만 | 케르스틴 프르취고다 | 스벤 벤도르프 | 알렉시스 기어쉬 |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로베르트 하베크[1] | 데니제 로프 | 콘스탄틴 폰 노츠 | 마이라 프리제마 | ||
비례 1 | 비례 2 | ||||
로렌츠 괴스타 보이틴 | 타마라 마치 |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니나 쉬어 | 랄프 슈테그너 | 베티나 하게도른 | 트륄스 라이하르트 | ||
비례 1 | |||||
슈테판 자이들러[2]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플렌스부르크·슐레스비히 플렌스부르크시 전체, 슐레스비히-플렌스부르크 군 전체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페트라 니콜라이젠 | 50,822 | 26.5% | 1위 | 47,683 | 24.9% | 1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로베르트 하베크 | 43,290 | 22.6% | 2위 | 30,590 | 15.9% | 2위 |
| 비례 당선[1] | ||||||
| 마르틴 노이바우어 | 28,824 | 15.0% | 3위 | 29,267 | 15.3% | 4위 |
| |||||||
| 요하나 젤버트 | 28,366 | 14.8% | 4위 | 30,544 | 15.9% | 3위 |
| |||||||
| 슈테판 자이들러 | 21,465 | 11.2% | 5위 | 20,573 | 10.7% | 5위 |
| 비례 당선 | ||||||
| 로렌츠 괴스타 보이틴 | 10,370 | 5.4% | 6위 | 15,894 | 8.3% | 6위 |
| 비례 당선 | ||||||
| 크리스토프 아나스타시아디스 | 4,484 | 2.3% | 7위 | 7,065 | 3.7% | 7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아르네 용크 | 1,544 | 0.8% | 8위 | 1,136 | 0.6% | 11위 | |
| |||||||
크리스티안 슈베켄디크 | 1,451 | 0.8% | 9위 | 1,450 | 0.8% | 9위 | |
''' Volt ''' | |||||||
슈테판 안드레센 | 646 | 0.3% | 10위 | 329 | 0.2% | 12위 | |
''' 독일 연합 ''' | |||||||
우베 크뤼거-비난츠 | 470 | 0.2% | 11위 | - | - | - | |
| |||||||
- | - | - | - | 6,045 | 3.2% | 8위 | |
| |||||||
- | - | - | - | 1,210 | 0.6% | 10위 | |
| |||||||
- | - | - | - | 53 | 0.0% | 13위 | |
''' MLPD ''' | |||||||
계 | 유효표 | 191,732 | 191,839 | ||||
무효표 | 1,134 | 1,027 | |||||
총 투표수 | 192,866 | 192,866 | |||||
투표율 | 83.1% | 83.1% | |||||
결과 | -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획득 |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구 | 2구 | 3구 | 4구 | 5구 |
로베르트 하베크 | 아스트리트 다메로 | 마크 헬프리히 | 죈케 릭스 | 마티아스 슈타인 | |
6구 | 7구 | 8구 | 9구 | 10구 | |
크리스티안 클링크 | 랄프 슈테그너 | 베른트 베르크트 | 베티나 하게도른 | 니나 쉬어 | |
11구 | |||||
팀 클뤼센도르프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우베 비트 | 게레온 볼만 | 요한 바데풀 | 잉고 개데헨스 | 페트라 니콜라이젠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
| 멜라니 베른슈타인 | 볼프강 쿠비키 | 귀데 옌젠-보른회프트 | 크리스티네 아셴베르크-두그누스 | |
비례 11 | 비례 12 | 비례 13 | 비례 14 | 비례 15 | |
막시밀리안 모르트호르스트 | 루이제 암츠베르크 | 잉그리트 네슬레 | 콘스탄틴 폰 노츠 | 데니스 롭 | |
비례 16 | 비례 17 | 비례 18 | |||
브루노 회넬 | 코르넬리아 뫼링 | 슈테판 자이들러[2]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플렌스부르크·슐레스비히 플렌스부르크시 전체, 슐레스비히-플렌스부르크 군 전체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로베르트 하베크 | 50,231 | 28.1% | 1위 | 33,300 | 18.6% | 3위 |
| |||||||
| 페트라 니콜라이젠 | 41,721 | 23.4% | 2위 | 36,421 | 20.4% | 2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비례 당선 | ||||||
| 프란치스카 브르츠레치카 | 38,927 | 21.8% | 3위 | 45,508 | 25.5% | 1위 |
| |||||||
| 슈테판 자이들러 | 13,020 | 7.3% | 4위 | 16,415 | 9.2% | 5위 |
| 비례 당선 | ||||||
| 크리스토프 아나스타시아디스 | 12,299 | 6.9% | 5위 | 19,189 | 10.7% | 4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 얀 페터젠-브렌델 | 9,768 | 5.5% | 6위 | 10,317 | 5.8% | 6위 |
| |||||||
| 카트리네 호프 | 6,544 | 3.7% | 7위 | 7,475 | 4.2% | 7위 |
| |||||||
마르코 뵐빙 | 3,357 | 1.9% | 8위 | 2,866 | 1.6% | 8위 | |
''' dieBasis ''' | |||||||
아르네 용크 | 2,324 | 1.3% | 9위 | 1,715 | 1.0% | 11위 | |
| |||||||
다리우쉬 코라스가니 | 227 | 0.1% | 10위 | 118 | 0.1% | 18위 | |
''' du. ''' | |||||||
우베 크리스티안젠 | 157 | 0.1% | 11위 | 73 | 0.0% | 19위 | |
''' LKR ''' | |||||||
- | - | - | - | 1,990 | 1.1% | 9위 | |
''' 동물보호당 ''' | |||||||
- | - | - | - | 1,844 | 1.0% | 10위 | |
| |||||||
- | - | - | - | 403 | 0.2% | 12위 | |
''' Volt ''' | |||||||
- | - | - | - | 318 | 0.2% | 13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194 | 0.1% | 14위 | |
''' V-Partei ''' | |||||||
- | - | - | - | 157 | 0.1% | 15위 | |
''' Die Humanisten ''' | |||||||
- | - | - | - | 138 | 0.1% | 16위 | |
''' NPD ''' | |||||||
- | - | - | - | 132 | 0.1% | 17위 | |
''' ÖDP ''' | |||||||
- | - | - | - | 40 | 0.0% | 20위 | |
''' DKP ''' | |||||||
- | - | - | - | 12 | 0.0% | 21위 | |
''' MLPD ''' | |||||||
계 | 유효표 | 178,575 | 178,625 | ||||
무효표 | 1,537 | 1,487 | |||||
총 투표수 | 180,112 | 180,112 | |||||
투표율 | 77.8% | 77.8% | |||||
결과 | 획득 | 획득 |
[1] 2025년 8월 31일 의원직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