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18:10:57

슐레스비히홀슈타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 70%, #000 80%, #ff0000 80%, #ff0000 90%, #ffd400 90%, #ffd400);"
{{{#!wiki style="margin: -8px"
<tablebordercolor=#000><tablealign=center><tablewidth=200><tablebgcolor=#000>
파일:독일 국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기.svg 파일: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장.svg 파일:니더작센 주기.svg 파일:니더작센 주장.svg 파일:라인란트팔츠 주기.svg 파일:라인란트팔츠 주장.svg 파일: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기.svg 파일: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장.svg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NW)
[[뒤셀도르프|파일:뒤셀도르프 문장.svg
뒤셀도르프
]]
니더작센 (NI)
[[하노버|파일:하노버 문장.svg
하노버
]]
라인란트팔츠 (RP)
[[마인츠|파일:마인츠 문장.svg {{{#!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0.8em;"]]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MV)
[[슈베린|파일:슈베린 문장.svg
슈베린
]]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기.svg 파일:바덴뷔르템베르크 주장.svg 파일:바이에른 주기 (2).svg 파일:바이에른 주장.svg 파일:베를린 주기.svg 파일:베를린 주장.svg 파일:브란덴부르크 주기.svg 파일:브란덴부르크 주장.svg
바덴뷔르템베르크 (BW)
[[슈투트가르트|파일:슈투트가르트 문장.svg
슈투트가르트
]]
바이에른 (BY)
[[뮌헨|파일:뮌헨 문장.svg
뮌헨
]]
베를린 (BE) 브란덴부르크 (BB)
[[포츠담|파일:EA698EED-9961-4B85-B534-830755E8178E.png
포츠담
]]
파일:브레멘 주기.svg 파일:브레멘 주장.svg 파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기.svg 파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장.svg 파일:자를란트 주기.svg 파일:자를란트 주장.svg 파일:작센 주기.svg 파일:작센 주장.svg
브레멘 (HB)
[[브레멘시|파일:브레멘시 문장.svg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SH)
[[킬(독일)|파일:킬 문장.svg
]]
자를란트 (SL)
[[자르브뤼켄|파일:자르브뤼켄 문장.svg {{{#!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0.8em;"]]
작센 (SN)
[[드레스덴|파일:드레스덴 문장.svg
드레스덴
]]
파일:작센안할트 주기.svg 파일:작센안할트 주장.svg 파일:튀링겐 주기.svg 파일:튀링겐 주장.svg 파일:함부르크 주기.svg 파일:함부르크 주장.svg 파일:헤센 주기.svg 파일:헤센 주장.svg
작센안할트 (ST)
[[마그데부르크|파일:마그데부르크 문장.svg
마그데부르크
]]
튀링겐 (TH)
[[에어푸르트|파일:에어푸르트 문장.svg
에어푸르트
]]
함부르크 (HH)
[[함부르크|파일:함부르크 소형 주장.svg
함부르크
]]
헤센 (HE)
[[비스바덴|파일:비스바덴 문장.svg
비스바덴
]]
각 주의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베를린 동프로이센 서프로이센
브란덴부르크 포메른 슐레지엔
포젠 작센 하노버
헤센나사우 베스트팔렌 라인란트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호엔촐레른 }}}}}}}}}
<colbgcolor=#0039ad>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Land Schleswig-Holstein
Land Sleswig-Holsteen저지 독일어
Delstat Slesvig-Holsten덴마크어
Lönj Slaswik-Holstiinj북프리지아어
파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기.svg 파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장.svg
주기(州旗)[1] 주장(州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Deutschland_Lage_von_Schleswig-Holstein.svg.png
위치
행정
{{{#!wiki style="color:#373A3C;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d0000> 국가 <colbgcolor=#fff>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시간대 (UTC+1/+2)
주도(州都)
}}}}}}}}} ||
인문환경
{{{#!wiki style="color:#373A3C;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dd0000> 면적 <colbgcolor=#fff>15,799.65km²
인구 2,965,691명(2023년 12월)
인구밀도 188명/km²
}}}}}}}}} ||
정치
{{{#!wiki style="margin:0 -10px -5px;color:#373A3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dd0000> 주총리 <colbgcolor=#ffffff>다니엘 귄터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주의회 <colbgcolor=#dd0000> 여당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34석 / 69석

14석 / 69석
야당
12석 / 69석

[[자유민주당(독일)|
자민당
]]
5석 / 69석


4석 / 69석
연방하원
8석 / 28석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6석 / 28석

6석 / 28석

[[자유민주당(독일)|
자민당
]]
4석 / 28석

2석 / 28석

1석 / 28석


1석 / 28석
연방상원 4석
}}}}}}}}} ||
1. 개요2. 역사
2.1. 고대2.2. 중세2.3. 근대2.4. 현대
3. 정치4. 여담5. 행정구역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슐레스비히 공국 문장.svg 파일:홀슈타인 공국 문장.svg
슐레스비히의 문장 홀슈타인의 문장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Schleswig-Holstein

독일의 북부에 위치한 덴마크와 접해있는 주이다. 서쪽에는 북해, 동쪽에는 발트해가 있다. 주도는 (Kiel). 한때 슐레스비히(Schleswig)라는 소도시에 주도가 있기도 했었으나, 1945년 최종적으로 킬로 이전하였다.

2. 역사

2.1. 고대

고대의 홀슈타인 지방은 앵글족과 결합하여 앵글로색슨족이 된 것으로 더 유명한 작센족이 살던 곳으로, 810년 카롤루스 대제가 작센족을 완전히 복속시키고 작센 공국을 설치하면서 이 지역의 통치권을 얻었다. 그러나 곧 덴마크와의 조약을 통해 아이더 강 이북의 영토를 떼주었다. 기존에 살던 작센족을 몰아내거나 하는 일도 딱히 없어 이후로도 한동안 작센 공국이 되었고 이를 노르트알빙기아(Nordalbingia)라고 불렀다. 신성 로마 제국이 선포된 이후로도 덴마크와의 국경 분쟁이 꾸준히 있어왔으나 결국엔 아이더 강이 국경으로 자리잡게 된다. 지금도 홀슈타인과 슐레스비히의 지리 구분은 아이더 강을 기준으로 한다.

홀슈타인이란 이름은 고대 작센족의 한 부족 Holcetae에서 유래한 것으로, 고대 작센어로 "숲속의 난쟁이들"이란 뜻이다. 이들은 현재 함부르크의 서쪽 엘베 강 북쪽 강변에 살았던 걸로 추정된다.[2] 본래 홀차티엔(Holcetae에서 유례)은 노르트알빙기아의 한 하위 지방명이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역전하게 된다.

2.2. 중세

신성 로마 제국이 수립되면서 작센 공작령은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령이 되었고, 1111년 작센 공작의 제후로서 홀슈타인 백작령이 신설되었다. 황제 프리드리히 1세에게 대들던 하인리히 사자공이 박살난 후 1235년 작센 공작령이 분할될 때 홀슈타인 백작령은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의 제후가 되었다.[3]

1058년, 덴마크 국왕 올루프 1세는 유틀란트 남쪽, 신성 로마 제국과의 국경지대에 슐레스비히 공작령을 설치했다. 원래 작위명은 쇠너윌란[4] 공작이었지만, 14세기부터 슬레스비(Slesvig)[5] 라는 도시명이 지역명으로도 쓰이게 되면서 기존 명칭을 완전히 대체하게 된다.[6] 이후 대대로 덴마크 국왕이 가지고 있던 작위였는데 1115년에 덴마크 국왕 닐스가 조카에게 잠시 양도하기도 했지만, 다시 덴마크 국왕의 작위가 되었다.

이후 홀슈타인 백작령은 분할 상속에 따라 여러 영주령으로 분열과 통합을 반복하다, 1386년 덴마크 국왕 올루프 2세와 그의 어머니이자 섭정인 마르그레테 1세가 홀슈타인렌츠부르크 영주에게 슐레스비히 공작령을 영지 공시 양도했다.[7] 1390년까지 홀슈타인렌츠부르크 백작은 상속을 통해 다른 홀슈타인 영주령들을 홀슈타인렌츠부르크 영주령으로 모두 통합시켰으나, 홀슈타인핀네베르크만 빠졌다.[8] 샤움부르크 가문은 1459년에 단절되었고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1세가 가장 가까운 인척으로 홀슈타인렌츠부르크 백작령과 슐레스비히 공작령을 상속받았다. 이때 덴마크 군주가 홀슈타인 백작령을 상속받는 대가로 리베 조약에 서명하여 슐레스비히 공작령과 홀슈타인 백작령은 반드시 동일 인물이 두 작위를 동시에 가져야 하며 홀슈타인 백작령은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령임을 확인시켰다. 슐레스비히 공작령은 덴마크의 제후이고 홀슈타인 백작령은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인 작센라우엔부르크 공국의 제후이며 이 둘의 작위를 가진 사람은 덴마크의 왕이니, 매우 복잡해지는 상황. 그래서 147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는 홀슈타인렌츠부르크 영주령을 홀슈타인 공작위로 승작시켜주었다.

1490년 홀슈타인 공작령은 분할 상속 문제로 홀슈타인고토르프와 홀슈타인제게베르크로 분할되었다. 홀슈타인제게베르크는 슐레스비히와 함께 덴마크 국왕에게 상속되어 "왕령 홀슈타인"이라 불리었고 홀슈타인고토르프는 "홀슈타인 공국"으로 불리었다. 1533년 홀슈타인과 슐레스비히 공작령은 다시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3세에게 귀속되었다가 이복동생들인 한스와 아돌프에게 분할 상속을 했는데, 리베 조약으로 두 공작위를 서로 분리할 수 없었기에 삼형제는 두 공작위를 삼등분했다. 즉 2개의 공작위에 3명의 공동 공작(그 중 한 명은 덴마크 국왕)이 존재하게 된 셈. 그 중 한스는 자녀 없이 사망했고, 한스의 영지는 프레데리크 2세아돌프가 다시 재분할했다.

1580년 왕령 홀슈타인/슐레스비히로 합쳐졌다. 시간이 흘러 1761년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표트르 3세러시아 제국의 제위를 이어 받고, 슐레스비히 공작령을 노리고 덴마크를 침공할 계획을 세운다. 그런데 러시아 황제가 된지 몇개월이 채 되지도 않아 1762년 부인 예카테리나 2세에 의해 폐위당하고 죽임을 당하는데, 이로 인해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령이 완전히 러시아 제국으로 들어가는 상황이 연출되었다. 결국 덴마크는 올덴부르크 백국과 교환하여 홀슈타인 공작령으로 다시 하나로 합쳐 덴마크 군주의 영토가 되었다.

2.3. 근대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되면서 홀슈타인 공작령은 주권지역이 되었다. 1815년 빈 협약에서 강대국들에 의해 슐레스비히는 독일 연방에 속하지 않는 상태로 남은 반면, 홀슈타인은 독일 연방의 일원이어야 한다고 못박히게 되었다. 1864년까지 독일 연방의 일원이긴 했지만 여전히 덴마크 왕실의 작위였다. 그래서 독일 연방에 덴마크 왕이 영향력을 끼칠 수 있었던 것이다. 나폴레옹 전쟁이 불러온 민족주의가 이 지역에도 퍼져나가면서 독일계 거주민이 많았던 홀슈타인과 남부 슐레스비히에서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독립 주장이 등장한 반면 덴마크의 민족주의자들은 슐레스비히 지역을 덴마크에 합병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일례의 민족적 대립에 인해 일어난 외교적 위기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라고 한다. 민족적 대립의 와중에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7세가 1848년 자유주의에 입각한 헌법을 공표하였고 추후 상속에 대한 우려로[9] 강제로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의 상속법을 개정, 1848년 3월에는 아예 슐레스비히의 덴마크로의 합병을 선언하자 이 지역의 독일계 귀족들이 이것에 거세게 반발했다. 독일계 귀족들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만의 독자적인 헌법과 독일 연방 가입[10]을 덴마크로부터 요구하면서 봉기를 일으켰고 이는 프로이센의 개입까지 일어나 제1차 슐레스비히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후 열강들의 개입으로 덴마크와 프로이센 모두[11] 바라던 바를 못이룬 무승부로 끝난다. 이는 아래 문단의 2차 슐레스비히 전쟁으로 이어진다.

더 이상 리베 조약을 지킬 필요가 없는 1863년, 프레데리크 7세의 죽음으로 두 공작령이 드디어 분할되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아 제국과 연합하여 덴마크와 전쟁[12]을 치렀고, 덴마크는 결국 패하여 이 일대를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에게 양보해야 했다. 이후 슐레스비히 공국과 홀슈타인 공국에 관한 영유권을 놓고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고[13]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의 결과 승리한 프로이센이 이 지역을 모두 차지하고 독일 제국을 건설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체결된 프라하 조약 5항에서는, 북부 슐레스비히에는 덴마크계 거주민이 많았으니 북부 슐레스비히의 덴마크 복귀/프로이센 잔류를 놓고 주민투표를 실시하도록 명시했지만 자기들에게 불리한 결과가 나올 것이 뻔했던 만큼 프로이센 측은 이 주민투표를 결코 시행하지 않았다.

1876년에는 작센라우엔부르크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지방과 병합되었다.

2.4. 현대

결국 이러한 주민투표가 시행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였고, 덴마크계 주민들이 상당수 거주했던 북부와 중부 슐레스비히 홀슈타인에서 1920년 3월 덴마크/독일로의 선택을 놓고 주민투표가 이루어진다. 북부 슐레스비히 지역은 75%의 지지율로 다시 덴마크로 복귀하기를 선택하였으며, 중부 슐레스비히 홀슈타인은 80%의 지지율로 독일에 남기를 선택하였고,[14] 영토반환은 같은 해 6월에 이루어졌다. 이 때 확정된 독일-덴마크 국경선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고, 히틀러조차도 이 국경선에 대해서만큼은 시비를 걸지 않았다. 대신 덴마크를 통째로 점령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붕괴직전의 나치가 세운 최후의 정부가 이 곳에 있기도 했으며, 이후 영국군에게 점령된 이 지역은 전후 중동부 유럽에서 쫓겨온 독일계 피난민, 추방민을 대거 받아들이면서 인구수가 폭증[15]했다.

3. 정치

파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의회 로고.png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의회의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연립여당
[[독일 기독교민주연합|파일:1280px-CDU_LV_SH.svg.png
기독교민주연합
34석
]]
[[동맹 90/녹색당|파일:external/www.energieheld.de/buendnis90-diegruenen-logo.jpg
동맹 90/녹색당
14석
]]
야당
[[독일 사회민주당|파일:SPD 슐레스비히홀슈타인.svg
사회민주당
12석
]]
[[자유민주당(독일)|파일:bildschirmfoto_2020-02-10_um_13.08.47.png
자유민주당
5석
]]
[[남슐레스비히 유권자 연합|파일:SSW 로고.svg
남슐레스비히 유권자 연합
4석
]]
재적
69석
}}}}}}}}}

이 지역은 1950년대를 제외하고는 기민련사민당의 양대 정당과 한 자리 수 의석을 얻은 소수정당들이 주의회를 구성하는 전형적인 구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1950년 주 총선에서는 슐레지엔동프로이센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에서 추방된 실향민들로 구성된 '전 독일 연합/공민권을 박탈당한 실향민 연맹'[16]이 당시 전체 의석 69석 중 15석을 얻어 제3당에 등극하는 돌풍을 일으켰고, 제2당인 기민련을 지지해 기민련이 주총리를 탈환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사민당: 이겨도 이긴게 아니다.

그러나 이후 실향민 연맹의 지지율은 떨어져서 1954년 주 총선에서는 10석으로 의석 수가 감소하더니 1958년 주 총선에서는 5석으로 추락했다.[17]

실향민들이 이 주에 많았던 탓에 이후로도 극우정당들이 간혹 5%의 벽을 뚫고 주의회에 진출하기도 한다. 현재는 대안당이 주의회에 진출해있다.

사민당기민련과 함께 매번 두 자리 수 의석은 가뿐히 얻었지만 번번히 제1당을 차지하는데는 실패하거나, 1당을 차지해도 기민련과 다른 정당들의 연정에 밀려 주 총리를 배출하지 못 했다. 1947년부터 1949년 8월까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의 집권 여당이었던 사민당은 이후 39년만1988년 5월에 주 총리를 배출해 2005년까지 17년 동안 여당으로 자리잡았다.

자유민주당은 중간중간 원외로 밀려나기는 했지만 한 자리 수 정도의 의석을 얻어왔다.[18] 반면 녹색당1996년 주 총선에서 처음으로 의석을 얻고나서 꾸준히 한 자리수 의석을 얻다가 2009년 주 총선 이후로는 매번 두 자리수 의석을 얻고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 주에는 대략 6만 명 정도의 덴마크계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덴마크어를 사용하는 덴마크계 주민들과 북프리지아어를 사용하는 프리지아계 주민들이 조직한 "남슐레스비히 유권자 연합"(SSW)이라는 지역 정당이 존재한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와 독일연방공화국 선거법은 이 SSW에 한해 5%의 봉쇄조항을 적용하지 않으며, 이 정당의 주의회 의석 수가 얼마가 됐든 무조건 교섭단체로 인정해주고 있다.

2020년 9월 25일 주의회를 구성하던 독일을 위한 대안 의원 4명이 모두 탈당하면서 독일을 위한 대안은 의석을 모두 잃고 말았다. #

4. 여담

  • 풍력 발전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 산업으로도 유명하다. 독일 전체 풍력 발전량의 22%를 이곳에서 담당하고 있다.
  • 전통적으로는 저지 독일어의 영역에 해당되는 지역이지만 2차 대전 종전 이후 슐레지엔, 동프로이센 피난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지방 고유의 사투리는 사라지고 오늘날에는 표준 독일어만이 살아남았다고 한다.
  • 독일이 자랑한 세계적인 역사학자 테오도르 몸젠이 이 곳 출신. 몸젠 본인은 덴마크계 사람이지만, 정작 1848년 무렵 독일계 거주민이 일으킨 봉기에서는 독일의 편을 들어서 덴마크의 높으신 분들의 노여움을 사셨다고...
  • 두 차례의 세계대전 기간 내내 독일 해군의 주요 거점지 역할을 수행했는데, 독일 제국의 종말을 시작한 킬 군항의 반란이 바로 이 곳에서 시작됐다.
  • 이 곳에 한자동맹에 속해 있던 도시인 뤼베크가 있다.[19]
  • 크릭스마리네가 보유한 함선 중에는 이 주의 이름을 딴 전(前)드레드노트급 도이칠란트급 전함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호가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의 시작이라 할만한 폴란드 침공은 당시 단치히에 있던 폴란드군 요새를 이 전함이 포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지옥문을 연 상징적인 함선이라 봐도 무방하다.[20]
  • 2018년 7월 국가대표 축구선수 이재성이 이 주를 연고로 하는 홀슈타인 킬로 이적해 축구팬들에게 이 주가 알려지게 되었다.
  • 주기가 과거 유고슬라비아 왕국 또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와 비슷하다.[21]
  • 2012년 주정부는 자체적으로 자유 규정을 만들어 약 50개 정도의 온라인 카지노 및 등의 온라인 도박업체에 대한 라이센스를 발급하였다. 해당 법률은 2013년 새로운 주 정부에 의해 폐지되었지만 라이센스는 남아서 2018년까지 유효했다.
  • 2024년 이전까지 서독에 속했던 독일의 주 가운데 유일하게 분데스리가 클럽을 배출하지 못했던 지역이었다.[22] 그나마 홀슈타인 킬이 2017-18 시즌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실패했다. 2020-21 시즌 다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첫 승격에 도전했으나 1차전 원정 승리 후 2차전 홈 대패로 또 실패했다. 그러다 2023-24 시즌 홀슈타인 킬이 분데스리가 승격을 확정지으면서 이 주도 분데스리가 클럽을 배출하게 되었다.
  • 얼룩젖소 품종으로 유명한 홀스타인 젖소의 이름이 여기에서 따온 것(홀슈타인>홀스타인)이다. 다만 홀스타인종은 이름과 달리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이 아닌 네덜란드 프리슬란트 주에서 나왔다. 그래서 홀스타인프리지안(Holstein-Friesian)이라고도 부른다.
  • 5.18 민주화운동의 참상을 알린 외신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의 고향이기도 하다.[23]

5.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andkreise
파일:슐레스비히플렌스부르크 군 문장.svg
슐레스비히플렌스부르크
Schleswig-Flensburg
파일:슐레스비히 문장.png
(슐레스비히)
파일:렌츠부르크에케른푀르데 군 문장.png
렌츠부르크에케른푀르데
Rendsburg-Eckernförde
(렌츠부르크)
파일:헤르조그툼라우엔부르크 군 문장.png
헤르초크툼라우엔부르크
Herzogtum Lauenburg
(라체부르크)
파일:플뢴 군 문장.png
플뢴
Plön
파일:플뢴 문장.png
(플뢴)
파일:피네베르크 군 문장.png
피네베르크
Pinneberg
(피네베르크), (엘름스호른)
파일:슈타인부르크 군 문장.png
슈타인부르크
Steinburg
(이체호)
파일:노르트프리슬란트 군 문장.png
노르트프리슬란트
Nordfriesland
(후줌)
파일:디트마르셴 군 문장.png
디트마르셴
Dithmarschen
(하이데)
파일:오스트홀슈타인 군 문장.png
오스트홀슈타인
Ostholstein
파일:오이틴 문장.png
(오이틴)
파일:제게베르크 군 문장.png
제게베르크
Segeberg
(바트제게베르크)
파일:슈토르마른 군 문장.png
슈토르마른
Stormarn
(바트올데슬로)
군급시
Kreisfreie Städte
파일:플렌스부르크 문장.svg
플렌스부르크
Flensburg
파일:킬 문장.svg

Kiel
파일:뤼베크 문장.svg
뤼베크
Lübeck
파일:노이뮌스터 문장.svg
노이뮌스터
Neumünster
독일의 행정 구역
}}}}}}}}} ||
군급시

6. 관련 문서



[1] 유고슬라비아 왕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국기와 채색은 같고 비율만 다르다.[2] 현대 영어독일어에서 각각 목재를 의미하는 Holt와 Holz가 여기서 비롯된 단어이다. 네덜란드의 이명이 되기도 한 홀란트 주(Holland, 현대어로 하면 Hout-land) 역시 같은 어원이다.[3] 파일:홀슈타인 공국 문장.svg
홀슈타인 백작령은 샤움부르크 가문이 통치하게 되는데 이 가문의 문장이 현재 홀슈타인의 문장과 동일하며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의 문장 우측 빨간 배경의 하얀 별과 섬광 같은 것이 그것이다.
[4] Sønderjylland: 남부 유틀란트[5] 슐레스비히(Schleswig)의 덴마크어 명칭이다.[6] 여담으로 오늘날 영국에서 -wich, -wick으로 끝나는 도시의 지명과 어원이 같다. 가령 노리치, 입스위치 등등. 이런 도시들도 모두 바이킹족이 영국으로 건너가서 세운 도시.[7] 1250년에 덴마크 국왕 에리크 4세의 동생인 슐레스비히 공작 아벨이 덴마크 왕으로 즉위했는데, 아벨은 샤움부르크 가문과 인척관계였다.[8] 이 곳은 17세기가 돼서야 홀슈타인 공작령으로 합병되었다.[9] 프레데리크 7세는 자손이 없었기에 기존 상속법에 의하면 사후 덴마크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동군연합은 분리될 예정이었다.[10] 홀슈타인이야 애초부터 독일 연방에 가입되어 있지만, 슐레스비히까지 독일 연방에 가입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11] 덴마크는 슐레스비히 합병과 홀슈타인의 상속법 개정, 프로이센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독립/프로이센으로의 합병.[12] 이를 2차 슐레스비히 전쟁이라고 부른다.[13] 본래는 서로 하나씩 차지하기로 했지만, 오스트리아를 독일 연방에서 추방하고 프로이센 중심의 통일 독일을 건설하기를 원했던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일부러 영유권을 가지고 오스트리아에게 시비를 걸었다.[14] 물론 투표 결과가 지역에 따라 무 자르듯 나뉜 건 아니어서 덴마크에 귀속된 지역의 남부는 독일 귀속 표가 더 많이 나온 곳도 있었다. 이 국경선을 주장한 1891년 덴마크 역사학자 한스 빅토르 클라우센의 이름을 따 클라우센 선(Clausen-Linie)이라고 한다. 그래서 지금도 이 지역에는 독일계가 2만여명 정도 남아있다고 한다.[15] 1년 사이에 무려 40% 증가[16] Gesamtdeutscher Block/Bund der Heimatvertriebenen und Entrechteten, 줄여서 GB/BHE[17] 참고로 1958년 주 총선에서 33석을 차지하는 압승을 거둔 기민련은 3석을 획득한 자유민주당과 연정을 구성해 정권을 유지했다.[18] 2009년 주 총선에서 딱 한번 14석을 얻어간 적이 있다.[19] 원래는 함부르크, 브레멘처럼 독립된 자유도시였으나 히틀러 시대인 1937년에 슐레스비히홀슈타인에 흡수되었다.[20] 이 곳이 제1차 세계대전의 종말을 알린 킬 군항의 반란과 나치 최후의 정부인 플렌스부르크 정부가 있었던걸 생각해보면 아이러니하다.[21] 참고로 과거에 우루과이파라과이, 칠레 등도 비슷한 국기를 사용한 적이 있다.[22] 구 동독에 속했던 주 중 튀링겐작센안할트가 분데스리가 클럽을 아직 배출하지 못했다.[23] 더 정확히는 라체부르크 출신.[24] 함부르크의 위성도시로서 인구수로 따지면 주 제4의 도시.